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트레드밀 운동이 고지방 식이 쥐 심근세포의 자가포식 관련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readmill exercise on autophagy related protein expression in the cardiac muscle of high-fat diet fed rat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37 no.1, 2020년, pp.91 - 101  

정재훈 (한양대학교 체육학과) ,  강은범 (대전대학교 건강운동관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비만이 심장 조직에서 자가포식 관련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고지방 식이(20주)를 통해 비만을 유도한 후 8주간의 트레드밀 운동을 실시하고, 자가포식의 유도, 형성 그리고 자가포식포와 라이소좀 융합단계를 조절하는 단백질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실험동물(SD rat)은 20주간의 고지방식이(탄수화물: 20%, 지방: 60%, 단백질: 20%)를 통해 비만을 유도하였으며, 8주간의 트레드밀 운동(주 5일, 하루 30분, 5분; 8m/min, 5분; 11m/min, 20분; 14m/min)을 실시하였다. 집단 구분은 정상식이 비교군(n=10), 고지방식이 비교군(n=10), 고지방식이 운동군(n=10)으로 구분하였다. 8주간의 트레드밀 운동 실시 전과 후에 경구당부하검사를 실시하여 곡선 하 면적(area under the curve; AUC)을 산출하였으며, 공복시 인슐린 농도와 포도당 농도를 통해 인슐린 저항성 지표인 HOMA-IR과 체중 당 복부지방량(abdominal visceral fat/Body weight; AVF/BW)를 산출하여 비교하였다. 또한 심장 조직에서 자가포식 관련 단백질을 분석하여 운동 트레이닝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장기간의 고지방식이를 통해 HFD-CON 그룹에서는 비만이 유도되었으며, ND-CON 그룹에 비해 체중, AUC, HOMA-IR, AVF/BW가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8주간의 트레드밀 운동을 실시한 HFD-TE 그룹에서는 AUC, HOMA-IR, AVF/BW가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중의 경우, 감소되는 경향은 있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자가포식 유도에 관여하는 mTOR와 AMPK는 비만상황에서 모두 감소되었지만, 운동을 통해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가포식 형성에 관련된 Beclin-1, BNIP3, ATG-7, p62, LC3는 비만상황에서 모두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운동을 통해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포식포와 라이소좀 융합단계 조절하는 Cathepsin L과 LAMP2는 비만상황에서 모두 감소되었으며, 운동을 통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트레드밀 운동과 같은 신체활동은 대사성 질환에서 나타나는 병리학적 현상을 개선하고 자가포식 과정을 정상적으로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트레드밀 운동이 심장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있어 일차적으로 고려해야할 필요성이 있다고 제안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obesity on the expression of autophagy-related proteins in cardiac muscle. To this end, obesity was induced in rats through 20 weeks of high-fat diet, and the animals were then subjected to 8 weeks of treadmill exercise. Subsequently, the...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장기간의 고지방식이를 통해 비만을 유도하고 트레드밀 운동을 실시해서 비만관련 병리학적인 현상과 심장 근육세포의 자가포식 과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먼저 트레드밀 운동은 비만으로 유도된 체중증가, 복부내장지방량 감소 그리고 체내 인슐린 저항성개선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이 연구는 고지방 식이로 유도된 비만상황에서 운동이 심장 조직의 자가포식 관련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장기간의 고지방식이는 만성적인 비만상황에서 나타나는 체중증가, 인슐린 저항성 지표 그리고 복부지방량 증가현상이 나타났지만, 트레드밀 운동을 통해 이러한 병리학적 현상이 개선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 즉 비만으로 인해 유도된 자가포식 항성성 조절의 악화는 비만, 인슐린저항성, 당뇨병 및 죽상동맥경화증을 포함한 대사 장애와 관계가 깊다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자가포식과정을 조절하는 AMPK와 mTOR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HFD-CON 그룹에서는 두 단백질 모두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HFD-TE 그룹에서는 모두 발현이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 이처럼 운동을 통한 비만개선은 체내 에너지 대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비만상황에서 장기간의 운동이 심장 근육세포의 자가포식 과정에 어떻게 기여하는지에 대한 연구는 많이 부족하기 때문에 본 연구는 비만개선을 위한 운동이 심장 근육세포의 자가포식 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비만이 심장 근육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운동을 통한 개선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만의 정의는 무엇인가? 비만은 영양과잉, 신체활동의 부족으로 체내에 과도한 지방이 축적된 상태로 낮은 수준의 만성 전신성 염증질환 (a low-grade systemic inflammatory state)으로 정의되며 비만으로 유도된 염증은 인슐린 저항성, 심혈관질환, 그리고 제2형 당뇨와 같은 대사성질환의 발생위험을 증가시킨다고 알려져 있다[1]. 특히 심혈관질환은 한국인 사망의 가장 흔한 원인 중 하나이며, 비만이 이러한 심혈관질환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직접적인 원인으로 비만 자체가 심장의 구조와 기능에 비정상적인 변화를 유발하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비만이 심혈관질환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이유는 무엇인가? 비만은 영양과잉, 신체활동의 부족으로 체내에 과도한 지방이 축적된 상태로 낮은 수준의 만성 전신성 염증질환 (a low-grade systemic inflammatory state)으로 정의되며 비만으로 유도된 염증은 인슐린 저항성, 심혈관질환, 그리고 제2형 당뇨와 같은 대사성질환의 발생위험을 증가시킨다고 알려져 있다[1]. 특히 심혈관질환은 한국인 사망의 가장 흔한 원인 중 하나이며, 비만이 이러한 심혈관질환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직접적인 원인으로 비만 자체가 심장의 구조와 기능에 비정상적인 변화를 유발하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자가포식 과정의 메커니즘은 어떻게 되나? 자가포식 과정은 세포 내 다양한 스트레스 환경(영양소 고갈, 성장인자 결핍, 소포체 스트레스)에 반응하여 유도되는 분해 시스템으로 비정상적으로 조절이 되면 신경퇴행성질환, 당뇨병, 심장질환과 같은 다양한 질환과 관련이 깊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3,4]. 일반적으로 자가포식 과정은 주로 세포 내 노화된 단백질과 손상 또는 수명이 다한 기관을 제거하기 위하여 일련의 단계를 거쳐 autophagosome이 형성되면 라이소좀(lysosome)과의 융합(fusion)으로 최종 분해하여 체내 독성의 축적을 억제하게 된다[5]. 특히 자가포식 과정은 심장 보호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K. E. Wellen, G. S. Hotamisligil, "Inflammation, stress, and diabetes", The Journal of clinical investigation, Vol.115, No.5, pp. 1111-1119, (2005). 

