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업가정신이 조직문화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및 조직문화의 조절효과 -자동차 제조기업을 중심으로-
The Impacts of Entrepreneurship on Organizational Culture and Job Satisfaction and 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ulture -Focusing on Automobile Manufacturing Enterprise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8 no.12, 2020년, pp.171 - 182  

정수철 (부산대학교 경영학과) ,  조영복 (부산대학교 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기업가정신이 조직문화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기업가정신과 직무만족 사이에서 조직문화가 조절역할을 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실증분석을 통해서 조직성과를 보다 높일 수 있는 전략적인 방안을 제시하는 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하여 선행연구들의 이론적 배경과 연구모형을 참조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를 요약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가정신(혁신성, 진취성, 위험감수성)을 독립변수로 직무만족을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기업가정신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기업가정신이 조직문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혁신성, 진취성, 위험감수성 모두가 조직문화에 유의적인 정(+)의 효과를 보여 주었다. 셋째, 조직문화와 직무만족 간의 관계 분석에서 개발문화와 합리문화 2개의 요인만이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실증분석 결과는 남성위주의 현장 작업자들이 많은 자동차 제조기업의 경직된 조직문화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다른 자동차 제조기업을 포함하는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intended to analyze the effects of Entrepreneurship on manufacturing(G-automobile) employees' Organizational Culture and Job satisfaction. A proposed model based on previous research was empirically tested via SPSS 25.0 using 349 valid samples collected from current employees of G-aut...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지금까지 대부분의 연구들이 단기적 기업성과와의 상관관계에 초점을 맞추었지만 기업가정신은 단기적 성과보다는 중장기적 성과에서 의미를 가진다고 볼 수 있다(Zahra & Covin, 1995)[44]. 따라서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기업가정신이 경영성과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주고 있다는 사실들을 참고로 하여 자동차 제조기업의 기업가정신이 직무 만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 최근 들어서는 개인의 개성을 존중하고 인정하는 문화가 자리 잡기 시작했으나아직도 연공서열(seniority)식의 위계문화가 엄연히 존재하고 있는 상황에서 기업들이 경쟁우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 것인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자동차 제조기업의 기업가정신이 조직문화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분석함으로써 기존의 실증연구에서 기업가정신이 조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주장들에 대한 검증과 함께 조직문화가 기업가정신과 직무만족 간에 조절효과가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와 같은 실증분석을 통해서기업경영에서 조직성과를 보다 높일 수 있는 전략적인방안을 제시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 주장들에 대한 검증을 해보고자 하였다. 또한 조직문화가 기업가정신과 직무만족 사이에서 조절 효과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실증분석을 통해서 자동차 제조기업의 조직성과를 보다 높일 수 있는 전략적인 방안을 제시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자동차 제조기업의 기업가정신이 조직문화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을 통해서 기존의 실증연구에서 기업가정신이 조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주장들에 대한 검증을 해보고자 하였다. 또한 조직문화가 기업가정신과 직무만족 사이에서 조절 효과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 한편, Valmohammadi et al(2015)에 따르면, 조직문화 체계를 혈연 문화, 임시문화, 거래 문화, 위계 문화로 분류하였고[31], Ogbonna and Harris(2000)는 경쟁적 문화, 혁신적 문화, 관료적 문화, 공동체적 문화로 구분하고, 조직의 성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혁신적 문화와 경쟁적문화가 중요한 요인이라고 제시하였다[32]. 연구에서는 많은 기존의 연구들이 채택하고 있는 Quinn과 McGrath(1985)의 경쟁가치모형을 활용하여 조직문화유형을 합리문화, 집단문화, 개발문화, 위계문화로 분류하여실증분석을 진행하고자 한다[10].
  • 본 연구의 목적은 자동차 제조기업의 기업가정신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기업가정신이 조직문화에 직무만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서 [Fig.
  • 또한 김종환 등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사내기업가정신과 개인의 적응성과의 관계에서 감성지능의 매개효과와 지원적리더십의 조절효과가 있음을 검증하였다[20]. 위에서 살펴본 선행연구들을 참고하여 본 연구는 기존의 개인 차원에서 다루던 기업가정신을 조직 차원으로 확대하여 기업 내부의 구성원이 인식하는 기업가정신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 또한 조직문화가 기업가정신과 직무만족 사이에서 조절 효과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실증분석을 통해서 자동차 제조기업의 조직성과를 보다 높일 수 있는 전략적인 방안을 제시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을 위해 자동차 제조기업인 G사를 대상으로 40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376부를 회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 중에서 미성실 답변 27부를 제외한 총 349부를 통계분석에 사용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자동차 제조기업의 기업가정신이 조직문화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분석함으로써 기존의 실증연구에서 기업가정신이 조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주장들에 대한 검증과 함께 조직문화가 기업가정신과 직무만족 간에 조절효과가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와 같은 실증분석을 통해서기업경영에서 조직성과를 보다 높일 수 있는 전략적인방안을 제시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 1]과 같이 연구 모형을설정하고, 실증분석을 위하여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 결과들을 참고로 하여 기업가정신의 하위 요소로 혁신성 (innovativeness), 진취성(proactiveness), 그리고 위험감수성(risk-taking)을 설정하였다. 조직문화는 개발문화, 집단문화, 합리문화, 위계문화로 구분하여 기업가정신과 조직문화와의 관계, 조직문화와 직무만족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기업가정신과 직무만족 사이에서 조직문화의 조절효과를 분석해 보고자 한다. 설문문항은 선행연구들이 사용하여 검증된 설문을 바탕으로 설정하였으며, 실증분석을 위해 자동차 제조기업인 G사를 대상으로 400 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376부를 회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 중에서 미성실 답변 27부를 제외한 총 349부를 통계분석에 사용하였다.

