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강도 복합 훈련 프로그램이 카누선수의 심폐기능, 체간 등속성 근력과 무산소성 파워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High-intensity Combined Training Program on Cardiorespiratory Function, Isokinetic Trunk Strength and Anaerobic Power of Canoe Athlete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37 no.1, 2020년, pp.17 - 27  

정종환 (대한카누연맹)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6주간의 고강도 복합 훈련 프로그램을 통해 카누 선수의 심폐기능(Cardiorespiratory Function), 체간 등속성 근력(Isokinetic Trunk Strength) 그리고 무산소성 파워(Anaerobic Power)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고등학교 카누 선수 9명을 대상으로 고강도 복합 훈련 프로그램을 적용하였으며, 고강도 훈련 프로그램은 주 2회의 유산소 운동(화, 목), 주 3회의 무산소 운동(월, 수, 금) 그리고 주 5회의 유연성 운동을 실시하였다. 고강도 복합 훈련 프로그램의 핵심은 무산소성 훈련 프로그램으로 기존 1RM의 퍼센트(%)를 나누어 훈련하던 방식과는 달리 횟수에 대한 100%의 중량을 가지고 하는 훈련이며, 유산소성 운동과 짐볼운동은 보조적인 개념으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고강도 복합 훈련 프로그램에 따른 신체구성에서 신장과 근육량은 통계적으로 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체중, 체지방율, BMI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폐기능의 경우, 최대산소섭취량과 총 운동시간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간 등속성 근력의 경우, 각속도 30°/sec에서는 Flexors 운동시 Peak Torque 항목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속도 120°/sec에서는 Extensors 운동시 Total Work 항목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산소성 파워의 경우, Peak Power, Average Power, Peak Drop의 모든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심폐기능에서는 유의한 개선효과가 있었지만 체간 등속성 근력과 무산소성 파워 항목에서 증가하는 경향은 있었지만 통계적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선수 개개인의 근력과 파워가 개선되는 경향이 나타난 것을 고려하면 훈련기간을 6주 이상으로 구성하고 사례수가 보강된다면 체계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고강도 복합 훈련 프로그램은 카누 선수들의 경기력 향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훈련 프로그램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effects of a 6-week high-intensity combined training program on canoe athletes' cardiorespiratory function, isokinetic trunk strength, and anaerobic power.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high-intensity combined training program was applied to 9 high-sc...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최근 카누 선수들의 경기력 향상을 위해 최신 장비의 도입과 외국인 코치 영입에도 불구하고 괄목할 만한 경기력 향상이 나타나지 않고 있으며, 다른 종목에 비해 카누 선수들의 경기력 향상을 위한 스포츠 과학적 연구도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카누 선수들을 대상으로 6주 동안 고강도의 복합 훈련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등속성 근력, 심폐기능, 그리고 무산소성 파워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이 연구는 카누 선수들을 대상으로 6주간의 고강도 복합 훈련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그 효과를 분석하고 카누 선수들에게 적합한 트레이닝 방법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고강도 복합 훈련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기본적인 신체구성, 운동부하검사, 체간 등속성 근력 그리고 무산소성 파워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카누 선수들에게 요구되는 경기력은 무엇인가? 카누 선수들에게 요구되는 경기력은 기본적으로 높은 수준의 근력과 근지구력, 전신 지구력이다. 카누 경기 특성상 초반에 파워풀한 스타트와 종반부의 스퍼트를 위해서는 높은 수준의 무산소성 능력과 유산소 능력이 동시에 요구되는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1].
카누경기는 언제 어디에서 국제 스포츠 정식 종목으로 채택됐는가? 카누경기는 국내에선 많이 활성화되지 않은 비인기 스포츠이지만 국제 스포츠 무대에서는 1936년 베를린 올림픽에서 정식 종목으로 채택될 정도로 전통이 있고 위상이 높다. 특히, 2020년 도쿄 올림픽에서는 16개의 금메달이 배정될 정도로 비교적 많은 수의 메달이 걸려있다.
6주간의 고강도 복합 훈련 프로그램을 통해 카누 선수의 심폐기능, 체간 등속성 근력 그리고 무산소성 파워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연구결과는? 고강도 훈련 프로그램은 주 2회의 유산소 운동 (화, 목), 주 3회의 무산소 운동(월, 수, 금) 그리고 주 5회의 유연성 운동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고강도 복합 훈련 프로그램은 신체구성 항목에서 신장과 근육량이 통계적으로 의한 차이가 있었다. 심폐기능의 경우 최대산소섭취량과 총 운동시간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간 등속성 근력의 경우 각속도 30°/sec에서는 Flexors 운동시 Peak Torque 항목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속도 120°/sec에서는 Extensors 운동시 Total Work 항목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산소성 파워의 경우 Peak Power, Average Power, Peak Drop의 모든 항목에서 통계 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심폐기능에서는 유의한 개선효과가 있었으며, 체간 등속성 근력은 증가하는 경향은 있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J. H. Yoon, Y. S. Ji, D. Y. Woo, "The change of blood lactic acid, LDH and CPK activity during arm ergometer exercise in canoeist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Physical Education, Vol.7, No.1, pp. 70-80. (2002). 

