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SNS 광고 구성요인이 광고 신뢰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페이스북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SNS Advertisement Constituents on Advertising Reliability and Purchase Intention: Focusing on Facebook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6 no.5, 2018년, pp.163 - 172  

김은희 (목원대학교 광고홍보언론학과) ,  유승엽 (남서울대학교 광고홍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페이스북 광고 구성요인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이들 요인들중 광고 신뢰도와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 확인하였다. 이를 위한 자료 수집은 페이스북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이루었다. 수집된 자료는 탐색적 요인분석과 다중 회귀분석을 통해 결과를 도출 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페이스북 광고 구성요인은 광고 흥미성, 맞춤 정보성, 광고 노출성, 주변인 반응성, 제품후기 정보성의 5개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광고 신뢰도에는 광고 구성요인 중 맞춤 정보성이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광고 노출성은 광고 신뢰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구매의도에는 맞춤 정보성과 광고 흥미성이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페이스북 광고의 이론적 발전과 페이스북 광고 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실무적 함의를 갖는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what constitutes the factors of the advertisement of Facebook advertisement, and what factors affect the reliability of the advertisement and the purchase inten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Facebook users and analyzed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지금까지 진행된 페이스북 광고연구 에서는 기존의 광고와는 어떠한 차별적 구성요인을 갖고 있는지 밝혀지지 않은 상황에서 페이스북 광고효과 연구는 지속되고 있다. 그럼으로 본 연구에서 페이스북 광고의 구성요인을 확인하고 이러한 요인들은 페이스북 광고의 신뢰성과 광고 속 제품의 구매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이상의 연구는 페이스북 광고의 이론적 기틀을 세울 수 있다는 학문적 함의와 페이 스북 광고를 활용한 마케팅 전략과 전술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한다는 실무적 의의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 다음으로는 페이스북 광고의 흥미로움과 맞춤 정보제공 그리고 후기 등을 통한 정보성 메시지가 광고의 신뢰성과 구매의도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 다. 그 결과 페이스북 광고 구성요인 중 맞춤 정보성이 높을수록 광고 신뢰도에 긍정적인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본 연구는 SNS의 특성을 대표하는 페이스북의 특성을 이해하고 페이스북 광고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소비자 접점과 일치하는 마케팅과 광고의 전략 그리고 전술을 구현하기 위한 시사점과 학문적 함의를 찾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와 논의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이상의 논거를 토대도 광고 정보를 전달하는 SNS 중 페이스북의 광고 구성요인들은 광고 신뢰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구성요인들의 영향력은 어떠한지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토대로 가설을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 본 연구는 페이스북 광고 구성요인에 따른 소비자 태도를 확인하고자 함이다. 이에 본 연구를 위한 응답자는 현재 페이스북을 사용하고 있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 본 연구에서는 타당성과 신뢰성이 검증된 페이스북 광고 구성요인 중 어떠한 요인이 광고 신뢰도와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영향력은 어떠한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페이스북 광고를 구성하고 있는 요인들이 광고 신뢰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페이스북 광고 구성요인중 맞춤 정보성(t=6.
  •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페이스북 광고를 구성하고 있는 요인들이 구매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페이스북 광고 구성요인 중 구매의도에 영향력이 가장 높은 것은 맞춤 정보성 (t=7.
  • 이들의 연구에서는 Ducoffe[16]와 Tsang과 동료들[17]이 제시한 광고 정보성, 오락성, 성가심, 신뢰성을 선행변인으로 연구가 이루어질 뿐 페이스 북만의 특성을 구축한 광고 구성요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광고 플랫폼으로써의 페이스북의 성장과 광고 특성을 토대로 페이스북 광고 구성요인은 무엇인지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페이스북 광고를 구성하고 있는 요인들이 구매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Table 3과 같다.
  • 페이스북 광고를 구성하고 있는 요인들이 페이스북 광고 신뢰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분석결과는 Table 2와 같다.
  • 페이스북 광고의 맞춤 정보성이 광고의 신뢰성을 구축하고 있다는 연구결과와 더불어 페이스북 광고가 소비자들의 구매행동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지 예측하기 위하여 구매의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페이스북 광고 구성요인 중 맞춤 정보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가설 설정