가설 설정

  • 가설 1: 기업가정신은 직무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2: 기업가정신은 조직문화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3: 조직문화는 직무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미칠 것이다.

  • 가설 4: 기업가정신과 직무만족과의 관계에서 조직 문화는 조절변수로서 유의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4)

  1. S. Shane & S. Venkataraman. (2000). The Promise of Entrepreneurship as a Field of Research.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5(1). 217-226. 

  2. K. Arrow. (1962). Economic welfare and the allocation of resources for invention, In The rate and direction of inventive activity: Economic and social factors. edited by R. Nelson,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609-626. 

  3. I. M. Kirzner (1997). Entrepreneurial discovery and the competitive market process: an Austrian approach. Journal of Economic Literature, 35(1). 60-85. 

  4. J. A. Schumpeter. (1934). The Theory of Economic Development, MA, Harvard University Press. 

  5. P. F. Drucker. (1973). Management: Tasks, Responsibilities, Practices, New York, Harper and Row. 

  6. J. S.. McMullen & D. A. Shepherd. (2006). Entrepreneurial action and the role of uncertainty in the theory of the entrepreneur.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31(1). 132-152. 

  7. M. H. Morris & D. F. Kuratko. (2002). Corporate Entrepreneurship: Entrepreneurial Development within Organizations. TX, Harcourt College Publishers. 

  8. J. Timmons & S. Spinelli. (2009). New venture creation: Entrepreneurship for the 21st Century. New York, McGraw Hill. 

  9. J. Martin. (2002). Cultures in organizations: Three perspective. N.Y.: Oxford University Press. 

  10. R. E Quinn & M. R. McGrath. (1985). The Transformation of Organizational Cultures: A Competing Values Perspective. Organizational Culture, P. J. Frost, L. F. Moore, M. R. Louis, C. C. Lundberg, and J. Martin (eds.). Sage Publications. London. 315-334. 

  11. M. A. White & G. D. Bruton. (2010). The management of technology and innovation: A strategic approach. Mason. OH : Cengage Learning. 