  2. Y. Lee, E. B. Kang, I. Kwon, L. Cosio-Lima, P. Cavnar, G. T. Javan, "Cardiac Kinetophagy Coincides with Activation of Anabolic Signaling",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Vol.48, No.2, 219-226, (2016) 

  3. C. He, D. J. Klionsky,(2009). "Regulation mechanisms and signaling pathways of autophagy", Annual review of genetics, Vol.43, 67-93, (2009). 

  4. Mizushima, N., Levine, B., Cuervo, A. M., & Klionsky, D. J. (2008). Autophagy fights disease through cellular self-digestion. Nature, 451(7182), 1069-1075. 

  5. D. Glick, S. Barth, K. F. Macleod, "Autophagy: cellular and molecular mechanisms", The Journal of pathology, Vol.221, No.1, pp. 3-12, (2010). 

  6. S. Sciarretta, D. Yee, V. Shenoy, N. Nagarajan, J. Sadoshima, "The importance of autophagy in cardioprotection", High blood pressure and cardiovascular prevention, Vol.21, No.1, pp.21-28, (2014). 

  7. A. B. Gustafsson, R. A. Gottlieb, "Recycle or die: the role of autophagy in cardioprotection", Journal of molecular and cellular cardiology, Vol.44, No.4, pp.654-661, (2008). 

  8. S. Lavandero, M. Chiong, B. A. Rothermel, J. A. Hill, "Autophagy in cardiovascular biology", The Journal of clinical investigation, Vol.125, No.1, pp. 55-64, (2015). 

