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임상간호사의 폭력경험과 이직의도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Mediation Effect of Job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es' violence experience and turnover intention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8 no.12, 2020년, pp.315 - 323  

이경숙 (울산대학교 간호학과) ,  안성아 (진주보건대학교 간호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폭력경험이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폭력경험과 이직의도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U광역시 3개의 종합병원에 근무 중인 간호사 213명을 연구대상자로 하였으며, 자료수집은 2019년 2월부터 4월까지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5.0을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폭력경험은 직무만족과 유의한 역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폭력경험은 이직의도와 정상관관계이었으며, 직무만족과 이직의도는 역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폭력경험이 직무만족을 설명하는 정도는 16.5%, 폭력경험이 이직의도를 설명하는 정도는 6.1%였다. 폭력경험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이 부분 매개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임상간호사의 직무만족도를 향상시키고 이직의도를 감소하기 위하여 폭력경험을 감소시켜야 할 필요성이 있다. 간호사의 폭력경험과 이직의도를 감소시키고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해 병원에서 제도적 장치를 마련에 유용한 기초자료가 되리라 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how clinical nurse's violence experience influenced turnover intention and job satisfaction and how job satisfaction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violence experience and turnover intention. In order to get the answers, a survey of 213 registered nurses from 3 hospitals i...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종합병원 간호사의 폭력 경험, 직무만족도, 이직 의도와의 관계를 파악하고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규명하여 임상 간호사의 폭력 경험을 낮추고, 직무 만족을 높임으로써 이직의도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 본 연구는 임상 간호사의 폭력 경험, 직무 만족 및 이직 의도의 관계를 파악하고 폭력경험과 이직의도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알고자 시도하였다.
  • 본 연구는 임상 경력간호사의 폭력 경험, 직무 만족 및이직 의도의 정도를 파악하고, 폭력경험과 이직 의도 관계에서 직무 만족의 매개 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임상 간호사를 대상으로 폭력 경험, 직무 만족, 이직 의도의 관계를 파악하여폭력 경험을 낮추고 직무 만족은 증가시키고, 이직 의도는 감소시키는 중재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대상자들의 폭력 경험 정도평균 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M. J. Kang & I. S. Park. (2015). Types of Violence and Coping Methods Experirnced by General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6(2), 118-126. http://doi.org/10.15715/kjhcom.2011.6.2.118 

  2. S. H. Kang. (2016). Workplace Violence, Reponse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Nurses Working in a Hospital.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3. E. J. Lee. (2017). A Study on the Influence of Violence Experience on Job Satisfaction of Nurses-Focusing on moderating effect of coping mechanism.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okmin University, Seoul. 

  4. M. J. Kang & I. S. Park. (2015). Types of Violence and Coping Methods Experienced by General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1(1), 92-104. http://doi.org/10.22650/JKCNR.2015.21.1.92 

  5. J. Crilly, W. Chaboyer, & D. Creedy. (2004). Violence towards emergency department nurses by patients. Accident and Emergency Nursing, 12(2), 67-73. http://doi.org/10.1016/j.aaen.2003.11.003 

  6. Y. J. Son, H. H. Gong, M. A. You, & S. S. Kong. (2013). Relationships between Workplace Violence Experience and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Resilience in Clinical Nurse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rty, 17(1), 515-530. UCI : G704-000930.2015.17.1.025 

  7. H. Y. Yi, H. S. Moon & M. K. Shin. (2013). The Influence of Workplace Violence on Anger and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among Nurses. Korean Academic Society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2(3), 240-248. http://doi.org/10.5807/kjohn.2013.22.3.240 

  8. B. L. Higgins & J. Macintosh. (2010). Operating room nurses' perceptions of the effects of physician-perpetrated abuse. International nursing review, 57(3), 321-327. http://doi.org/10.1111/j.1466-7657.2009.00767 

  9. J. W. Im (2016). Influence of Workplace Violence Experience on Job Satisfaction,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in New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InJe University, Busan. 

