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방자치단체의 일하는 방식 혁신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Innovation in the Way of Working of Local Government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8 no.12, 2020년, pp.21 - 28  

이향수 (건국대학교 인문사회융합대학) ,  이성훈 (고려대학교 경제통계학부) ,  정용훈 (고려대학교 경제통계학부)

초록

본 연구에서는 문재인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정부 혁신의 중요한 내용의 하나인 일하는 방식 혁신의 주요 전략 및 내용을 살펴보고, 특정 지자체의 사례를 중심으로 일하는 방식 혁신의 내용 및 성공요인을 분석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업무간소화를 통해 일하는 방식을 혁신한 사례를 분석하고 있는데 연구대상이 된 지방자치단체는 2019년 행정안전부의 정부혁신 평가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은 기관이다. 본 연구에서는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직원들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여 해당 기관의 업무간소화와 관련된 문제점 및 성과, 성공요인들을 살펴보았다. 업무간소화를 성공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첫째, 조직구성원들의 변화에의 동참을 유도할 수 있도록 공감대를 형성하는 것이 매우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업무간소화라는 혁신 프로젝트에 조직구성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인사가점 등의 인센티브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조직의 변화를 유도하고 지원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중간관리자 및 최고관리자의 관심과 지원이 매우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이러한 결과를 통해 향후 공공부문의 일하는 방식 혁신을 위한 정책마련에 일조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reviewed the main strategies and contents of the work style innovation promoted by the Moon Jae-in government, and analyzed the contents and success factors of the work innovation based on the case of a specific local government. In particular, this study analyzes the case of innov...