  9. C. He, M. C. Bassik, V. Moresi, K. Sun, Y. Wei, Z. Zou, Z. An, J. Loh, J. Fisher, Q. Sun, S. Korsmeyer, M. Packer, H. I. May, J. A. Hill, H. W. Virgin, C. Gilpin, G. Xiao, R. Bassel-Duby, P. E. Scherer, B. Levine, "Exercise-induced BCL2-regulated autophagy is required for muscle glucose homeostasis", Nature, Vol.481, No.7382, pp. 511-515, (2012). 

  10. A. M. Sanchez, H. Bernardi, G. Py, R. B. Candau, "Autophagy is essential to support skeletal muscle plasticity in response to endurance exercise", American journal of physiology. Regulatory, integrative and comparative physiology, Vol.307, No.8, pp. R956-969, (2014). 

  11. V. A. Lira, M. Okutsu, M. Zhang, N. P. Greene, R. C. Laker, D. S. Breen, K. L. Hoehn, Z. Yan, "Autophagy is required for exercise training-induced skeletal muscle adaptation and improvement of physical performance", Federation of American Societies for Experimental Biology, Vol.27, No.10, pp. 4184-4193, (2013). 

  12. A. Boss, V. Lecoultre, C. Ruffieux, L. Tappy, P. Schneiter, "Combined effects of endurance training and dietary unsaturated fatty acids on physical performance, fat oxidation and insulin sensitivity", The British journal of nutrition, Vol.103, No.8, pp. 1151-1159, (2010). 

  13. B. Morio, C. Montaurier, P. Ritz, N. Fellmann, J. Coudert, B. Beaufrere, M. Vermorel, "Time-course effects of endurance training on fat oxidation in sedentary elderly people",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Obesity, Vol.23, No.7, pp. 706-714, (1999). 

  14. A. Tremblay, E. T. Poehlman, J. P. Despres, G. Theriault, E. Danforth, C. Bouchard, "Endurance training with constant energy intake in identical twins: changes over time in energy expenditure and related hormones", Metabolism, Vol.46, No.5, pp. 499-503. (1997). 

  15. G. A. Kelley, K. S. Kelley, S. Roberts, W. Haskell, "Efficacy of aerobic exercise and a prudent diet for improving selected lipids and lipoproteins in adults: a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BMC medicine, Vol.9, No.74, (2011). 

  16. V. B. O'Leary, C. M. Marchetti, R. K. Krishnan, B. P. Stetzer, F. Gonzalez, J. P. Kirwan, "Exercise-induced reversal of insulin resistance in obese elderly is associated with reduced visceral fat",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Vol.100, No.5, pp. 1584-1589, (2006). 

  17. H. B. Kim, M. H. Jang, M. C. Shin, B. V. Lim, Y. P. Kim, K. J. Kim, E. H. Kim, C. J. Kim,(2003). "Treadmill exercise increases cell proliferation in dentate gyrus of rats with streptozotocin-induced diabetes", Journal of diabetes and its complications, Vol.17, No.1, pp. 29-33, (2003). 

  18. R. L. Bradley, J. Y. Jeon, F. F. Liu, E. Maratos-Flier, "Voluntary exercise improves insulin sensitivity and adipose tissue inflammation in diet-induced obese mice", American journal of physiology.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Vol.295, No.3, pp. E586-E594, (2008). 

  19. X. Rao, J. Zhong, X. Xu, B. Jordan, S. Maurya, Z. Braunstein, T. Y. Wang, W. Huang, S. Aggarwal, M. Periasamy, S. Rajagopalan, K. Mehta, Q. Sun, "Exercise protects against diet-induced insulin resistance through downregulation of protein kinase Cbeta in mice", Public Library of Science, Vol.8, No.12, pp. e81364, (2013). 

  20. J. A. Hawley, S. J. Lessard, "Exercise training-induced improvements in insulin action", Acta physiologica, Vol.192, No.1, pp. 127-135, (2008). 