  10. M. H. Nam (2017). Factors Influencing Turnover Intention of Clinical nurse.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7(11), 613-628. http://doi.org/10.35873/ajmahs.2017.7.11.059 

  11. J. B. Baek & S. J. Kang. (2018). The Effect of Violence Experience on Turnover Intention among Nurse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8(12), 570-578. http://doi.org/10.105392/JKCA.2018.18.12.570 

  12. C. S. Lee, M. Y. Mun, H. K. Jeong & S. H. Han. (2018). Effecting Factors Turnover Intention in Nurses of the Medium and Small Hospitals.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8(7), 635-647. http://doi.org/10.35873/ajmahs.2018.8.7.062 

  13. S. Y. Kim. (2017). The Effects of the Mentoring Function and JobSatisfaction on Turnover Intention According to Nurses' Mentoring Pha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heongju. 

  14. Y. E. Kwon & S. Y. Kim. (2019). Factors Affecting Turnover Intention of General Hospital Nurs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7), 414-422. http://doi.org/10.5762/KAIS.2019.20.7.414 

  15. Y. S. Eo. (2015). Path Analysis of empowerment, Social Support, Organizational Commitment,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Nurse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7(3), 1683-1697. UCI : G704-000930.2015.17.3.007 

  16. Y. J. Moon. (2011). Effects of Individual Motivation on Turnover Intention among Social Workers: Focused in the mediation effects of multiple commitment.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42(2), 493-523. UCI: I410-ECN-0102-2012-330-002475501 

  17. J. K. Kim & M. J. Kim. (2011). A Review of Research on Hospital Nurses' Turnover Inten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7(4), 538-550. https://www.koreascience.or.kr/article/JAKO201111436238855 

  18. K. H. Lee & J. Y. Kim. (2011). Effect of Shiftwork nurses' fatigue on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 Mediating Role of official stres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1), 74-82. UCI G704-001949.2011.20.1.004 

  19. H. K. Kim & M. G. Choi. (2019). The Effects of the Nurse Leader's Emotional Leadership, the Job Satisfaction and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he Nurses in a hospital on the Nurse's Turnover Intention.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9(2), 1267-1282. 

  20. J. H. Yang & K. H. Jeung. (2014). Effects of Emotional Labor,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Turnover Intention in Nurs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5(12), 7170-7178. http://doi.org/10.5762/KAIS.2014.15.12.7170 

  21. S. Y. Kim. (2007). Violence episodes and resposes of emergency room nurses bt patients and their guardian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ulji University, Daejeon. 

  22. M. J. Hong. (2009). A study on nurses experience of viole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Eulji University, Daejeon. 

  23. D. B. Slavitt, P. L. Stamps, E. B. Piedmont & A. M. Hasse. (1978). Nurse's satisfaction with their work situation. Nursing Research, 27(2), 114-120. https://europepmc.org/article/med/245630 

  24. S. J. Kim. (1992). A Study on the Job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Turnover of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25. M. H. Sung, H. W. Kim & J. W. Kim. (2007). A Comparative Study o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Between Preceptors and Precepts. korean Journal Health Promotion Disease Prevention, 7(2), 131-138. UCI : G704-001517.2007.7.2.004 

  26. W. H. Mobley. (1982). Employee turnover, causes, consequences, and control. Massachusetts Addison-Wesley Publishing Company. 

  27. M. R. Kim. (2007). Influential factors on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The affect of nurse'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career commitment to turnover intention, master's thesi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8. S. G. Lee. (2007). mediation effects in Social work research. Social welfare review, 12, 19-36. UCI I410-ECN-0102-2009-330-008873315 

  29. J. S. Yi, E. H. Choi & H. S. Jung. (2018). The Effect of Violence Experience on Depression in General Hospital Female Nurse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8(2), 103-112. http://doi.org/10.5392/JKCA.2018.18.02.103 

  30. S. K. Kim & J. Y. Lim. (2018). Effects of work environment,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turnover intention of clinical research coordinator nurse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8(5), 175-190. http://doi.org/10.5392/JKCA.2018.18.05.175 

  31. S. J. Kang & S. H. Kwon. (2015). The effects of emotional labor and job involvement on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in long-term care hospital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4(4), 290-301. http://doi.org/10.5807/kjohn.2015.24.4.290 

  32. Y. S. Shin, T. I. Kang & S. E. Yun. (2015). The Effects of Verbal Violence Experience on Turnover Intent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Customer-member Exchange(CMX) and Job Satisfaction - Multi-group and Latent Means Analysis across Job Position.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67(3), 31-55. https://www.koreascience.or.kr/article/JAKO2015286388407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