  12. J. Zhou & C. E. Shalley. (2003). Research on employee creativity: A critical review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Research in Personnel and Human Resources Management, 165-217. 

  13. P. Drucker. (2014). Innovation and entrepreneurship. London ; New York : Routledge. 

  14. H. Stevenson & D. Gumpert. (1985). The heart of entrepreneurship. 

  15. J. C. Goodale, D. F. Kuratko, J. S. Hornsby & J. G. Covin. (2011). Operations management and corporate entrepreneurship: The moderating effect of operations control on the antecedents of corporate entrepreneurial activity in relation to innovation performance. Journal of Operations Management, 29(1). 116-127. DOI : 10.1016/j.jom.2010.07.005 

  16. D. Miller. (1983). The Correlates of Entrepreneurship in Three Types of Firms. Management Science, 29(7). 770-791. DOI : 10.1287/mnsc.29.7.770 

  17. G. T. Lumpkin & G. G. Dess. (1996), Enriching the Entrepreneurial Orientation Construct-A Reply to Entrepreneurial Orientation or Pioneer Advantage. JSTOR. 

  18. J. G. Miller & D. P. Slevin. (1989). Strategic management of small firms in hostile and benign environments.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10(1). 75-87. DOI : 10.1002/smj.4250100107 

  19. B. C. Han, Y. H. Cho, C. S. Song, E. K. Kim & S. K. yu Lee. (2018). A study of the relationship of Entrepreneurship, Absorptive capacity and Creative product.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10). 187-197. DOI : 10.14400/JDC.2018.16.10.187 

  20. J. K. Kim & K. H. Park. (2018). Relations between Intrapreneurship and Emotional Intelligence, Supportive Leadership and Adaptation Performance in Organizat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11). 289-301. DOI : 10.14400/JDC.2018.16.11.289 

  21. A. M. Pettigrew. (1979). On studying Organizational Culture.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24. 570-581. 

  22. E. H. Schein. (1992). Organizational Culture and Leadership. 2nd ed. San Francisco: Jossey-Bass. 

  23. T. E. Deal & A. A. Kennedy. (1982). Corporate Culture: The Rites and Rituals of Corporate Life. Reading. MA: Addison-Wesley. 

  24. R. F. Korte & T. J. Chermack. (2007). Changing organizational culture with scenario planning. Futures, 39(6). 645-656. 

  25. M. Dull. (2009). Results-model reform leadership: Questions of credible commitment.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Research and Theory, 19(2). 255-284. 

  26. J. Hartmann & A. M. Khademian. (2010). Culture Change Refined and Revitalized: The Road Show and Guides for Pragmatic Action.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70(6). 845-856. 

  27. C. A. Hartnell, A. Y. Ou & A. Kinicki. (2011).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 meta-analytic investigation of the competing values framework's theoretical supposition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6(4). 677. 

  28. G. Hofstede, M. H. Bond & C. l. Luk. (1993). Individual perceptions of organizational cultures: A methodological treatise on levels of analysis. Organization Studies, 14(4). 483-503. 

  29. S. W. Kozlowski & K. J. Klein. (2000). A multilevel approach to theory and research in organizations: Contextual, temporal, and emergent processes. In K. J. Klein & S. W. 

  30. C. A. O'Reilly & J. A. Chatman. (1996). Culture as social control: Corporations, cults, and commitment.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18. 157-200. 

  31. C. Valmohammadi & S. Roshanzamir. (2015). The guidelines of improvement: Relations among organizational culture, TQM and performance. International Journal of Production Economics, 164. 167-178. 

  32. E. Ogbonna & L. C. Harris. (2000). Leadership style, organizational culture and performance: Empirical evidence from UK companies.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11(4). 766-788. 

  33. E. A. Locke. (1976.). The nature and cause of job satisfaction. In M. K. Dunnette (Ed.). Handbook of industrial & organizational psychology, Chicago: Rand McNally. 

