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광개시제에 따른 실험용 3D 프린팅 의치상 레진의 기계적 성질과 생체적합성 비교
Comparison between mechanical properties and biocompatibility of experimental 3D printing denture resins according to photoinitiators 원문보기

Journal of technologic dentistry : JTD, v.42 no.4, 2020년, pp.355 - 361  

박다령 (원광보건대학교 치기공과) ,  손주리 (전주비전대학교 치위생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In this study, we added two kinds of photoinitiators (CQ and TPO) to prepare two kinds of denture base resins (Bis-GMA series and UDMA series) for three-dimensional (3D) printing to compare and analyze their mechanical and biological properties and to find the optimal composition. Method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3D 프린팅 기술을 더욱 발전시키기 위해 새로운 감광성 조성물과 적절한 광개시 시스템을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 [27].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3D 프린터의 보다 높은 중합도를 위하여 치과용 복합체 및 접착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CQ와 상업용 복합체에 포함되고 있는 TPO을 첨가하여 새로운 3D 프린팅용 광경화 레진을 제작하였다. 3D 프린팅용 레진은 점도가 중요한 요소이므로 의치 상용 레진 중 점도가 비슷한 유동성 의치상용 레진을 대조군으로 제작하였다.
  • 임상적용에 있어서 우수한 기계적 성질, 생체적합성을 갖추어야 하며 수복물의 파절을 방지할 수 있는 중합 과정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반이 다른 실험용 3D 프린팅 치과용 레진에 두 가지의 광개시제를 첨가하여 3D 프린터로 출력한 결과물의 기계적, 생물학적 성질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2종류의 광개시제(CQ, TPO)를 첨가하여 2종의 3D 프린팅용 의치상레진(Bis-GMA계와 UDMA계)을 제작하여 기계적 성질과 생물학적 성질을 비교 분석하고 최적의 조성을 찾고자 하였다. 이에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가능하게 한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도 이러한 단량체들을 첨가하여 보다 높은 중합도와 강도를 얻고자 하였다. 그 결과, 시판되고 있는 NextDent와 유의한 값의 강도를 나타내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CQ와 TPO 2종의 광개시제를 첨가하여 Bis-GMA 와 UDMA를 기반으로 한 3D 프린팅 의치상용 레진을 제작하여 기계적 성질과 생물학적 성질이 비교 분석하여 현존하는 3D 프린팅용 치과용 레진보다 우수한 레진을 제작하고자 하였다.
  • 대조군으로 선택하였다. 임상에서 사용되고 있는 3D 프린팅용 의치상 레진인 NextDent (Base, Vertex Dental; Soesterberg, Netherlands)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실험군은 단량체인 Bis-GMA (SHIN-NAKAMURA, Wakayama, Japan)와 UDMA (Sigma-Aldrich, St.
  • 또 2종의 광개시제 모두 DLP 3D 프린터의 통상적인 광파장대인 395~410 nm를 포함하므로 광중합이 진행되어 경화되 3D 프린터 레진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후중합 공정을 시행하여 보다 높은 중합도를 얻고자 하였다. 같은 조건을 위하여 대조군인 유동성 의치상용 레진 또한 미중합을 우려해 광중합기를 이용해서 후중합 공정을 시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Goodacre CJ, Garbacea A, Naylor WP, Daher T, Marchack CB, Lowry J. CAD/CAM fabricated complete dentures: concepts and clinical methods of obtaining required morphological data. J Prosthet Dent. 2012;107:34-46. 

  2. van Noort R. The future of dental devices is digital. Dent Mater. 2012;28:3-12. 

  3. Bidra AS, Taylor TD, Agar JR. Computer-aided technology for fabricating complete dentures: systematic review of historical background, current status, and future perspectives. J Prosthet Dent. 2013;109:361-366. 

  4. Kattadiyil MT, AlHelal A. An update on computer-engineered complete dentures: a systematic review on clinical outcomes. J Prosthet Dent. 2017;117:478-485. 

  5. Alharbi N, Wismeijer D, Osman RB. Additive manufacturing techniques in prosthodontics: where do we currently stand- A critical review. Int J Prosthodont. 2017;30:474-484. 

  6. Berman B. 3-D printing: the new industrial revolution. Bus Horiz. 2012;55:155-162. 

  7. Stansbury JW, Idacavage MJ. 3D printing with polymers: challenges among expanding options and opportunities. Dent Mater. 2016;32:54-64. 

  8. dos Santos GB, Alto RV, Filho HR, da Silva EM, Fellows CE. Light transmission on dental resin composites. Dent Mater. 2008;24:571-576. 

  9. Revilla-Leon M, Ozcan M. 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ies used for processing polymers: current status and potential application in prosthetic dentistry. J Prosthodont. 2019;28:146-158. 

  10. Kattadiyil MT, Goodacre CJ, Baba NZ. CAD/CAM complete dentures: a review of two commercial fabrication systems. J Calif Dent Assoc. 2013;41:407-416. 