주제어

표/그림 (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걸맞도록 업무 프로세스를 재점검하여 공공부문의 일하는 방식을 효율적이고 스마트하게 전환할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는 업무 현장에서 실시간성·현장 대응성을 확보하여 신속하게 업무 처리할 수 있는 방안 및 정보 공유를 통한 집단지성 활용·업무 노하우 확산 방안 마련이 필요함을 지적한다.
  • 또한 업무간소화를 성공적으로 제고할 수 있었던 영향요인들을 분석하고자 한다. 결론 부분에서는 우리나라 지방자치단체 더 나아가 중앙부처 등 공공부문에서 일하는 방식의 혁신을 하는데 있어서 참조할 수 있는 정책적 함의를 제안하였다.
  • 기존 연구들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그동안 업무간소화 개선 사례 등에 대한 연구 문헌과 공공부문의 자료들을 검토하였다. 또한 B시의 업무 간소화 추진과 관련된 문서 자료 및 심층 인터뷰 내용 등을 정리하여 정부의 일하는 방식 개선에 대한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노력하였다.
  • 연구진들은 B시의 담당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 및 B시 내부 자료들을 바탕으로 업무간소화를 통한 일하는 방식 혁신의 추진과정을 연구하였다. 또한 업무간소화를 성공적으로 제고할 수 있었던 영향요인들을 분석하고자 한다. 결론 부분에서는 우리나라 지방자치단체 더 나아가 중앙부처 등 공공부문에서 일하는 방식의 혁신을 하는데 있어서 참조할 수 있는 정책적 함의를 제안하였다.
  • 사례를 분석하면서, 우선 왜 업무를 간소화하고자 하였는지 추진 배경을 분석하고, 업무간소화를 위해 어떠한 부분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하고 어떻게 접근했는지 등을 분석하였다. 또한 업무간소화를 통한 일하는 방식의 혁신을 도출하는데 있어서의 성공요인이 무엇이었는지를 검토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특정 지방자치단체의 사례를 분석하여 일하는 방식 혁신을 위한 업무간소화 과정을 연구하였으며, 성공요인을 도출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그러나 이러한 정책적 함의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질적 연구가 가지는 몇가지 한계를 지니고 있다.
  • 본 연구에서는 B시의 일하는 방식 혁신사례 분석을 위해 기존 연구의 분석, 연구대상 기관의 공무원들에 대한 심층 인터뷰를 수행하였다. 기존 연구들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그동안 업무간소화 개선 사례 등에 대한 연구 문헌과 공공부문의 자료들을 검토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문재인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정부 혁신에 대한 개념 및 내용들을 살펴보고, 특정 지방자치단체에서 성공적으로 추진한 일하는 방식의 혁신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향후 공공부문의 일하는 방식혁신을 추진하는데 있어서의 시사점을 밝혀보고자 한다.
  • 0“에서도 문재인 정부의 ’ 정부혁신‘의 주요 내용으로 공무원들의 일하는 방식의 개선을 이야기 하고 있다. 그렇다면 일하는 방식 혁신의 정의는 무엇인가 ? 그리고 정부 공무원들의 일하는 방식 혁신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어떤 노력들이 필요할까?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질문에 대한 답을 하고자 시작되었다.
  • 본 연구의 대상이 되고 있는 B시는 업무 생산성을 저해하는 관행을 제거하고자 했으며, 대민 현장업무에 집중하고자 업무 간소화를 추진하였다. B시의 경우 2019년 정부 혁신평가에서 일하는 방식 혁신의 우수사례로서 좋은 평가를 받은 지방자치단체이다.
  • 업무 생산성을 저해하는 낡은 관행을 타파하고 정책대안 마련 및 대민 현장업무 수행 등 국민을 위한 가치 창출 업무에 집중할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는 낡은 업무 관행의 제거, 업무 간소화, 관리자 실천 방안 등 기관별로 ‘선택과 집중’에 따른 자체 계획을 수립하여 추진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 ⓵ 낡은 업무 관행의 제거, ⓶ 업무 프로세스의 개선, ⓷ 소통과 토론을 통한 협업, ⓸ 일하는 공간의 혁신 등이다[7]. 이러한 논의들을 바탕으로 하여 본 연구에서는 일하는 방식의 혁신을 그동안의 업무관행을 개선하여 대민서비스의 질을 높이는 개선전략을 일하는 방식의 혁신으로 정의하고자 한다.
  • 따라서 향후에는 제도적 차원, 보상 차원, 공감대 형성 등의 분야에서의 성공 요인에 대해서 좀 더 구체적인 요인분석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일하는 방식 혁신에 어떠한 영향요인들이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를 경험적으로 증명할 필요가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 이하에서는 먼저 일하는 방식의 개념을 살펴보고, 일하는 방식 혁신을 성공적으로 이뤘다고 평가받고 있는 B시 사례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정부의 일하는 방식 혁신에 대한 정책적 함의를 살펴보고, 공공부문 특히 지방자치단체의 일하는 방식 개선에 기여하고자 한다.
  • 한다. 이를 통해 향후 공공부문의 일하는 방식혁신을 추진하는데 있어서의 시사점을 밝혀보고자 한다.
  • 이상 정부의 일하는 방식 혁신의 추진방향에 기반하여 본 연구에서는 우리정부의 일하는 방식의 혁신 범주 중에서 특히 낡은 업무관행의 제거에 대한 혁신 사례를 분석하고자 한다. B시는 그동안 관행적으로 지속되어 왔던 여러 가지 업무 관행을 개선하기 위해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인 지방자치단체로서 평가받아왔다[8].
  • B시는 그동안 관행적으로 지속되어 왔던 여러 가지 업무 관행을 개선하기 위해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인 지방자치단체로서 평가받아왔다[8]. 이하에서는 B시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일하는 방식을 개선하기 위해 그동안의 업무관행 및 조직문화를 어떻게 변화시키고자 노력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 이하에서는 B시청에 근무하는 공무원들의 일하는 방식 혁신을 위해 업무 간소화하는 과정을 분석하고자 한다. 사례를 분석하면서, 우선 왜 업무를 간소화하고자 하였는지 추진 배경을 분석하고, 업무간소화를 위해 어떠한 부분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하고 어떻게 접근했는지 등을 분석하였다.
  • 일하는 방식의 물리적 기반이 되는 사무공간에 대한 인식을 전환하여, 수평적이고 창의적인 조직문화 조성을 유도하는 공간 조성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는 협업과 소통을 활성화하여 창의성과 업무효율을 극대화하고 유니버설 디자인 개념 및 직원복지 개념을 적용한 공간을 추구할 것을 독려한다.
  • 정부 내 협업을 촉진하여 정부가 일하는 방식과 문화에 협업을 내재화하여 정부 정책수립 및 문제해결 역량을 획기적으로 제고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는 팀 간, 과 간, 실·국 간 소통과 토론의 조직문화를 확산하여 국민을 위한 정책을 부처 칸막이 없이 함께 만드는 기반을 마련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http://www.anyang.go.kr/anyang/main.do 