  2. M. A. Tse, A. M. McManus, R. S. Masters,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core endurance intervention program: implications for performance in college-age rowers", Journal of strength and conditioning research, Vol.19, No.3, pp. 547-552. (2005). 

  3. Y. H. Lee, S. J. Kang, "Analysis of Physical Activity Characteristics and Isokinetic Muscular Strength during Kayak Erogometer Motions in Elite Kayak Athlet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Living Environmental System, Vol.19, No.3, pp. 344-351. (2012). 

  4. G. Y. Kang, "The Effect of Circuit Weight Training on the Improvement of Isokinetic muscula, Cardiorepiratory Function and Blood Components on Canoe athletes",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Vol.55, No.3, pp. 601-612. (2016). 

  5. J. H. Jung, Y. E. Song, C. H. Kim, E. B. Kang, J. Y. Cho, "Effect of periodical complex training program on the body composition and erogometer record of national canoe athletes", The Korean Journal of Sport, Vol.11, No.3, pp. 75-84, (2013). 

  6. G. K. Lee, H. Y. Kim, "The Effects of Complex Training on K-1 500m Record and Physical Fitness of Canoe Players", Korean Journal of Sports Science, Vol.27, No.1, pp. 619-628, (2018). 

  7. J. H. Jung, Effect of Periodical Complex Training Program on Blood Fatigue Factor, Muscle Damage Index and Exercise Performance in National Canoe Athletes, Unpublished doctoral disertation, Daejeon University, Daejeon, (2014). 

  8. G. Borg, Borg's Perceived Exertion and Pain Scales, Human Kinetics. (1998). 

  9. R. Stanton, P. R. Reaburn, B. Humphries, "The effect of short-term Swiss ball training on core stability and running economy", Journal of strength and conditioning research, Vol.18, No.3, pp. 522-528, (2004). 

  10. A. L. Claessens, S. Hlatky, J. Lefevre, H. Holdhaus, "The role of anthropometric characteristics in modern pentathlon performance in female athletes", Journal of sports sciences, Vol.12, No.4, 391-401, (1994). 

  11. J. H. Jung, S. E. Kim, H. J. Kim, J. J. Park, "The Effects of a 12-week Complex Weight Training Program on High School Rowing Athletes Body Composition, Physical Strength, and Muscle Activation", Journal of Coaching Development, Vol.20, No.4. 81-88, (2018). 

  12. D. H. Choi, D. C. Yeom, M. S. Cho, J. Y. Cho, "Effects of resistance training method on body composition, isokinetic strength and endurance, cardiopulmonary function, anaerobic power in female judo players", Korean Journal of Sport Science, Vol.30, No.1, 178-188, (2019). 

  13. J. Y. choi, K. J. Kim, "Effects of 12 weeks Weight Training on the Change of Body Shape and Composition",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Vol.14, 713-722, (2000). 

  14. E. R. Buskirk, J. L. Hodgson, "Age and aerobic power: the rate of change in men and women", Federation proceedings, Vol.46, No.5, 1824-1829, (1987). 

  15. L. Paavolainen, K. Hakkinen, I. Hamalainen, A. Nummela, H. Rusko, "Explosive trength training improves 5 km running time by improving running economy and muscle power",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Vol.86, No.5, 1527-1533. (1999). 

  16. M. H. Stone, G. D. Wilson, D. Blessing, R. Rozenek, "Cardiovascular responses to short-term olympic style weight-training in young men", Canadian journal of applied sport sciences, Vol.8, No.3, 134-139. (1983). 

  17. G. Choi, The Study on Analysis of Muscle Fatigue and Recruitment Type in Major Muscles during Canoe Ergometer Exercise. Unpublished master's dissertation, Dong-A University, Busan, (2003). 

  18. R. M. Molina, A. T. Galan, M. S. Garcia, "Spectral electromyographic change training based on electrical stimulation. Electromyographic", Electromyography and clinical neurophysiolog, Vol.37, No.5, 287-295. (1997). 

  19. S. K. Power, E. T. Howley, E. T, Exercise physiology. 4th Eds., IA Madison, McGraw Hill: Dubuque. (2001). 

  20. G. Sporis, L. Ruzic, G. Leko, "The anaerobic endurance of elite soccer players improved after a high-intensity training intervention in the 8-week conditioning program", Journal of Strength and Conditioning Research, Vol.22, No.2, 559-566. (2008). 

  21. E. Ziemann, T. Grzywacz, M. Luszczyk, R. Laskowski, R. A. Olek, A. L. Gibson, "Aerobic and anaerobic changes with high-intensity interval training in active collegeaged men", Journal of Strength and Conditioning Research, Vol.25, No.4, 1104-1112. (2011). 

  22. N. Howard, S. Stavrianeas, "In-Season High-Intensity Interval Training Improves Conditioning In High School Soccer Players", International Journal of Exercise Science, Vol.10, No.5, 713-720. (2017). 

  23. W. W. Spirduso, K. Francis, P. MacRae, Physical dimensions of again Champaign (2nd ed.), IL: Human Kinetics. (200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