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사의 폭력경험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Violence Experience on Turnover Intention among Nurse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8 no.12, 2018년, pp.570 - 578  

백지범 (국립암센터?이화여자대학교 간호대학 간호학부) ,  강숙정 (이화여자대학교 간호대학 간호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간호사의 언어적, 신체적, 성적 폭력경험을 파악하고, 이러한 폭력경험과 이직의도와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시도된 연구이다.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이 실시한 2016년 보건의료 노동자 실태조사의 원시자료를 사용하였으며, 본 연구의 대상자는 전국의 간호사 11,154명이었다. 본 연구 결과 과반수 정도(47.2%)의 간호사가 동료, 환자, 보호자로부터 언어폭력을 경험하였으며, 간호사의 75.3%가 이직의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폭력경험이 있는 간호사가 그렇지 않은 간호사보다 2.65배 이직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연구에서는 간호사의 폭력경험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부정적인 효과를 감소시키는 조절 변수를 확인할 필요가 있으며 간호사의 폭력 경험 극복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을 위한 연구를 시행할 것을 제안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verbal, physical, and sexual violence experiences among nurses an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violence experiences and turnover intentions among nurses. In this study, a nationwide data of 11,154 nurses from the 2016 Health Workers' Survey conduct...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이 실시한 보건의료 노동자 실태조사의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대규모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다양한 인구통계학적 요인들에 따른 폭력경험과 이직의도와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더 나아가 폭력경험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간호사의 폭력경험의 예방 및 극복을 위한 전략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간호사의 언어적, 신체적, 성적 폭력경험을 파악하고, 폭력경험과 이직의도와의 관계를 확인하여 간호사의 폭력경험의 예방 및 극복을 위한 전략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이 실시한 2016년 보건의료 노동자 실태조사의 원시자료를 사용하여 폭력경험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자원할당이론에 근거하여 폭력경험이 이직의도에 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자원할당이론에 따르면 개인은 자신의 인지적 자원을 과업, 비과업, 자기조절 활동에 사용한다고 하였으며[19], 인지적 자원은 한정되어 있다고 하였다[20].
  • 1%인 것으로 나타났다[23].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간호사의 폭력경험을 조사하고 이직의도와의 관련성을 탐색해보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이 실시한 보건의료 노동자 실태조사의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대규모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다양한 인구통계학적 요인들에 따른 폭력경험과 이직의도와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더 나아가 폭력경험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간호사의 폭력경험의 예방 및 극복을 위한 전략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폭력이란 무엇인가? 폭력이란 ‘타인을 향한 파괴적인 행위’를 말하며, 그 중 병원폭력이란 ‘안전, 웰빙, 건강에 위협을 주는 행위로서 직원이 업무 시 받는 모욕이나 위협, 폭행 행위’를 말한다[1]. 이러한 폭력은 병원의 다양한 곳에서 발생할 가능성이 존재하는데, 선행연구에 따르면 병원 근로자 중 간호사가 폭력의 위험에 가장 많이 노출되는 것으로 밝혀졌다[2].
병원 근로자 중 어느 직업이 가장 폭력에 노출되어 왔는가? 폭력이란 ‘타인을 향한 파괴적인 행위’를 말하며, 그 중 병원폭력이란 ‘안전, 웰빙, 건강에 위협을 주는 행위로서 직원이 업무 시 받는 모욕이나 위협, 폭행 행위’를 말한다[1]. 이러한 폭력은 병원의 다양한 곳에서 발생할 가능성이 존재하는데, 선행연구에 따르면 병원 근로자 중 간호사가 폭력의 위험에 가장 많이 노출되는 것으로 밝혀졌다[2]. 실제로 국내연구 결과에 따르면 국내 간호사의 97.
폭력경험을 겪은 간호사는 어느 정도이며, 이직 의도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이 실시한 2016년 보건의료 노동자 실태조사의 원시자료를 사용하였으며, 본 연구의 대상자는 전국의 간호사 11,154명이었다. 본 연구 결과 과반수 정도(47.2%)의 간호사가 동료, 환자, 보호자로부터 언어폭력을 경험하였으며, 간호사의 75.3%가 이직의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폭력경험이 있는 간호사가 그렇지 않은 간호사보다 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International Council Nurses, Position Statement;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Workplace Violence, 2017. 

  2. J. K. Cook, M. Green, and R. V. Topp, "Exploring the Impact of Physician Verbal Abuse on Perioperative Nurses," Association of PeriOperative Registered Nurses Journal, Vol.74, No.3, pp.317-331, 2001. 