  • 연구가설 1. 페이스북 광고 구성요인은 광고신뢰도에 정의 영향이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구매의도란 무엇인가? 구매의도는 구매행동을 예측할 수 있는 변인으로 구매 이전 단계에서 제품의 기대로 형성되는 개념이다[29]. 이와 관련하여 Eagel과 Blackwell[30]은 구매의도가 실제 구매행동 전환과 상관관계가 매우 높게 나타난다고 하였다.
페이스북 광고의 특징은 무엇인가? 전 세계인구의 4분의 1일이 사용한다는 페이스북은 이용자의 능동적 참여와 수용으로 광고에 관심과 흥미를 이끌어내고 있다. 페이스북 광고는 직접 메시지를 전달하는 기존광고와는 달리 해당 플랫폼의 정해진 틀에서 콘텐츠 형태로 제공된다. 이는 이용자들의 환경 침해보다는 이들의 관심과 호기심을 끌어들일 수 있어 페이북 광고의 성장과 발전에 원동력이 되고 있다.
페이스북이 익명성과 정보의 불확실성을 제거하고 신뢰도를 높이며 광고효과를 획득하고자 노력한 예들로 무엇이 있는가? 페이스북은 기존의 웹 광고와는 달리 익명성과 정보의 불확실성을 제거하고 신뢰도를 높이며 광고효과를 획득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그 예로 정보 제공자의 확인 가능성, 페이스북 특성을 활용한 네이티브 광고 노출, 제품 사용자들의 댓글과 후기 광고, 사용자들의 광고 추천 그리고 사용자에게 적합한 맞춤 광고 등의 차별화를 추구 한다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Boyd, D. & Ellison, N. (2008). Social network sites: Definition, history, and scholarship.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13, 10-230. http://dx.doi.org/10.1111/j.1083-6101.2007.00393.x 

  2. Vollmer, C., & Precourt, G. (2008). Always on: Advertising, marketing, and media in an era of consumer control. McGraw Hill Professional: New York. 

  3. DMC REPOT. (2017). Social media usage behavior and advertising attitude analysis report_summary. Seoul :DMC REPOT. http://www.dmcreport.co.kr/content/ReportView.php?typeConsumer&id11740&gid8 

  4. f newsroom. (2017). 3Q results released in 2017. f newsroom https://ko.newsroom.fb.com/news/2017/11/2017%EB%85%84-3%EB%B6%84%EA%B8%B0-%EC%8B%A4%EC%A0%81-%EB%B0%9C%ED%91%9C-%EC%A3%BC%EC%9A%94-%EB%82%B4%EC%9A%A9/ 

  5. Tara C. Marshall. (2012). Facebook surveillance of former romantic partners: associations with post breakup recovery and personal growth. Cyber Psychology. Behavior, and Social Networking, 15(10), 521-526. DOI: https://doi.org/10.1089/cyber.2012.0125 

  6. Brettel, M., Reich, J. C., Gavilanes, J. M. & Flatten, T. C. (2015). What drives advertising success on Facebook? an advertising-effectiveness model.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55(2), 162-175, DOI: 10.2501/JAR-55-2-162-175 

  7. S. S. Hansen, J. K. Lee & S. Y. Lee. (2014). Consumer-generated ads on Youtube: impacts of source credibility and need for cognition on attitudes, interactive behaviors and ewon. Journal of Electronic Commerce Research, 15(3), 254-266. 

  8. Lawrence, B., Fournier, S. & Brunel, F. (2013). When companies don't make the ad: A multi-method inquiry into the differential effectiveness of consumer-generated advertising. Journal of Advertising, 42(4), 292-307. DOI: https://doi.org/10.1080/00913367.2013.795120 

  9. J. H. Doo & J. H. Kim. (2012). The influence of facebook ad type on advertising effect persuasion knowledge model an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14(2), 300-330. 

  10. G. H. Min, H. S. Park, M. J. Song & J. K. Lee. (2015). The effects of types of ads and the intensity of use on electronic word-of-mouth in Facebook: The moderating role of independent self-construal. The Korea Journal of Advertising, 26(8), 7-33. 

  11. H. M. Byeon & S. W. Shim. (2016). The study on the effect on social native ads: Facebook sponsored advertising. Journal of Practical Research in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9(3), 26-48. 

  12. B. K. Lee. (2011). Leading facebook sales growth: Self-serve advertising platform. KT Economic Research Institute, Seoul: Trends and Research Reports. 

  13. DMC REPORT. (2016). Strategies and success stories for using Facebook targeting. Seoul :DMC REPOT. 

  14. Y. J. Yang. (2015). Advertising and content are one, native advertising era. KAA Journal, 901-902. 

  15. H. J. Kim. (2013).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SNS advertising attitude - Focus on perceived fit and identification in SNS advertising. Practical Science forum of Advertising & Public Relations, 6(1), 7-28. 

