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부하예측 및 태양광 발전예측을 통한 ESS 운영방안(Guide-line) 연구
Through load prediction and solar power generation prediction ESS operation plan(Guide-line) study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8 no.12, 2020년, pp.267 - 278  

이기현 (아주대학교 산업공학과) ,  곽경일 (아주대학교 산업공학과) ,  채우리 (아주대학교 산업공학과) ,  고진덕 (아주대학교 산업공학과) ,  이주연 (아주대학교 산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에너지 패러다임이 격변하는 시점에서 ESS는 전력부족 및 전력수요관리의 해소와 재생에너지의 증진에 필수적인 요건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부하 및 태양광 발전 예측량을 통하여 비용효과적인 ESS Peak-Shaving 운영방안을 제안한다. ESS 운영방안을 위해 통계적 척도인 RMS을 통해 부하 및 태양광 발전 예측하였으며 예측된 부하 및 태양광 발전량을 통해 한 시간 단위의 목표 부하 절감량 Guide-line을 설정하였다. 대상 수용가의 1년 실데이터를 활용한 부하 및 태양광 발전 예측 시뮬레이션으로 2019년 5월 6일 ~ 10일의 부하 및 태양광 발전량을 예측 하였으며 시간별 Guide-line을 설정하였다. 부하 예측 평균오차율은 7.12%였으며, 태양광 발전량 예측 평균오차율은 10.57%를 나타냈다. ESS 운영방안을 통한 시간별 Guide-line 제시를 통해 수용가의 Peak-shaving 최대화에 기여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본 논문의 결과를 통해 태양광과 연계하여 화석에너지로 발생하는 환경적인 영향을 최소화하며 신재생에너지를 최대 활용하여 에너지 문제를 줄일 수 있다고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SS is an essential requirement for resolving power shortages and power demand management and promoting renewable energy at a time when the energy paradigm changes. In this paper, we propose a cost-effective ESS Peak-Shaving operation plan through load and solar power generation forecast. For the ES...

주제어

표/그림 (1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ESS를 활용하여 수용가의 전력피크를 감소시키기 위한 제어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피크제어를 위한 에너지는 태양광으로부터 발전된 에너지를 활용하는 것을 전제로 하며 ESS 운영방안에 따라 계통으로부터 오는 에너지에 대한 기여를 낮춤으로 신재생에너지의 기여도를 높이고 그 효과를 통한 운영방안 시뮬레이션으로 확인하고자 한다.
  • 본 논문의 ESS 운영을 위한 알고리즘은 부하예측과 태양광 발전예측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예측된 태양광 발전량의 변동에 따른 적절한 피크전력의 절감량을 가이드해줌으로써 ESS의 운영을 최적으로 제안 한다. 앞선 선행연구에서 부하예측, 태양광 발전량의 분석 모델들을 살펴본 바와 같이 부하예측은 예측 대상이 되는 날짜의 요일, 계절, 특수일의 여부의 따라 고유한 특성을 나타낸다.
  • 피크제어를 위한 에너지는 태양광으로부터 발전된 에너지를 활용하는 것을 전제로 하며 ESS 운영방안에 따라 계통으로부터 오는 에너지에 대한 기여를 낮춤으로 신재생에너지의 기여도를 높이고 그 효과를 통한 운영방안 시뮬레이션으로 확인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H사와 동일하게 구성하였다. 가상 장치의 구조는 Fig. 13과 같이 태양광 발전, ESS, PCS, 수용가는 DC-Coupling으로 가정한다. DC-Couplinge 태양광발전이 발생하면 ESS로 저장할 수 있으며 잉여 발전량은수용가로 보낼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 DC-Couplinge 태양광발전이 발생하면 ESS로 저장할 수 있으며 잉여 발전량은수용가로 보낼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각각 시스템에 대한 성능에 대해서는 ESS는 2MW 용량과 PCS는 1MW로설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S. D Park. (2006). Climate change convention and technical countermeasures against global warming. Journal of Energy and Climate Change, 1(1), 1-12. 

  2. S.W Park (2016). Post-2020 Climate Regime and Paris Agreement - Key Issues and Agreed Results of UNFCCC COP 21 -. Environmental laws and policies, 16(), 285-322. 

  3. Lee, Wongoo, KIM, Kang-Won, KIM, Balho H. (2016). A Research on PV-connected ESS dissemination strategy considering the effects of GHG reduction.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25(2), 94.0-100.0. 

  4. 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Analyzing the effect of demand management for energy storage systems (ESS) and a study on market creation," Basic Research Report 14-23, 2014. 

  5. S. Singh, S. Hussain and M. A. Bazaz, "Short term load forecasting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2017 Four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mage Information Processing (ICIIP), Shimla, 2017, pp. 1-5. 

  6. Q. Wang, B. Zhou, Z. Li and J. Ren, "Forecasting of short-term load based on fuzzy clustering and improved BP algorithm," 2011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lectrical and Control Engineering, Yichang, 2011, pp. 4519-4522. 

  7. J.B Park, S.H Moon, S.H Lee, H.M Hwang, Y.G Park. (2014). Development of Building Electricity Load Forecasting Algorithm for Economic EMS Operation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6(5), 2457-2468. 

  8. Colak, M. Yesilbudak, N. Genc and R. Bayindir, "Multi-period Prediction of Solar Radiation Using ARMA and ARIMA Models," 2015 IEEE 14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achine Learning and Applications (ICMLA), Miami, FL, 2015, pp. 1045-1049. 

  9. Yanting Li, Yan Su, Lianjie Shu, "An ARMAX model for forecasting the power output of a grid connected photovoltaic system", Renewable Energy, Volume 66, 2014, Pages 78-89, ISSN 0960-1481 

  10. M. Detyniecki, C. Marsala, A. Krishnan and M. Siegel, "Weather-based solar energy prediction," 2012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Fuzzy Systems, Brisbane, QLD, 2012, pp. 1-7. 

  11. C. Pan and J. Tan, "Day-Ahead Hourly Forecasting of Solar Generation Based on Cluster Analysis and Ensemble Model," in IEEE Access, vol. 7, pp. 112921-112930, 2019. 

  12. J.W Lee, G.J Kim, S.C Yoon, S.D Jang. (2017). Development and verification of a solar power generation system prediction mode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acility Engineering, (), 454-457. 

  13. D.H Lee, K.H Kim. (2019). A deep learning-based long-term solar power generation prediction technique using climate and seasonal information. The Korean Journal of Electronic Commerce, 24(1), 1-16. 

  14. D.H Kim, K.H Cho, H.A Park, E.S Kim. (2017). Optimal Operation Research Followed by Pattern Analysis of Charging and Discharging ESS of Industrial customer.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646-647. 

  15. J.W Im, D.H Han, S.Y Kim, C.H Ban, J.M Choi, G.H Choi. (2012). PV System with Battery Storage using Peak-cut Algorithm. Proceedings of the Power Electronics Society Conference, (), 135-136. 

  16. W.J Lee, J.S Jung. (2017). Development of optimal ESS charging/discharging algorithm using load prediction and solar power generation prediction.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638-639. 

  17. S.H Park, G.H Lee, M.S Chung, U-ri Chae, J.Y Lee. (2019). Solar ESS Peak-cut Simulation Model for Customer.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7(7), 131-13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