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페이스북에 대한 태도가 광고회피에 미치는 영향: 광고 침입성과 광고태도의 이중직렬매개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Facebook Attitude on Advertising Avoidance: Focusing on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Advertising Intrusiveness and Advertising Attitude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8 no.12, 2020년, pp.251 - 258  

염동섭 (목원대학교 광고홍보언론학부)

초록

본 연구는 페이스북에 대한 태도와 페이스북에 게시된 광고회피와의 관계에서 광고 침입성과 광고태도의 이중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 목적에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대전 M대학에 재학 중인 남, 여 대학생 2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 PROCESS MACRO를 통해 분석을 진행했다. 분석결과 첫째, 페이스북 태도와 광고태도는 유의한 정적 상관이, 페이스북 태도와 광고 침입성, 광고회피는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광고 침입성과 광고회피는 유의한 정적 상관이, 광고 침입성과 광고태도는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광고태도와 광고회피는 유의한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페이스북에 대한 태도와 페이스북에 게시된 광고회피와의 관계에서 광고 침입성, 광고태도의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완전이중직렬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페이스북 태도가 페이스북에 게시된 광고의 회피 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광고 침입성과 광고태도가 매개역할을 함으로써 광고회피 수준을 한층 더 낮게 만들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advertising intrusiveness and advertising attitud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cebook attitude and advertising avoidance on Facebook advertisements. A survey was conducted on 250 male and female students attending M University loc...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위와 같은 이론적 배경의 문헌고찰을 통하여 광고회피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추론되는 다양한 관련 변수들(매체태도, 광고 침입성, 광고태도 등)에 대해살펴보았다. 이에 아래와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으며, 이를 모형으로 제시하면 Fig.
  • 본 연구는 이러한 현실에 착안하여 이용자들의 심리적, 행동적 특성을 반영한 광고회피라는 변인을 통해 광고의 효과성을 제고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해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즉 광고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변인을 찾아내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용자들의 광고 회피를 줄임으로써 광고의 효과를 제고시키는 것 또한 매우 의미 있는 발견이라 사료되기 때문이다.
  • 본 연구는 이처럼 광고회피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선행변수들 중 매체태도 즉 페이스북에 대한 태도, 광고침입성, 광고태도 등을 선행변수로 하여 지금까지 살펴보지 못했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페이스북에 대한 태도가 페이스북에 게시된광고회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광고의 침입성과 광고태도의 이중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대전 M대학에 재학 중인 남·여 대학생 25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페이스북에 대한 태도, 광고 침입성, 광고태도, 광고회피 등을측정하였다.
  • 연구문제 1: 페이스북 태도와 페이스북에 게시된 광고 회피와의 관계에서 광고 침입성과 광고태도는 이 중 직렬매개효과를 가질 것인가?
  • 이에 본 연구는 광고회피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추론되는 매체태도, 광고침입성, 광고태도 등을 선행변수로 한 매개효과에 대한 검증을 통해 광고의 효과성을 제고하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진행되었다. 특히 단순 매개가 아닌 이중매개효과에 대해 검증해봄으로써 페이스북에 게시된 수많은 광고들로 인해 이용자들이 체감하는 광고 침입성이나 회피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단서를 제공해 보고자 한다.
  • 광고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변인을찾아내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용자들의 광고회피를 줄임으로써 광고의 효과를 제고시키는 학문적 접근 또한 필요한 일이다. 이에 본 연구는 페이스북에서의 광고회피를중심으로 한 수용자 효과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 특히 단순 매개가 아닌 이중매개효과에 대해 검증해봄으로써 페이스북에 게시된 수많은 광고들로 인해 이용자들이 체감하는 광고 침입성이나 회피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단서를 제공해 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는 페이스북에 대한 광고효과를 높이기 위해 광고효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변인들의 직접효과에 대한 고찰이 아니라 광고회피를 줄임으로써 광고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간접효과에 초점을 둔 연구라는 점에서 기존 연구와의 차별적 의의를 지닐 것으로 기대한다.