  3. 홍민정, 간호사가 경험한 폭력의 실태, 을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4. M. M. Rowe and H. Sherlock, "Stress and Verbal Abuse in Nursing: Do Burned Out Nurses Eat Their Young?,"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Vol.13, No.3, pp.242-248, 2005. 

  5. R. Chapman, I. Styles, L. Perry, and S. Combs,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Workplace Violence in One Non- tertiary Hospital," Journal of Clinical Nursing, Vol.19, No.3-4, pp.479-488, 2010. 

  6. S. Hahn, M. Muller, I. Needham, T. Dassen, G. Kok, and R. J. Halfens, "Factors Associated with Patient and Visitor Violence Experienced by Nurses in General Hospitals in Switzerland: A Cross­Sectional Survey," Journal of Clinical Nursing, Vol.19, No.23-24, pp.3535-3546, 2010. 

  7. 하은호, 조진영, 김진미, "임상간호사의 병원폭력에 대한 태도 측정도구 개발," 성인간호학회지, 제27권, 제1호, pp.39-51, 2015. 

  8. 이원희, 김춘자, "임상간호사의 우울과 지각된 스트레스, 피로 및 분노간의 관계,"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제36권, 제6호, pp.925-932, 2006. 

  9. M. Roche, D. Diers, C. Duffield, and C. P. Catling, "Violence toward Nurses, the Work Environment, and Patient Outcomes,"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Vol.42, No.1, pp.13-22, 2010. 

  10. 김태숙, 김종임, "임상 간호사가 경험하는 폭력과 이직에 관한 실태조사," 간호행정학회지, 제10권, 제4호, pp.427-436, 2004. 

  11. 강희순, 이은숙, "기혼여성 간호사의 직장가정 갈등, 소진과 이직의도 간의 경로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제18권, 제2호, pp.206-217, 2017. 

  12. L. O'Brien-Pallas, G. T. Murphy, J. Shamian, X. Li, and L. J. Hayes, "Impact and Determinants of Nurse Turnover: a Pan-Canadian Study,"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Vol.18, No.8, pp.1073-1086, 2010. 

  13. 이지선, 최은희, 정혜선, "종합병원 여성간호사의 폭력경험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2호, pp.103-112, 2018. 

  14. 노연호, 유양숙, "수술실 간호사의 폭력경험과 스트레스 및 이직의도," 성인간호학회지, 제24권, 제5호, pp.489-498, 2012. 

  15. 박은옥, 강선정, 이은경, 지은주, 강럐형, 박창희. "임상 간호사가 병원에서 경험하는 폭력에 관한 연구," 임상간호연구, 제7권, 제2호, pp.187-202, 2001. 

  16. W. H. Mobley, Employee Turnover: Causes, Consequences, and Control, Addison-Wesley, 1982. 

  17. 황윤영, 박영례, 박성희, "중환자실 간호사의 폭력경험," 성인간호학회지, 제27권, 제5호, pp.548-558, 2015. 

  18. 김현숙, 임현우, 정승희, 조선진, "일개병원의 특수부서 간호사에서 언어폭력, 사회적 지지와 이직의도의 연관성,"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제21권, 제4호, pp.388-395, 2009. 

  19. D. A. Norman and D. G. Bobrow, "On Data-limited and Resource-limited Processes," Cognitive Psychology, Vol.7, No.1, pp.44-64, 1975. 

  20. 정연경, 손승연, 정원호, "군 조직에서 상사의 근접관찰이 구성원의 과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가치일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국방연구 (안보문제연구소), 제59권, 제2호, pp.105-127, 2016. 

  21. H. Cox, "Verbal Abuse Nationwide, Part I: Oppressed Group Behavior," Nursing Management, Vol.22, No.2, pp.32-35, 1991. 

  22. L. Sofield and S. W. Salmond, "Workplace Violence: A Focus on Verbal Abuse and Intent to Leave the Organization," Orthopaedic Nursing, Vol.22, No.4, pp.274-283, 2003. 

  23. 권혜진, 김효심, 최귀순, 이경숙, 성영희, "의료기관내에서의 언어폭력에 관한 연구," 임상간호연구, Vol.13, No.2, pp.113-124, 2007. 

  24. 최웅지, 조수형, 조남수, 김광석, "응급실 폭력의 실태와 폭력 예방교육의 효과," 대한응급의학회지, 제16권, 제2호, pp.221-228, 2005. 

  25. 강미정, 박인숙, "종합병원 간호사가 경험한 폭력 유형과 대처방식," 임상간호연구, 제21권, 제1호, pp.92-104, 2015. 

  26. 정은하, 응급실 간호사의 폭력경험,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및 소진,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27. 신미영, 일개 종합병원 간호사의 폭력, 소진과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