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사회와의 협업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Collaboration with Local Communitie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20 no.3, 2022년, pp.27 - 34  

이향수 (건국대학교 인문사회융합대학) ,  이성훈 (고려대학교 경제통계학부) ,  정용훈 (고려대학교 경제통계학부)

초록

본 연구에서는 P시에서의 문화재보호구역 내 군시설 설치와 관련된 갈등을 해결하기 위한 협업 사례를 분석하여 협업의 실질적인 추진과정 및 성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이를 통해 협업에의 영향요인들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이 된 P시 문화재 보호구역내 협업사례는 협업의 우수사례로서, 해당 협업에의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이러한 심층인터뷰를 통해 P시 문화재보호구역 내 협업과제의 추진배경, 협업과정, 협업의 성과 및 성공요인들을 살펴보았다. P시 문화재보호구역 내 군시설 설치와 관련된 협업 성공요인은 다음과 같이 도출되었다. 첫째, 협업의 공감대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 지역사회발전이라는 공동의 목표의식을 갖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둘째, 협업을 성공적으로 유도하기 위해 기관차원의 지원이 필수적이다. 기관장 뿐 아니라 중간관리자들이 협업에 대한 관심과 이에 대한 다양한 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협업 참여자간 공식적인 의사소통 및 비공식적인 의사소통이 매우 중요하다. 협업을 위해서는 공식적인 의사소통 뿐 아니라 비공식적인 의사소통도 중요하다. 본 연구의 이러한 결과를 통해 향후 지역 사회에서의 협업을 유도하는데 일조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practical implementation process and performance of cooperation were analyzed by analyzing the cases of collaboration to resolve conflicts related to the installation of military facilities in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zone in P city. In addition, through this, factors affe...

주제어

표/그림 (3)

참고문헌 (19)

  1. http://psr.kr/data-archive/bill/?modeview&board_pid36 

  2. http://www.molit.go.kr/USR/NEWS/m_71/dtl.jsp?lcmspage1&id95084235 

  3. D. J. Teece. (2007). Explicating dynamic capabilities: the nature and microfoundations of (sustainable) enterprise performance.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28(13), 1319-1350. DOI : 10.1002/smj.640 

  4. K. Asakawa, H. Nakamura & N. Sawada. (2010). Firms' open innovation policies, laboratories' external collaborations, and laboratories' R&D performance. R&D Management, 40(2), 109-123. DOI : 10.1111/j.1467-9310.2010.00598.x 

  5. https://hello-imawesome.tistory.com/16 

  6. Z. Hoque., & W. James. (2000). Linking balanced scorecard measures to size and market factors: impac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Journal of management accounting research, 12(1), 1-17. DOI : 10.2308/jmar.2000.12.1.1 

  7. https://www.posri.re.kr/ko/board/content/13380, 이상현, POSRI 리더스 뷰 

  8. J. C. Hayton, (2003). Strategic human capital management in SMEs: An empirical study of entrepreneurial performance. Human Resource Management, 42(4), 375-391. DOI : 10.1002/hrm.10096 

  9. H. P. Zhang, J. K. Kim, H. H. Wang & Y. K. Lee. (2018). The Effect of Intrapreneurship on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Open Innovation -Focused on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in Busa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3), 101-111. DOI : 10.14400/JDC.2018.16.3.101 

  10. B. Y. Jeung. (2018). Influence on Successful Aging and Mediation Effect of Retirement Preparation by Social Paritication Attitude of Public Officials in Korean Baby Boom Generat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1), 93-101. DOI : 10.14400/JDC.2018.16.1.093 

  11. M. S. Jeong. (2017). A Study on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Learning on Corporate Performance: Case Study on Mediating Effects of Intangible Asses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11), 97-105. DOI : 10.14400/JDC.2017.15.11.97 

  12. Morten T. Hanssen, 「Collaboration: How Leaders Avoid the Traps, Build Common Ground, and Reap Big Results」, Harvard Business Review Press, 2009 

  13. A. T. Himmelman, Collaboration for a change: Definitions, decision-making roles, and collaboration process guide. Minneapolis: Himmelman Consulting, 2002. 

  14. T. B. Lawrence, C. Hardy & N. Phillips, Institutional Effects of Interorganizational Collaboration: The Emergence of Proto-Institutionsm, Th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45(1), 281-290, 2002. 

  15. DOI: http://www.aiim.org/What-is-Collaboration 

  16. H. S. Lee & S. H. Lee. (2016). Study on the Impact of Collaboration on Business Performance in the Public Sector,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3), 35-43. DOI : 10.14400/JDC.2016.14.3.35 

  17. J. T. Kim & J. S. Han. (2017). Cultural Management Innovation through the Adoption of Internet of Things: Case of Smart Farm,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3), 65-75. DOI : 10.14400/JDC.2017.15.3.65 

  18. http://stat.paju.go.kr/data_stat/data_origin.asp 

  19. S. K. Kim. (2016). The Study on the CSR -Focused on LG Electronic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6), 69-83. DOI: 10.14400/JDC.2016.14.6.6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