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전북 진안에서 채집한 쯔쯔가무시 매개 털진드기 밀도
Density of Chigger Mites as Tsutsugamushi Vectors Collected from Jinan, Jeollabuk-do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linical laboratory science : KJCLS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v.52 no.4, 2020년, pp.364 - 371  

이혁재 (광주보건대학교 임상병리과) ,  박철 (광주보건대학교 임상병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질병관리본부에서는 매개체로 인한 전파 확산에 대처하고자 전국 권역별 기후변화 매개체 감시사업을 실시하고 있으며 일환으로 전북 진안지역의 쯔쯔가무시 매개체인 털진드기 분포 조사와 병원체 검사를 위해 채집기와 야생설치류 포획을 실시하였다. 털진드기 종 분류를 위해 9~12월 둘째주까지 매주 1회씩, 총 20개의 채집기를 이용하여 채집한 결과 총 개체수는 8종 611마리가 채집되었다. 종 분류 결과는 둥근혀털진드기(N. tamiyai) 434마리(71.0%)로 가장 많이 분리되었다. 야생설치류 포획으로 털진드기 채집은 66마리의 설치류를 포획해서 털진드기 총 3,050마리 채집되어 chigger index는 46.2로 나타났다. 월별 chigger index는 11월 206.1로 가장 높았다. 병원체 보유여부 검사결과 총 85개의 pools중 5월과 9월에 각각 1개의 pools에서 양성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쯔쯔가무시증 환자가 빈번히 발생하는 봄과 가을철의 시기와도 일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is conducting surveillance of climate change vectors across all regions in Korea to counteract the spread of these vectors. As a part of this surveillance project, wild rodents were captured using traps to investigate the spread of chigger mite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질병관리본부에서는 매개체 전파 질환의 효율적인 예방·관리를 위해 매개체 발생 분포 및 병원체 감염률에 대한 정기적인 감시자료를 확보하고자 전국에 권역별 매개체 감시 거점센터를 구축하여 운영 중에 있다. 본 연구는 전북 권역거점센터를 운영하면서 전북지역의 쯔쯔가무시증 환자 발생에 따른 털진드기의 종류와 계절적 분포 양상을 알아보기 위해 채집기 이용과 야생 설치류를 포획하여 O. tsutsugamushi 감염 상태를 확인하고 역학적 기초 분포 자료 제공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Lee DK.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current status of infectious disease vectors in South Korea. J Korean Med Assoc. 2017;60:458-467. https://doi.org/10.5124/jkma.2017.60.6.458 

  2. Kim YW, Cho MK, Kim HS, Yoon CS, Yoo KS, Lee JH, et al. Patterns of acute febrile illness (murine typhus, scrub typhus, leptospirosis and hemorrhagic fever with renal syndrome) from 1986 to 1990 in Korea. J Korean Soc Microbiol. 1991;26:431-441. 

  3. Kweon SS, Choi JS, Lim HS, Kim JR, Kim KY, Ryu SY, et al. Rapid increase of scrub typhus, South Korea, 2001-2006. Emerg Infect Dis. 2009;15:1127-1129. https://doi.org/10.3201/eid1507.080399 

  4. Kim DY, Kim DM. The most common mite- and tick-borne infectious diseases in Korea : scrub typhus and severe fever thrombocytopenia syndrome. Korean J Med 2018;93:416-423. https://doi.org/10.3904/kjm.2018.93.5.416 

  5. Jeung YS, Kim CM, Yun NR, Kim SW, Han MA, Kim DM. Effect of latitude and seasonal variation on scrub typhus, South Korea, 2001-2013. Am J Trop Med Hyg. 2016;94:22-25. https://doi.org/10.4269/ajtmh.15-0474 

  6. McMichael AJ, Campbell-Lendrum DH, Corvalan CF, Ebi KL, Githeko A, Scheraga JD, et al. Climate change and human health: risks and responses. Genova: WHO; 2003. p84-85. 

