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무인교통단속장비 설치 판단 기준 및 설치대수 산정 연구
Study on Estimation of Unmanned Enforcement Equipment Installation Criteria and Proper Installation Number 원문보기

韓國ITS學會 論文誌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v.19 no.6, 2020년, pp.49 - 60  

소형준 (도로교통공단 기획예산처) ,  김용만 (도로교통공단 서울지부 안전시설검사부) ,  김남선 (국립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  황재성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교통공학과) ,  이철기 (아주대학교 교통시스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교통사고 예방을 위해 설치되는 무인교통단속장비의 운영대수는 매년 경찰청과 지방자치단체의 지속적인 설치로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공학적, 체계적인 분석결과가 아닌 민원 위주의 정성적인 판단을 기반으로 설치하고 있어 정량적인 설치기준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도로 유형별 사고 심각도를 고려한 설치 판단기준을 제시하고 필요 설치대수를 산출하여 향후 추가 설치대수를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사고건수와 KSI를 활용하여 교통사고 심각도를 나타낼 수 있는 ARI 지표를 개발하였으며, 일원배치 분산분석군집분석을 통해 도로유형을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고, 도로 유형별 사고 잦은 곳의 사고정보를 분석하여 교통사고 심각도가 높은 군집의 ARI를 도출하였다. 도로 유형별 단속장비의 설치 판단을 위한 ARI 값을 제시하였고, 사고 잦은 곳 중 교통단속장비가 기 설치된 구간을 제외하고 5,244대의 추가 설치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number of traffic control equipment installed to prevent traffic accidents increases every year due to continuous installation by the National Police Agency and local governments. However, it is installed based on qualitative judgment rather than engineering analysis results. The purpose of thi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지표산정에 목표를 둔다. 도로별 무인교통단속장비 설치 판단지표를 도출한 이후 교통사고 잦은 곳에 설치 판단지표를 적용하여 사고 잦은 곳에 무인교통단속장비의 필요 설치대수를 산정하여 무인교통단속 장비추진 정책에 기여하고자 한다.
  • 국내 관련 연구사례는 설치 효과를 분석한 후 국가 계획의 목표치에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단속장비 설치 대수를 분석하였지만, 설치 판단에 관련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고분석을 통해 무인교통단속장비 설치를 위해 1차적으로 설치 필요지점을 판단하기 위한 판단지표를 선정하고, 판단지표를 적용하여 무인교통단속장비의 설치 대수를 산정하였다.
  • 본 연구는 무인교통단속장비의 설치를 위해 정량적인 설치 판단 기준을 정립하여 기준에 따른 설치 대수의 산정으로 무인교통단속장비의 효과적인 설치 및 운영을 위한 방향제시를 목표로 수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무인교통단속장비 관련 현황 및 국내외 사례 및 사고분석을 통해 설치 판단지표를 도출하고 적정 운영대수를 산정할 수 있는 기법을 도출하고자 한다. 무인교통단속장비 현황 및 국내외 사례 분석 부문에서는 현행 무인교통단속장비 관련 업무 전반에 대한 현황 및 관련 법·제도 조사와 국내외 유사 연구사례 분석 및 단속장비 설치효과 검토 등을 수행했다.
  • 본 연구에서는 무인교통단속장비 설치에 앞서 교통사고 위험도를 통해 1차적인 설치 판단을 위한 정량적인 지표산정에 목표를 둔다. 도로별 무인교통단속장비 설치 판단지표를 도출한 이후 교통사고 잦은 곳에 설치 판단지표를 적용하여 사고 잦은 곳에 무인교통단속장비의 필요 설치대수를 산정하여 무인교통단속 장비추진 정책에 기여하고자 한다.
  • 사후검정을 통해 일반도로, 지방도, 특별·광역시도, 시·군도, 고속도로 중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집단쌍이 무엇인지 분석하고, 동질성을 파악하여 동일한 집단으로 분류가 가능한 집단쌍을 가려내고자 하였다. 사후검정의 변수도 인명피해 발생 사고건수 및 KSI 값으로 선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Hong C. U.(2013), Study on the appropriate quantity of traffic enforcement equipment operation, Police Science Institute. 

  2. Joo et al.(2012), Research on improvement of Traffic enforcement equipment operation plan, Korea Road Traffic Authority Traffic Science Institute. 

  3. KOCW, http://www.kocw.net/home/cview.do?lid6ded41372abc34ae, 2019.12.02. 

  4.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www.law.go.kr. 

  5.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http://kosis.kr/, 2019.12.02. 

  6. KoROAD(2017), To learn now traffic safety technologies and operating techniques, such as traffic enforcement equipment, safety headquarters overseas training result report. 

  7. NHTSA(2008), Speed Enforcement Camera Systems Operational Guidelines. 

  8. Traffic Accident Statistics of Korea(2019), Korea Highway Traffic Authority. p.2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