$\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언택드 시대에 국제교류융합 활성화를 위한 동남아시아 간호대학에서 한국 간호에 대한 수요도 조사연구
A Study on the Demand of K-Nursing in Southeast Asian Nursing Colleges to Activate International Exchange Convergence in the Untacked Era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12, 2020년, pp.429 - 438  

김선정 (대구보건대학교 간호학과) ,  김경용 (대구보건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최병환 (대구보건대학교 치기공과) ,  송미령 (대구보건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국제 교류 융합 활성화를 위하여 동남 아시아 간호대학을 대상으로 한국 간호에 대한 요구도를 조사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태국, 베트남, 필리핀에 거주하는 교수와 학생들을 대상으로 Google Form을 활용하여 두 번에 나누어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첫 번째 설문조사에서는 간호교육의 큰 범주내에서 요구도 조사를 실시하고, 응급간호와, 감연관리에 관련된 주제가 가장 요구도가 높게 나타났다. 두 번째 설문조사에서는 첫 번째 설문조사결과에 근거하여 세부주제에 대한 요구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고 결과 응급간호에서는 응급환자 중증도 분류가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주제에서 빈도가 제일 높게 나타났으며, 감염관리에서는 COVID-19과 같은 신종감염병에 대한 관리가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주제에서 빈도가 제일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가장 빈도가 높은 순위에 따라 콘텐츠를 개발하여 국제교류프로그램에 활용할 것에 대하여 제안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emand of K-nursing in Southeast Asian nursing colleges, and to promote international exchange convergence. In this study, we surveyed the professors and students who were living in Thailand, Vietnam, and the Philippines. For investigating the demands...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국내외 배경에 근거하여 COVID-19시기 대학간 국제교류의 융합 활성화를 위하여 해외 대학에서 관심을 가지고 있는 한국 간호에 대한요구도를 조사하여 콘텐츠 개발을 위한 근거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감염관리는 COVID-19과 같은 신종감염병에 대한관리, 정확한 손씻기, N95 마스크, PPE Level D 방어복착용, 외과적 수술부위 감염관리, COVID-19과 같은 감염병의 샘플링 순으로 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세부주제에 대한 결과에 근거하여 간호교육 콘텐츠를 개발하여 국제교류 프로그램에 활용할 것에 대하여 제안한다.
  • 본 연구는 간호교육의 국제교류 활성화를 위하여 해외간호대학에서의 한국 간호에 대한 요구도를 파악하고 요구도의 우선순위에 기초한 해외 적용 가능한 온라인 교육콘텐츠를 개발하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간호교육의 국제교류 활성화를 위하여 해외간호대학을 대상으로 K-Nursing에 대한 간호교육 요구도를 파악하고 공통 교육과정으로 개발할 콘텐츠 주제에대하여 파악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국내 임상에서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임상실무에 필요한 주제로 역량강화 교육을 진행해 왔던 내용들과 COVID-19 이후 한국 보건의료 측면에서 해외의 관심을 받고 있는신종 감염병 대응과 관련된 주제를 추가하여 해외 간호대학에 있는 교직원과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 추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간호교육 주제에 대한 요구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두 차례를 거쳐 설문조사를 하였다. 1차 설문조사는 2020 7월 22일~8월 6일에 자료수집을 하여 총 158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2차 설문조사는 2020년 8월 25일~9월 6일에 자료수집을 하여총 96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의 1차 조사는 간호교육 주제에서 요구도가 높은 주제에 대하여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하였고 2차 조사는 1차 조사에서 우선순위가 높은 주제의 하부영역에서 세부적인 내용에 대한 요구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진행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국제교류 활성화를 위하여 해외 간호대학에서 한국 간호에 대한 요구도를 파악하여 해외대학 학생들을 대상으로 활용 가능한 콘텐츠 개발을 위한 근거자료를 마련하기 위함이다.
  • 파악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국내 임상에서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임상실무에 필요한 주제로 역량강화 교육을 진행해 왔던 내용들과 COVID-19 이후 한국 보건의료 측면에서 해외의 관심을 받고 있는신종 감염병 대응과 관련된 주제를 추가하여 해외 간호대학에 있는 교직원과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아래에는 본 연구에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에 대한논의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Y. J. Shin. (2020). Global population migration and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implications of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migration (IOM) 'Health.Border.Transit Management (HBMM)' system. Health .Welfare Issue&Focus, 379, 1-8. 

