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직장인의 직장-가정갈등과 분노조절 및 조직몰입의 관계
Relationship among Work-family Conflict, Anger Regul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8 no.2, 2020년, pp.343 - 349  

김찬원 (성균관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  주해원 (국립안동대학교 창의융합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직장-가정갈등과 분노조절 및 조직몰입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직장인 180명을 대상으로 직장-가정갈등, 분노조절, 조직몰입을 측정하는 질문지를 실시하였다. 구조모형 분석을 통해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직장-가정갈등은 분노조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조직몰입에는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고, 분노조절은 조직몰입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끼쳤다. 본 연구는 직장-가정갈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한 것 외에, 조직성과에 분노가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의 결과를 한 단계 발전시켜, 조직몰입에 미치는 분노조절의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조직성과를 촉진하기 위한 한 가지 실질적인 개입방법으로서 분노조절을 실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work-family conflict, anger regul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Four-hundred and eighty-seven workers completed the instruments assessing work-family conflict, anger regul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results showed that work...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조직성과를 향상시키고 조직 및 그 구성원 모두 일과 가정의 균형과 조화를 바탕으로 만족스러운 삶을 만들어가기 위한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가 개인의 성장뿐만이 아니라, 가정 기업, 국가의 발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를 희망한다.
  • 본 연구는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직장-가정갈등과 분노조절 및 조직몰입의 관계를 살펴보았으며, 주요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를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장인들의 직장-가정갈등이 분노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직장-가정갈등은 분노조절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 선행연구들에 의하면, 분노와 불안 등을 조절하는 것은 직무만족이나 조직몰입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28], 적절한 수준의 분노조절은 조직의 성과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보고하였다[27]. 이러한 결과는 분노조절이 조직몰입에 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난 본 연구의 결과를 뒷받침한다. 분노조절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 직장인 개인에게는 자기효능감의 저하, 대인관계의 축소나 훼손, 심리적 건강 등에 부정적 문제를 유발시킴으로써 결과적으로 조직 내의 좋지 못한 성과로 이어질 수 있다[10,26].
  •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직장-가정갈등은 직장인이나 조직 모두에게 있어서 중요한 이슈이며, 인적자원개발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직장과 가정의 균형과 조화는 조직의 발전을 위해서 반드시 해결해야 할 문제이기도 하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직장인들의 직장-가정갈등과 분노조절 및 조직몰입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조직의 성과를 증대시키고 조직구성원과 조직 모두 일과 가정의 균형과 조화를 통한 만족스러운 삶을 살아가는데 있어 요구되는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H3. 직장인들의 분노조절은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분노표현은 무엇으로 구성되는가? 분노가 발생할 경우에 이는 필연적으로 분노표현으로 이어지는데, 분노표현은 분노억제, 분노표현, 분노조절로 구성된다. 이 중에서 분노억제와 분노표현은 비통제적이고 부적응적인 것과 관련되며, 분노조절은 통제적이고 적응적인 방법으로 간주된다[10].
직장-가정갈등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직장-가정갈등은 직장과 가정이라는 상반된 영역에서 양립하기 어렵거나 조정 불가능한 역할을 요구받을 때 발생하는 역할 간 갈등을 의미한다[8,9]. 예컨대, 직장 내에서의 과중한 업무나 역할수행은 가정에서의 역할수행을 어렵게 하고, 직장에서의 요구와 압력은 가정에서의 역할수행의 질을 떨어뜨린다[3].
Novaco의 분노조절방식으로 무엇이 있는가? 분노 및 분노조절 연구자인 Novaco에 의하면, 분노는 크게 세 가지방식으로 조절될 수 있다[7]. 첫째는 인지적 대처(cognitive coping)로, 이는 갈등상황을 다른 관점에서 분석하고, 분노를 심화시키고 갈등상황을 반추하는 사고방식을 놓아버리는 능력이자 방식이다. 둘째는, 각성 완화(arousal calming)로 분노촉발상황에서 망가진 심리적 신체적 항상성을 되찾거나 긴장을 낮추고 이완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행동 통제(behavioral control)란, 협상, 전략적 후퇴, 그리고 해결방안 모색과 같이 건설적인 갈등해결 행동을 취하는 것이다. 물론 개인마다 효과적인 분노조절전략을 (비효과적인 전략에 비해) 얼마나 자주 사용하는 지에 관해서는 차이가 있으며, 개개인 모두 분노촉발상황에서 주로 사용하는 분노조절방식을 저마다 다르게 가지고 있다[16-1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R. Ilies, I. E. De Pater, S. Lim, & C. Binnewies. (2012). Attributed causes for work-family conflict: Emotional and behavioral outcomes. Organizational Psychology Review, 2, 293-310. DOI: 10.1177/2041386612452288 

  2. A. Vahedi, I. Krug, & E. M. Westrupp. (2019). Crossover of parents' work-family conflict to family functioning and child mental health.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62, 38-49. 