  21. B. A. Irving, C. K. Davis, D. W. Brock, J. Y. Weltman, D. Swift, E. J. Barrett, G. A. Gaesser, A. Weltman, "Effect of exercise training intensity on abdominal visceral fat and body composition",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Vol.40, No.11, pp. 1863-1872, (2008). 

  22. Y. Zhang, J. R. Sowers, J. Ren, "Targeting autophagy in obesity: from pathophysiology to management", Nature reviews. Endocrinology, Vol.14, No.6, pp. 356-376, (2018). 

  23. E. P. Daskalopoulos., C. Dufeys, C. Beauloye, L. Bertrand, S. Horman, "AMPK in cardiovascular diseases", Experientia. Supplementum. Vol.107, pp. 179-201, (2016). 

  24. K. Matsunaga, T. Saitoh, K. Tabata, H. Omori, T. Satoh, N. Kurotori, I. Maejima, K. Shirahama-Noda, T. Ichimura, T. Isobe, S. Akira, T. Noda, T. Yoshimori, "Two Beclin 1-binding proteins, Atg14L and Rubicon, reciprocally regulate autophagy at different stages", Nature cell biology, Vol.11, No.4, pp.385-396, (2009). 

  25. C. Hiebel, T. Kromm, M. Stark, C. Behl, "Cannabinoid receptor 1 modulates the autophagic flux independent of mTORand BECLIN1-complex", Journal of neurochemistry, Vol.131, No.4, pp. 484-497, (2014). 

  26. S. Pons, V. Martin, Portal L, R. Zini, D. Morin, A. Berdeaux, B. Ghaleh, "Regular treadmill exercise restores cardioprotective signaling pathways in obese mice independently from improvement in associated co-morbidities", Journal of molecular and cellular cardiology, Vol.54, pp. 82-89, (2013). 

  27. J. C. Campos, B. B. Queliconi, P. M. Dourado, T. F. Cunha, V. O. Zambelli, L. R. Bechara, A. J. Kowaltowski,P. C. Brum, D. Mochly-Rosen, J. C. Ferreira, "Exercise training restores cardiac protein quality control in heart failure", Public Library of Science, Vol.7, No.12, pp. e52764, (2012). 

  28. N. N. Wu, H. Tian, P. Chen, D. Wang, J. Ren, Y. Zhang, "Physical Exercise and Selective Autophagy: Benefit and Risk on Cardiovascular Health", Cell, Vol.8, No.11, pp. e1436, (2019). 

  29. H. Zhu, P. Tannous, J. L. Johnstone, Y. Kong, J. M. Shelton, J. A. Richardson, V. Le, B. Levine, B. A. Rothermel, J. A. Hill, "Cardiac autophagy is a maladaptive response to hemodynamic stress", The Journal of clinical investigation, Vol.117, No.7, pp.1782-93, (2007). 

  30. G. Bjorkoy, T. Lamark, A. Brech, H. Outzen, M. Perander, A. Overvatn, H. Stenmark, T. Johansen, "p62/SQSTM1 forms protein aggregates degraded by autophagy and has a protective effect on huntingtin-induced cell death", The Journal of cell biology, Vol.171, No.4, pp.603-614, (2005). 

  31. Y. T. Zheng, S. Shahnazari, A. Brech, T. Lamark, T. Johansen, J. H. Brumell, "The adaptor protein p62/SQSTM1 targets invading bacteria to the autophagy pathway", Journal of immunology, Vol.183, No.9, pp. 5909-5916. (2009). 

  32. X. Ma, H. Liu, S. R. Foyil, R. J. Godar, C. J. Weinheimer, J. A. Hill, A. Diwan, "Impaired autophagosome clearance contributes to cardiomyocyte death in ischemia/reperfusion injury", Circulation, Vol.125, No.25, pp. 3170-3181. (2012). 

  33. X. C. Ma, R. J. Godar, H. Y. Liu, A. Diwan, "Enhancing lysosome biogenesis attenuates BNIP3-induced cardiomyocyte death", Autophagy, Vol.8, No.3, pp. 297-309, (2012).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