  2. S. M. Chae. (2020). Challenges for coping with COVID-19 and future disease response. Health.Welfare Issue&Focus, 374, 1-8. 

  3. D. Guan, D. Wang, S. Hallegatte, J. Huo, S. Li & Y. Bai. (2020). Global economic footprint of the COVID-19 pandemic. Researchsquare. https://assets.researchsquare.com/files/rs-25857/v1/Manuscript.pdf 

  4. N. Lurie, M. Saville, R. Hatchett & J. Halton. (2020). Developing COVID-19 vaccines at pandemic speed.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82(21), 1969-1973. 

  5. R. M. Anderson, H. Heesterbeek, D. Klinkenberg & T. D. Hollingsworth. (2020). How will country-based mitigation measures influence the course of the COVID-19 epidemic? The Lancet, 395(10228), 931-934. DOI : 10.1016/S0140-6736(20)30567-5 

  6. F. Gennaro et al. (2020). Coronavirus diseases (COVID-19) current status and future perspectives: a narrative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17(8), 2690. DOI : 10.3390/ijerph17082690 

  7. J. Crawford et al. (2020). COVID-19: 20 countries' higher education intra-period digital pedagogy responses. Journal of Applied Learning & Teaching, 3(1), 1-20. DOI : 10.37074/jalt.2020.3.1.7. 

  8. J. Lee & B. Oh. (2019). Domestic research trends on MOOCs: From 2010 to 2018.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9(7), 82-90. DOI : 10.5392/JKCA.2019.19.07.082 

  9. J. Choi. (2014). A cultural revolution in online education: MOOC. Academic Association of Global Cultural Contents, 14, 179-98. 

  10. J. Im & S. Beum (2012). Innovation for higher education through e-education: IT-enabled active learning communications of the Korea information science society. Korea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0(5), 48-55. 

  11. Y. W. Kee. (2018). Global mooc'ss learning and analysis of K-MOOC learning experience. Journal of Education & Culture, 24(3), 65-86 DOI: 10.24159/joec.2018.24.3.65 

  12. H. S. Jo, E. Y. Park & J. S. Choi. (2013). Effects of self directed learning applying basic nursing practice contents of e-learning on nursing students' knowledge, self confidence and satisfaction.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3(9), 504-514. DOI :10.5392/JKCA.2013.13.09.504 

  13. M. S. Kim, H. K. Jung, S. M. Kim & M. H. Kim. (2016). Perceptions and intention to use of smart-based continuing nurse education among nurse education managers and staff nurses. Journal of Health Informatics and Statistics, 41(3), 307-317. DOI : 10.21032/jhis.2016.41.3.307 

  14. Y. Seo & M. Eom. (2017). The effects of clinical nursing practicum education using on-line nursing education contents: Focused on clinical nursing practicum of special unit.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7(15), 539-556. DOI : 10.22251/j lcci.2017.17.15.539 

  15. L. Huang, G. Lin, L. Tang, L. Yu & Z. Zhou. (2020) Special attention to nurses' protection during the COVID-19 epidemic. Critical Care [Online], 24(120), 1-3. DOI : 10.1186/s13054-020-2841-7 

  16. D. H. Kwon, J. Hwang, Y. W. Cho, M. L. Song & K. T. Kim. (2020). The mental health and sleep quality of the medical staff at a hub-hospital against COVID-19 in South Korea. Journal of Sleep Medicine, 17(1), 93-97. DOI: 10.13078/jsm.200016 

  17. E. G. Oh et al. (2020). Perspectives on nursing profession for a post-COVID-19 new normal.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32(3), 221-222. DOI : 10.7475/kjan.2020.32.3.221 

  18. S. Y. Hwang, J. S. Kim, H. Ahn & S. J. Kang. (2015). Development and effect of a global health capacity building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Community Health nursing, 26(3), 209-220. DOI: 10.12799/jkachn.2015.26.3.209 

  19. L. Wilson et al. (2012). Global health competencies for nurses in the Americas. Journal of Professional Nursing, 28(4):213-222. DOI: 10.1016/j.profnurs.2011.11.021 

  20. J. C. Velasco & K. Thianlai. (2018). Collaborative research and education in global Health: Insights and Perspectives. Asia-Pacific Social Science Review, 18(3), 330-335. 