  2. K. Asakawa, H. Nakamura. & N. Sawada. (2010). Firms' open innovation policies, laboratories' external collaborations, and laboratories' R&D performance. R&D Management, 40(2), 109-123. DOI : 10.1111/j.1467-9310.2010.00598.x 

  3. S. D. Chang, & Y. M. Zhu. (2012). Corporate Entrepreneurship, Social Capitals, and SMEs' Performance in China. The e-Business Studies, 13(2), 283-299. DOI : 10.15719/geba.13.2.201206.283 

  4. J. C. Hayton, (2003). Strategic human capital management in SMEs: An empirical study of entrepreneurial performance. Human Resource Management, 42(4), 375-391. DOI : 10.1002/hrm.10096 

  5. J. T. Kim & J. S. Han. (2017). Cultural Management Innovation through the Adoption of Internet of Things: Case of Smart Farm,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3), 65-75. DOI : 10.14400/JDC.2017.15.3.65 

  6. Newspaper articles, Park Joo-hee, US-EU, European Union's Social Value Law enacted ... Korea is in the process of parliament, the Korea Daily, March 31, 2018 

  7.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2018), Governmental Ways of Work Innovation Innovation Guidelines. 

  8. Central government joint, Government innovation comprehensive plan, 2018.3.19. 

  9. K. Nah, S. Sung, Y. Jeon & E. K. Lee. (2017). A Study on Design Development Direction for Designing Aging Friendly City through The Case Analysi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6), 61-69. DOI : 10.14400/JDC.2017.15.6.61 

  10. J. M. Do & J. D. Kim. (2014). A Study on Critical Success Factors for Enterprise Security Collaborat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2(10), 235-242. DOI : 10.14400/JDC.2014.12.10.235 

  11. B. Y. Jeung. (2018). Influence on Successful Aging and Mediation Effect of Retirement Preparation by Social Paritication Attitude of Public Officials in Korean Baby Boom Generat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1), 93-101. DOI : 10.14400/JDC.2018.16.1.093 

  12. Article 3 (1) of the Basic Act on the Realization of Social Value of Public Agencies M. S. Jeong. (2078). A Study on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Learning on Corporate Performance: Case Study on Mediating Effects of Intangible Asses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11), 97-105. DOI : 10.14400/JDC.2017.15.11.97 

  13. Korean Chamber of Commerce, McKinsey.(2016), Korean Organizational Health and Corporate Culture Report. 

  14. S. K. Kim. (2016). The Study on the CSR -Focused on LG Electronic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6), 69-83. DOI: 10.14400/JDC.2016.14.6.69 

  15. B. Baruah, & A. Ward, (2015). Metamorphosis of intrapreneurship as an effective organizational strategy. International Entrepreneurship and Management Journal, 11(4), 811-822. DOI : 10.1007%2Fs11365-014-0318-3 

  16. H. P. Zhang, J. K. Kim, H. H. Wang & Y. K. Lee. (2018). The Effect of Intrapreneurship on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Open Innovation -Focused on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in Busa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3), 101-111. DOI : 10.14400/JDC.2018.16.3.101 

  17. S. A. Zahra. (1993). Environment, corporate entrepreneurship, and financial performance: A taxonomic approach.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8(4), 319-340. DOI : 10.1016/0883-9026(93)90003-N 

  18. G. T. Lumpkin,. & G. G. Dess, (1996). Clarifying the entrepreneurial orientation construct and linking it to performanc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1(1), 135-172. DOI : doi.org/10.5465/amr.1996.9602161568 

  19. H. S. Lee & S. H. Lee. (2016). Study on the Environment of Collaboration on Private Enterprises: Focusing on the Implications for Public Organizat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9), 1-7. DOI : 10.14400/JDC.2016.14.9.1 

  20. H. S. Lee & S. H. Lee. (2017). Diagnosis of Organizational Culture: Focused on Public Institution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3), 9-16. DOI : 10.14400/JDC.2017.15.3.9 

  21. S. W. Kim. (2016). A Conceptual Framework for the Personalization of Public Administration Service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6), 61-69. DOI : 10.14400/JDC.2017.15.6.6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