  11. Choi J, Lee Y, Hong SJ, Paek J, Noh K, Pae A, et al. Effect of surface treatment on shear bond strength between artificial resin teeth and 3D printing denture base resin. J Korean Acad Prosthodont. 2020;58:300-305. 

  12. Chung YJ, Park JM, Kim TH, Ahn JS, Cha HS, Lee JH. 3D printing of resin material for denture artificial teeth: chipping and indirect tensile fracture resistance. Materials (Basel). 2018;11:1798. 

  13. Park DR, Bae JM. Mechanical properties and biocompatibility of experimental 3D printing denture base resin. Korean J Dent Mater. 2019;46:253-262. 

  14. Fortin T, Champleboux G, Lormee J, Coudert JL. Precise dental implant placement in bone using surgical guides in conjunction with medical imaging techniques. J Oral Implantol. 2000;26:300-303. 

  15. Sailynoja ES, Shinya A, Koskinen MK, Salonen JI, Masuda T, Shinya A, et al. Heat curing of UTMA-based hybrid resin: effects on the degree of conversion and cytotoxicity. Odontology. 2004;92:27-35. 

  16. Tahayeri A, Morgan M, Fugolin AP, Bompolaki D, Athirasala A, Pfeifer CS, et al. 3D printed versus conventionally cured provisional crown and bridge dental materials. Dent Mater. 2018;34:192-200. 

  17. Mostafa KG, Arshad M, Ullah A, Nobes DS, Qureshi AJ. Concurrent modelling and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material properties and geometries produced by projection microstereolithography. Polymers (Basel). 2020;12:506. 

  18. Karalekas D, Aggelopoulos A. Study of shrinkage strains in a stereolithography cured acrylic photopolymer resin. J Mate Process Technol. 2003;136:146-150. 

  19. Ferracane JL. Resin composite--state of the art. Dent Mater. 2011;27:29-38. 

  20. Crivello JV, Reichmanis E. Photopolymer materials and processes for advanced technologies. Chem Mater. 2014;26:533-548. 

  21. Kim DY. Difference between shrinkage rate of irradiation amount of 3D printing UV curable resin and shrinkage rate according to a constant temperature water bath. J Korean Acad Dent Technol. 2020;42:113-120. 

  22. Jakubiak J, Allonas X, Fouassier JP, Sionkowska A, Andrzejewska E, Linden LA, et al. Camphorquinone- amines photoinitating systems for the initiation of free radical polymerization. Polymer. 2003;44:5219-5226. 

  23. Palin WM, Senyilmaz DP, Marquis PM, Shortall AC. Cure width potential for MOD resin composite molar restorations. Dent Mater. 2008;24:1083-1094. 

  24. Santini A, Miletic V, Swift MD, Bradley M. Degree of conversion and microhardness of TPO-containing resinbased composites cured by polywave and monowave LED units. J Dent. 2012;40:577-584. 

  25. Santini A. Current status of visible light activation units and the curing of light-activated resin-based composite materials. Dent Update. 2010;37:214-216, 218-220, 223-227. 

  26. Bagheri A, Jin J. Photopolymerization in 3D printing. ACS Appl Polym Mater. 2019;1:593-611. 

  27. Zhang J, Xiao P. 3D printing of photopolymers. Polym Chem. 2018;9:1530-1540. 

  28. Janda R, Roulet JF, Kaminsky M, Steffin G, Latta M. Color stability of resin matrix restorative materials as a function of the method of light activation. Eur J Oral Sci. 2004;112:280-285. 

  29. Arikawa H, Takahashi H, Kanie T, Ban S. Effect of various visible light photoinitiators on the polymerization and color of light-activated resins. Dent Mater J. 2009;28:454-460. 

  30. Floyd CJ, Dickens SH. Network structure of Bis-GMA- and UDMA-based resin systems. Dent Mater. 2006;22:1143-1149. 

  31. Sideridou I, Tserki V, Papanastasiou G. Study of water sorption, solubility and modulus of elasticity of light-cured dimethacrylate-based dental resins. Biomaterials. 2003;24:655-665. 

  32. Martim GC, Detomini TR, Schuquel IT, Radovanovic E, Pfeifer CS, Girotto EM. A urethane-based multimethacrylate mixture and its use in dental composites with combined high-performance properties. Dent Mater. 2014;30:155-163. 

  33. Lin CH, Lin YM, Lai YL, Lee SY. Mechanical properties, accuracy, and cytotoxicity of UV-polymerized 3D printing resins composed of Bis-EMA, UDMA, and TEGDMA. J Prosthet Dent. 2020;123:349-354. 

  34. Anseth KS, Bowman CN, Peppas NA. Polymerization kinetics and volume relaxation behavior of photopolymerized multifunctional monomers producing highly crosslinked networks. J Polym Sci A Polym Chem. 1994;32:139-147. 

  35. Alshali RZ, Salim NA, Sung R, Satterthwaite JD, Silikas N.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characterization of monomers of uncured bulk-fill and conventional resin-composites using liquid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Dent Mater. 2015;31:711-72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