  21. D. Robles. (2018). Advancing nursing practice in Vietnam: An international collaboration to improve quality. College of Nursing and Health Innovation. https://repository.asu.edu/items/48982 

  22. G. Tomblin-Murphy & A. Rose. (2016) Nursing leadership in primary healthcare for the achievement of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and human resources for health global strategies. ICN policy brief. https://www who int/workforcealliance/knowledge/resources/ICN_ PolBrief2NsgLeadershipPHC pdf. 

  23. C. S. Hee. (2010). The current status of, and the requests for, continuing education for nurses in medium sized hospitals and change of nursing competency after continuing education. Master's dissertatio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Busan. 

  24. O. S. Kim et al (2018). Emergency and disaster nursing. Seoul : Soomoonsa. 

  25. Hospital infection management. Korean society for hospital infection control and prevention. (2006). Seoul : hanmibook. 

  26. K. W. Cho. (2020.5.6). Online distribution and education non-face-to-face 'opportunity industry'...post corona industrial strategy. The Hankyoreh. http://m.hani.co.kr/arti/economy/marketing/943777.html. 

  27. G. B. Diaz, J. Villaruel & L. Naval. (2020). International faculty exchange program: A unique transcultural nursing experience. Sigma Theta Tau International. https://sigma.nursingrepository.org/bitstream/handle/10755/21033/Diaz_Abstract.pdf?sequence2&isAllowedy 

  28. S. Appiah. (2020). Quality of nursing education in Philippines: Difference in quality of nursing programme in relation to profile of faculty members. Researchsquare. https://assets.researchsquare.com/files/rs-25420/v2/5fb3e030-e01b-4f89-bc5b-3baf1c4aa9b6.pdf 

  29. E. Park & J. Kim. (2020). Mutual recognition agreement for nursing professionals: Policy issues and alternativ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6(1), 1-10. DOI : 10.11111/jkana.2020.26.1.1 

  30. E. B. Cacayan, M. E. C. Baua & A. E. Alvarado. (2020). Challenges in nursing education in the new normal: Basis for faculty enhancement program. Health Notions, 4(8), 234-247. DOI : 10.33846/hn40801 

  31. Y. Eun, H. S. Kang & M. Y. Jeon. (2016). Survey on online continuing education requirements according to practical experience of nurses at small and medium sized hospitals.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23(3), 197-205. DOI : 10.5953/JMJH.2016.23.3.197 

  32. K. S. Jang, E. A. Kim, H. Kim & S. Y. Hwang. (2019). A survey on nurses' perception, satisfaction, and needs related to continuing educ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5(2), 125-135. DOI : 10.5392/JKCA.2018.18.06.180 

  33. K. S. Jang. (2000). A study on establishment of clinical career development model of nurs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34. C. C. Sundah, K. S. Ablola & K. K. R. WU. (2019). Learning needs assessment and preferred instructional methods among nurses participating in continuous professional education. Abstract Proceedings International Scholars Conference, 7(1), 68-78. DOI : 10.35974/isc.v7i1.942 

  35. J. Guo. (2020). Thinking and discussion on nursing mode of new infectious diseases. Advanced Emergency Medicine, 9(1), 19-22. DOI : 10.18686/aem.v9i1.162 

  36. M. Kim et al. (2020). Lessons from a COVID-19 hospital, Republic of Korea. The American Review of Publish Addministration, 50(6-7), 801-808. DOI : 10.1177/0275074020943708 

  37. J. T. Paguio & A. C. Banayat. (2018) Commentary on challenges to critical care nursing practice in the Philippines. The World of Critical Care Nursing, 12(1), 8-11 DOI : 10.1891/1748-6254.12.1.8 

  38. Y. Lee. (2005). The research of the reality and recognition relayed to inservice education of the nurse. Unpublished master's thesis, Andong University, Andong. 

  39. J. G. Adams & R. M. Walls. (2020). Supporting the health care workforce during the COVID-19 global epidemic. Jama, 323(15), 1439-1440. DOI : 10.1001/jama.2020.397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