  3. J. H. Greenhaus & G. N. Powell. (2003). When work and family collied: Deciding between competing role demands.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90, 291-303. 

  4. L. E. Duxbury & C. A. Higgins. (1991). Gender differences in work-family conflic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6, 60-74. https://doi.org/10.1037/0021-9010.76.1.60 

  5. H. B. Thompson & J. M. Werner. (1997). The impact of role conflict/facilitation on core and discretionary behavior. Testing a mediated model. Journal of Management. 23, 583-601. https://doi.org/10.1016/S0149-2063(97)90049-0 

  6. J. W. Woo & H. Y. Hong. (2011). The influence of family-friendly atmosphere in the organization, work-family conflic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30, 933-957. 

  7. R. W. Novaco. (2012). The Novaco anger scale and provocation inventory. Los Angeles, CA: Western Psychological Services. 

  8. K. Byron. (2005). A meta-analytic review of work-family conflict and its antecedent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67, 169-198. https://doi.org/10.1016/j.jvb.2004.08.009 

  9. A. D. Masuda, F. M. Sortheix, B. Beham, & L. J. Naidoo. (2019). Cultural value orientations and work-family conflict: The mediating role of work and family demand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112, 294-310. https://doi.org/10.1016/j.jvb.2019.04.001 

  10. Y. R. Kim, H. G. Choi, & H. A. Yeom. (2019). Relationships between exercise behavior and anger control of hospital nurses. Asian Nursing Research, 13, 86-91. https://orcid.org/0000-0003-4400-716X 

  11. C. D. Spielberger & E. C. Reheiser. (2009). Assessment of emotions: Anxiety, anger, depression, and curiosity. Applied Psychology: Health and Well-Being, 1, 271-302. https://doi.org/10.1111/j.1758-0854.2009.01017.x 

  12. S. Zilioli, L. Imami, A. D. Ong, M. A. Lumley, & T. Gruenewald. (2017). Discrimination and anger control as pathways linking socioeconomic disadvantage to allostatic load in midlife.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103, 83-90. http://dx.doi.org/10.1016/j.jpsychores.2017.10.002 

  13. L. T. Eby, C. P. Maher, & M. M. Butts. (2010). The intersection of work and family life: The role of affect. Annual Review of Psychology, 61, 599-622. https://doi.org/10.1146/annurev.psych.093008.100422 

  14. E. E. Kossek & C. Ozeki. (1998). Work-family conflict, policies, and the job-life satisfaction relationship: A review and directions for organizational behavior-human resources research.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3, 139-149. http://dx.doi.org/10.1037/0021-9010.83.2.139 

  15. R. Ilies, K. M. Schwind, D. T. Wagner, M. Johnson, D. S. DeRue, & D. R. Ilgen. (2007). When can employees have a family life? The effects of daily workload and affect on work-family conflict and social activities at hom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2, 1368-1379. DOI: 10.1037/0021-9010.92.5.1368 

  16. T. D. Allen, R. C. Johnson, K. N. Saboe, E. Cho, S. Dumani, & S. Evans. (2012). Dispositional variables and work-family conflict: A meta-analysi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80, 17-26. 

  17. J. R. B. Halbesleben, J. Harvey, & M. C. Bolino. (2009). Too engaged? A conservation of resources view of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engagement and work interfere with family.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4, 1452-1465. 