  7. Gubler DJ, Reiter P, Ebi KL, Yap W, Nasci R, Patz JA. Climate variability and change in the United States: potential impacts on vector-and rodent-borne disease. Environ Health Perspect. 2001;109(Suppl 2):223-233. https://doi.org/10.1289/ehp.109-1240663 

  8. Kim SH, Jang JY. Correlations between climate change-related infectious diseases and meteorological factors in Korea. J Prev Med Public Health. 2010;43:436-444. https://doi.org/10.3961/jpmph.2010.43.5.436 

  9. Kawamura R. Studies on Tsutsugamushi disease (Japanese flood fever). Cincinnati: Spokesman; 1926. p1-229. 

  10. Weitzel T, Martinez-Valdebenito C, Acosta-Jamett G, Jiang J, Richards AL, Abarca K. Scrub typhus in continental Chile, 2016-2018. Emerg Infect Dis. 2019;25:1214-1217. https://doi.org/10.3201/eid2506.181860 

  11. Lee HI, Shim SK, Song BG, Choi EN, Hwang KJ, Park MY, et al. Detection of Orientia tsutsugamushi, the causative agent of scrub typhus, in a novel mite species, Eushoengastia koreaensis, in Korea. Vector Borne Zoonotic Dis. 2011;11:209-14. https://doi.org/10.1089/vbz.2009.0180 

  12. Park SW, Ha NY, Ryu B, Bang JH, Song H, Kim Y, et al. Urbanization of scrub typhus disease in South Korea. PLoS Neglected Trop Dis. https://doi.org/10.1371/journal.pntd.0003814 

  13. Song BG, Lee WG, Lee HI, Cho SH.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chigger mites as scrub typhus vectors in the Republic of Korea, 2019. Public Health Wkly Rep. 2020;13:817-831. 

  14. Park WI, Roh JY, Ju YR. Survey of chigger mites as vector of scrub typhus, 2015. Public Health Wkly Rep. 2016;9:552-554. 

  15. Song HJ. Distribution and population density of rodents and chigger mites in Gokseong-gun of Jeollanam-do, Korea. Korean J Clin Lab Sci. 2016;48:242-246. http://doi.org/10.15324/kjcls.2016.48.3.242 

  16. Traub R, Wisseman Jr CL. The ecology of chigger-borne rickettsiosis (scrub typhus). J Med Entomol. 1974;11:237-303. https://doi.org/10.1093/jmedent/11.3.237 

  17. Jackson EB, Danauskas JX, Smadel JE, Fuller HS, Coale MC, Bozeman FM. Occurrence of Rickettsia tsutsugamushi in Korean rodents and chiggers. Am J Hyg. 1957;66:309-320. https://doi.org/10.1093/oxfordjournals.aje.a119904 

  18. Ree HI. Fauna and key to the chigger mites of Korea (Acarina: Trombiculidae and Leeuwenhoekiidae). Korean J Syst Zool. 1990;6:57-70. 

  19. Ree HI, Lee IY, Cho MK. Determination of the vector species of Tsutsugamushi disease in Korea. Korean J Parasitol. 1991;29:87-92. https://doi.org/10.3347/kjp.1991.29.1.87 

  20. Park JW, Kim SH, Park DW, Jung SH, Park HJ, Seo MH, et al. Molecular epidemiology of an Orientia tsutsugamushi gene encoding a 56-kDa type-specific antigen in chiggers, small mammals, and patients from the Southwest region of Korea. Am J Trop Med Hyg. 2018;98:616-624. https://doi.org/10.4269/ajtmh.17-0070 

  21. Lee HJ, Park C. Distribution of chigger mites as Tsutsugamushi vectors sampled in Seogwipo. Korean J Clin Lab Sci. 2019;51:344-350. https://doi.org/10.15324/kjcls.2019.51.3.344 

  22. Park WI, Roh JY, Cho SH. Surveillance of chigger mites as the vector of scrub typhus, 2016. Public Health Wkly Rep. 2017;10:1058-1061. 

  23. Bahk YY, Jun H, Park SH, Jung H, Jegal S, Kim JMD, et al. Surveillance of chigger mite vectors for tsutsugamushi disease in the Hwaseong Area, Gyeonggi-do, republic of Korea, 2015. Kor J Parasitol. 2020;58:301-308. https://doi.org/10.3347/kjp.2020.58.3.301 

  24. Jun HJ, Jegal S, Kim JMD, Roh JY, Lee WG, Park SH, et al. Three-year surveillance (2016-2018) of chigger mites vector for tsutsugamushi disease in the Hwaseong­si area of Gyeonggi­do, Republic of Korea. Entomol Res. 2020;50:63-73. https://doi.org/10.1111/1748-5967.12403 

  25. Van Peenen PF. Lien JC, Santana FJ, See R. Correlation of chigger abundance with temperature at a hyperendemic focus of scrub typhus. J Parasitol. 1976;62:653-65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