가설 설정

  • ②나는 페이스북을 이용하는 것에 긍정적이다. ③페이스북을 이용하는 것은 전반적으로 만족스럽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Wikipedia. (2020.09.19.). https://ko.wikipedia.org/wiki/%ED%8E%98%EC%9D%B4%EC%8A%A4%EB%B6%81 (accessed September. 19. 2020). 

  2. Korea Information Society Development Institute. (2019). 2019 Korean Media Panel Survey. 

  3. E. H. Lee. (2018). The Impact of Facebook Access Motivation on Offline Interpersonal Relationship Change and Continuance Usage Intention of Facebook.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4(2), 97-105. 

  4. E. H. Kim. (2018). A Study on the Motivation Factors Affecting Facebook Advertising Effectiveness.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8(4), 135-149. 

  5. H. M. Byeon. & S. W. Shim. (2016). The Study on the Effect on Social Native ads : Facebook Sponsored Advertising. Journal of Practical Research in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9(3), 26-48. 

  6. E. H. Kim. & S. Y. Yu. (2018). The Effects of SNS Advertisement Constituents on Advertising Reliability and Purchase Intention: Focusing on Facebook.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5), 163-172. 

  7. S. B. Chang. & D. S. Youm. (2018). The Effects of User Experience on Facebook Acceptance Behavior and Advertising Acceptance Behavior.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3), 169-179. 

  8. Y. J. Yang. & C. H. Cho. (2012). A Study of Advertising Avoidance Level and Its Predictors in Various Media. Advertising Research, 92, 355-381. 

  9. Y. H. Kim. (2004). The Predictors of Advertising Avoidance in Newspaper. Advertising Research, 64, 9-33. 

  10. J. P. Hong. (2009). Investigation of advertising avoidance and its predictors in six different media types.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20(5), 181-212. 

  11. K. Y. Lee. (2001). The study on predictors of advertising avoidance behaviors in television advertising: With emphasis on cognitive, mechanical, and physical advertising avoidance.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12(2), 165-189. 

  12. Danaher, P. J. (1995). What happens to television ratings during commercial breaks?.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35(1), 37-37. 

  13. Krugman, D. M., Cameron, G. T., & White, C. M. (1995). Visual attention to programming and commercials: The use of in-home observations. Journal of Advertising, 24(1), 1-12. 

  14. Speck, P. S., & Elliott, M. T. (1997). Predictors of advertising avoidance in print and broadcast media. Journal of Advertising, 26(3), 61-76. 

  15. Weimann, G. (1995). Zapping in the Holy Land: Coping with multi-channel TV in Israel. Journal of Communication, 45(1), 96-102. 

  16. H. J. Soh. & P. S. Park. (2008). The Relationship of Attitude-toward-Advertising-in-General to Advertising Avoidance. Advertising Research, 78, 115-142. 

  17. J. Y. Cho. (2000). Student perceptions of TV advertising clutter: It's impact on the attitude toward the ad and ad avoidance.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11(4), 211-229. 

  18. I. G. Choe. & S. P. Han (2008). The Study of Factors Affecting Mobile Advertising Avoidance. The Korean Journal of Consumer and Advertising Psychology, 9(3), 523-547. 

  19. S. B. Chang., & D. S. Youm.. (2018). The Effects of User Experience on Facebook Acceptance Behavior and Advertising Acceptance Behavior.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3), 169-179. 

  20. Hayes, Andrew F. (2012). PROCESS: A versatile computational tool for observed variable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modeling [White paper]. Retrieved from http://www.afhayes.com/public/process2012.pdf. 

  21. Hayes, Andrew F. (2013).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A Regression­Based Approach. New York, NY: The Guilford Press. Journal of Educational Measurement, 51(3), 335-33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