  16. Ducoffe, R. H. (1996). Advertising value and advertising on the web.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36(September/October), 21-35. 

  17. Tsang, M. M., Ho, S. C. & Liang, T. P. (2004). Consumer attitudes toward mobile advertising: An empirical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Electronic Commerce, 8(3), 65-78. http://citeseerx.ist.psu.edu/viewdoc/download?doi10.1.1.605.8682&reprep1&typepdf 

  18. Grewal, Dhruv, Sukumar Kavanoor, Edward Fern, Carolyn Costley & James Barnes. (1997). Comparative versus non comparative advertising: A meta-analysis. Journal of Marketing, 61(4), 1-15. DOI: https://doi.org/10.2307/1252083 

  19. S. M. Lee. (2008). A Study on type of reliabilities of free news paper media effected on PR aricles attitudes and advertisement attitudes.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20. Fiske, S. T. & Taylor, S. E. (1992). Social cognition (2nd ed.). New York: McGraw-Hill. 

  21. Fogg, B. J. & Tseng, H. (1999). The elements of computer credibility. Proceedings of ACM CHI 99 conference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s. New York: ACM Press. http://www.acm.org/pubs/articles/proceedings/chi/302979/p80-fogg/p80-fogg.pdf 

  22. Chan, Ricky Y. K., T. K. P. Leung & Y. H. Wong. (2006). The effectiveness of environmental claims for services advertising. The Journal of Services Marketing, 20(4), 233-250. DOI: https://doi.org/10.1108/08876040610674580 

  23. H. J. Soh. (2009). Trust in advertising: scale development and exploration of antecedents.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20(4), 89-106. 

  24. Kollock, P. (1999). The production of trust in online markets. Advances in Group Processes, 16, 99-123. 

  25. Urban, G. L., Sultan, F. & Qualls, W. J. (2000). Placing trust at the center of your internet strategy. Sloan Management Review, 42(1), 39-48. 

  26. Koufaris, M. (2002). Applying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and flow theory to online consumer behavior.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13(2), 205-223. http://cat10492.pbworks.com/w/file/fetch/65317090/205.full.pdf 

  27. H. S. Byeon. (2008). The effects of internet user's trust, impulsiveness and commitment on the outcomes of visiting web stores. Korean Journal of Business Administration, 21(4), 1523-1542. 

  28. E. K. Han & S. H. Lim. (2012). A Study of influence on social media credibility and mediation effect of advertising credibility on social media. Advertising Research, 92, 7-29. 

  29. Oliver, R. L. (1980). A cognitive model of th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satisfaction decision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7(4), 460-469. http://dx.doi.org/10.2307/3150499 https://lms.ctu.edu.vn/dokeos/courses/KT321/document/LUOC_KHAO_TAI_LIEU/satisfaction_OLIVER_1980.PDF 

  30. Engel, J. F., Blackwell, R. D. & Miniard, P. W. (1995). Consumer behavior (8th ed.). New York: The Dryden Press. 

  31. Assael, H. (1995). Consumer behavior and marketing action, 5th ed, cincinnati. Ohio: ITP, South-western College Publishing. 

  32. N. S. Yoon, J. Y. Kim & Y. K. Park. (2011). The impact of price discount on perceived value, willingness to buy, and search intentions according to the level of consumers' involvement. Journal of Distribution Science, 9(1), 39-48. 

  33. S. C. Lee, J. H. Lim & S. H. Lee. (2015). The influence of mobile advertisement features on attitudes toward mobile advertising and purchase intention.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26(6), 213-232. 

  34. S. M. Jung. (2006).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NS advertisement and consumer's reaction: focusing on university students. The Journal of Professional Management, 19(1), 185-207. 

  35. platum. (2017). Last month, the most popular mobile SNS app that Koreans use is 'Facebook'. Seoul: platum. http://platum.kr/archives/80774 

  36. S. Y. Yu & E. H. Kim. (2017). What constitutes a Facebook ad?. Consumer integration Conference. 

  37. MacKenzie, Scott B., & Lutz, Richard J. (1989). An empirical examination of the structural antecedents of attitude toward the ad in an advertising pretesting context. Journal of Marketing, 53(April), 48-65, DOI: https://doi.org/10.2307/1251413 

  38. Spears, N. & Singh, S. N. (2004). Measuring attitude toward the brand and purchase intentions. Journal of Current Issues & Research in Advertising, 26(2), 53-66. DOI: https://doi.org/10.1080/10641734.2004.1050516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