  34. D. W. Organ. (1988).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e good soldier syndrome. Lexington. MA: Lexington Books. 

  35. R. Hoppock. (1935). Job Satisfaction. New York: Harper. 

  36. F. Herzberg. (1959). The Motivation to Work. New York: Wiley. 

  37. B. J. Avolio, F. Luthans & F. O. Walumba. (2004). Authentic leadership: Theory building for veritable sustained performance. Working paper. Gallup Leadership Institute. University of Nebraska-Lincoln. 

  38. G. C. Banks, K. D. McCauley, W. L. Gardner & C. E. Guler. (2016). A meta-analytic review of authentic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 test for redundancy. The Leadership Quarterly, 27(4). 634-652. 

  39. J. E. Hoch, W. H. Bommer, J. H. Dulebohn & D. Wu. (2018). Do ethical, authentic, and servant leadership explain variance above and beyo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 meta-analysis. Journal of Management, 44(2). 501-529. 

  40. F. Rahimnia & M. S. Sharifirad. (2015). Authentic leadership and employee well-being: The mediating role of attachment insecurity. Journal of Business Ethics, 132(2). 363-377. 

  41. R. V. Aguilera, D. E. Rupp, C. A. Williams & J. Ganapathi. (2007). Putting the S back i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 multilevel theory of social change in organizations.. Th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32(3). 836-863. 

  42. J. L. Yun, H. B. Wi & K. S. Choi. (2003). An Empirical Study on the Effecting Factors of Corporate Entrepreneurship i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 Focus on Moderator of Dynamic Environment and Personality of CEO. Korea Journal of Business Administration, 37. 869-888. 

  43. J, H. Rhee, J, H. Lee & J, H, Yoon. (2007). Relationships Between Corporate Entrepreneurship, Formalization, and Organizational Cultures,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22(1). 91-118. DOI : 10.22903/jbr.2007.22.1.91 

  44. S. A. Zahra & J. G. Covin. (1995). Contextual Influences on the corporate entrepreneurship-performance relationship.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10(1). 43-59. 

  45. K. S. Cameron & R. E. Quinn. (1999). Diagnosing and changing organizational culture. Addison-Wesley Publishing Company, Inc. 

  46. R. E. Quinn & J. R. Kimberly. (1984). Paradox, Planning, and Perseverance: Guidelines for Managerial Practice. In G.R. Kimberly. J.R.E. Quinn(Eds). Managing Organizational Transitions, 295-313. 

  47. D. R. Denison & A. K. Mishra. (1995). Toward a theory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effectiveness. Organization Science, 6(2). 204-223. 

  48. R. L. Daft. (2007). Organization theory and design(9th ed.). Cincinnati. OH: South-Western. 

  49. J. P. Kotter & J. L. Heskett. (1992). Corporate culture and performance. New York: Free Press. 

  50. R. H. Kilman, M. H. Saxton & R. Serpa. (1985). Gaining control of corporate culture. San Francisco. Jossey-Bss. 

  51. J. S. Seo & H. K. Cho. (2017). The influence of organizational culture of family welfare organization on the professionalism of healthy families specialist. Korea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21(3). 1-21. 

  52. G. T. Lumpkin & G. G. Dess. (1996). Enriching the Entrepreneurial Orientation Construct-A Reply to Entrepreneurial Orientation or Pioneer Advantage. JSTOR. 

  53. M. Johnson-Cramer, S. Parise & R. L. Cross. (2007). Managing Change through Distributed Values: How a Relational View of Culture Can Facilitate Large Scale Change. California Management Review, 43(3). 85-109. 

  54. J. N. Ko, K. H. Lee & J. H. Kwon. (2014). Study on the Interaction Effect of Corporate Entrepreneurship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ocusing on Tourism Industries in Jeju-. The Journal of Business Education, 28(5). 373-403. UCI : G704-001402.2014.28.5.0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