  18. T. D. Allen, D. Herst, C. S. Bruck, & M. Sutton. (2000). Consequences associated with work to family conflict: A review and agenda for future research.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and Psychology, 5, 278-308. http://dx.doi.org/10.1037/1076-8998.5.2.278 

  19. O. M. Karatepe & A. Sokman. (2006). The effect of work role and family role variable on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outcomes of frontline employees. Tourism Management, 27, 255-268. https://doi.org/10.1016/j.tourman.2004.10.001 

  20. M. P. O'Driscoll, P. Brough, & T. J. Kalliath. (2004). Work/family conflict, psychological well-being, satisfaction and social support: A longitudinal study in New Zealand. Equal Opportunities International, 23, 36-56. https://doi.org/10.1108/02610150410787846 

  21. F. T. Amstad, L. L. Meier, U. Fasel, A. Elfering, & N. K. Semmer. (2011). A meta-analysis of work-family conflict and various outcomes with a special emphasis on cross-domain versus matching-domain relations.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16, 151-169. doi: 10.1037/a0022170 

  22. K. A. French, S. Dumani, T. D. Allen, & K. M. Shockley. (2018). A meta-analysis of work-family conflict and social support. Psychologist Bulletin, 144, 284. 

  23. E. N. Kim. (2006). The effects on emotional dissonance, service salesperson performanc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by service salesperson's work-family conflict.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24. R. G. Netemeyer, J. S. Boles, & R. McMurrian. (1996).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work-family and family-work conflict scale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1, 400-410. DOI:10.1037/0021-9010.81.4.400 

  25. B. E. Booth. (2010). Anger management for nurses. The Journal of Practical Nursing, 60, 9-12. 

  26. A. Clarey, A. Hokoda, & E. C. Ulloa. (2010). Anger control and acceptance of violence as mediato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xposure to interparental conflict and dating violence perpetration in Mexican adolescents. Journal of Family Violence, 25, 619-625. https://doi.org/10.1007/s10896-010-9315-7 

  27. D. H. Shin. (2010). The effect of emotional labor on the burnout:Focus on the control of emotional dissonance and work family conflict. Master's Thesi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28. J. I. Rie. (2003). Anger, anxiety, depression in the workplace-differences of evoking causes and coping methods among emotions, relationships of emotion regula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job effectiveness. The Korean Journal of Industry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16, 19-58. 

  29. D. S. Carlson, K. M. Kacmar & L. J. Williams. (2000). Construction and initial validation of a multidimensional measure of work-family conflic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56, 249-276. 

  30. H. Ju & D. Kim. (In press). NAS-PI: Understanding and evaluating anger. Seoul: Hakjisa. 

  31. L. W. Porter, R. M. Steers, R. T. Mowday, & P. V. Boulian. (1974).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among psychiatric technician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59, 603-609. 

  32. D. Y. Kim & T. J. Lah. (2015). A comparative study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public and private organization: Moderating effect of merit pay system. Korea Public Administration Journal, 24, 197-222. 

  33. L. T. Eby, W. J. Casper, A. Lockwood, C. Bordeaux, & A. Brinley. (2005). Work and family research in IO/BO: Content analysis and review of the literature(1980-2002).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66, 124-197. DOI: 10.1016/j.jvb.2003.11.003. 

  34. Y. M. Lee & S. K. Paek. (2010). The Effect of Leisure Satisfaction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Korean Academy of Organization & Management, 34(1), 25-62. 

  35. M. R. Frone, M. Russell & M. L. Cooper. (1997). Relation of work-family conflict to health outcomes: A four­year longitudinal study of employed parents. Journal of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70(4), 325-335. http://dx.doi.org/10.1111/j.2044-8325.1997.tb00652.x 

  36. J. L. Glass & S. B. Estes. (1997). The family responsive workplace. Annual Review of Sociology,23(1), 289-313. 

  37. S. J. Goff, M. K. Mount & R. L. Jamison. (1990). Employer supported child care, work/family conflict, and absenteeism: A field study. Personnel Psychology, 43(4), 793-809. https://doi.org/10.1111/j.1744-6570.1990.tb00683.x 

  38. R. J. Bies & T. M. Tripp. (1998). Revenge in organizations: The good, the bad, and the ugly. Greenwich, CT: JAI Press. 

  39. J. Fitness. (2000). Anger in the workplace: An emotion script approach to anger episodes between workers and their superiors, co-workers and subordinates.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21(2), 147-162. 

  40. P. E. Spector, S. Fox & T. Domagalski. (2006). Emotions, violence and 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r. In Kelloway, E. K., Barling, J., & Hurrell Jr, J. J. (Eds.), Handbook of workplace violence (pp. 29-46). Sage Publication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