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동차 제조기업의 조직문화가 조직신뢰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rganizational Culture on Organizational Trus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Automobile Manufacturing Enterprise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8 no.11, 2020년, pp.111 - 121  

정수철 (부산대학교 경영학과) ,  조영복 (부산대학교 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자동차 제조기업의 조직문화가 조직신뢰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살펴보고, 연구결과를 기업의 경영관리에 실무적으로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들의 이론적 배경과 연구모형을 참조하여 연구모형을 설정하였으며, 실증분석을 위하여 창원에 본사를 둔 한국의 대표적인 자동차기업인 G-자동차의 조직구성원을 대상으로 362부의 표본을 확보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를 요약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문화와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서 개발문화와 집단문화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문화와 조직신뢰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개발문화와 집단문화가 유의적인 정(+)의 효과를 보여 주었다. 셋째, 조직신뢰와 조직몰입 간의 관계 분석에서 매우 유의한 정(+)의 결과를 나타내고 있어 조직신뢰와 조직몰입은 밀접한 관계가 있음이 밝혀졌다. 넷째, 조직신뢰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조직문화 요인들 중에서 개발문화와 집단문화는 부분매개효과를 보여주었으며, 합리문화와 위계문화는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intended to analyze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Culture on manufacturing(automobile) employees' Organizational Trus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 proposed model based on previous research was empirically tested vi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by AMOS using 362 valid samples col...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황윤희(2019)의 연구결과에 따르면[10], 개인 주의 및 집단주위 문화요인에서 감성인식이 다르게 적용되어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고 있다[11-13]. 따라서 본 연구는 자동차 기업의 조직문화가 조직신뢰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조직구성원들이 중요하게 인지하는 조직문화가 무엇인지를 밝히고, 조직문화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심어주는 계기가 되고자 한다. 나아가 변화된 조직문화를 통해 조직구성원들의 역량을 강화하고 조직에 대한 신뢰와 몰입을 높이는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제조기업의 인재관리 및 경영관리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특히 조직구성원들이 조직문화를 관계문화와 혁신문화로 인식하는 경우에는 감정적 몰입이 높아지게 되고, 위계문화와 과업문화로 인식하는 경우에는 거래적 몰입이 높아진다는 연구결과를 보여주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자동차 제조기업에서도 조직문화(개발문화, 집단문화, 합리문화, 위계 문화)유형이 조직유효성과 관련성이 있을 것으로 추론하고, 이를 검증해 보고자 다음 가설을 설정하였다.
  • 본 연구는 자동차 제조기업의 조직문화가 조직신뢰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조직구성원들이 중요하게 인지하는 조직문화가 무엇인지를 밝히고, 새로운 조직문화의 형성을 통해 직원들의 역량과 직무만족 및 몰입을 높이는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자동차기업의 인재관리 및 경영전략 수립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을 위하여 앞서 제시된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조직문화는 개발문화, 집단문화, 합리문화, 위계문화로 구분하여 조직문화와 조직몰입의 관계, 조직문화와 조직신뢰와의 관계를 살펴보고, 조직문화와 조직몰입 사이에서 조직신뢰의 매개효과를 검증해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글로벌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인적자원에 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자동차 제조 경영에서 조직문화가 조직신뢰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조직성과를 제고시킬 수 있는 합리적인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 본 연구의 실증분석을 위하여 앞서 제시된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조직문화는 개발문화, 집단문화, 합리문화, 위계문화로 구분하여 조직문화와 조직몰입의 관계, 조직문화와 조직신뢰와의 관계를 살펴보고, 조직문화와 조직몰입 사이에서 조직신뢰의 매개효과를 검증해보고자 하였다. 설문문항은 선행연구들이 사용하여 검증된 설문을 바탕으로 설정하였으며, 실증분석을 위해 자동차 제조기업인 G-자동차를 대상으로 40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387부를 회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 중에서 미성실 답변 25부를 제외한 총 362부를 통계분석에 사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0)

  1. J. W. Hwang, (2011). The impact of self-leadership on job performance in agricultural cooperative federation. Korean Journal of Cooperative Studies, 9(3). 51-66. 

  2. K. M. Park. (2012). The impact of organizational culture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agricultural cooperatives: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performance. Korean Journal of Cooperative Studies, 30(1). 1-27. 

  3. D. R. Lee. (1999).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structure in Korean small manufacturing firms. The Thesis Collection of Ho-Suh Culture, 13. 195-216. 

  4. R. E. ,Quinn & J. Rohrbaugh. (1983). A spatial model of effectiveness criteria: Towards a competing values approach to organization analysis. Management Science, 29(3). 363-377. DOI : 10.1287/mnsc.29.3.363 

  5. J. F. Henri. (2006). Organizational culture and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s. Accounting. Organizations and Society, 31(1). 77-103. 

  6. D. I.. Prajogo & C. M. McDermott. (2005). The relationship between total quality management practices and organizational culture. International Journal of Operations and Production Management. 25(11). 1101-1122. 

  7. B. S. Hong, S. H. Chung & E. J. Lee. (2010). The effect of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TV home shopping companies on job satisfaction, commitment ,and intention of turnove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4(8). 1352-1363. DOI : 10.5850/JKSCT.2010.34.8.1352 

  8. J. S. Kwon. (2011). The influence of innovative organization culture to human resource innov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26(1). 153-182. 

  9. B. J. Choi & A. J. Hong. (2012). Influence of the creative organizational culture on the job satisfaction in the contents industry: The collective efficacy as a mediating factor. The Korean Journal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Quarterly. 14(2). 21-45. 

  10. Y. H. Kang, (2019). Collectivistic cultural influence on Change oriente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with Emotional Regulation mediating. 17(10). 199-207. DOI : 10.14400/JDC.2019.17.10.199 

  11. S. K. Lee, E. J. Lee & J. M. Bae. (2011). A Sudy on the influence of Self-Leadership to Technology Innovation. Mediate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9(6). 277-293. 

  12. J. K. Kim & K. H. Park. (2018). Relations between intrapreneurship and Emotional Intellignece, Supportive Leadership and Adaptation Performance in Organizat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11). 289-301. 

  13. H. W. Noh & K. I. Han. (2013). Effect of the Call Center Counselors'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1(7). 123-133. 

  14. A. M. Pettigrew. (1979). On studying organizational culture.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24(4). 570-581. 

  15. J. B. Barney. (1986). Organizational culture: Can it be a source of sustained competitive advantag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1(3). 656-665. 

  16. T. E. Deal. & A. A. Kennedy. (1982). Corporate culture :The rites and rites and rital of corporate life. Cincinnati. OH: Addison-Wesley. 

  17. R. F. Korte & T. J. Chermack. (2007). Changing Organizational Culture with Scenario Planning. Futures, 39(6). 645-656. 

  18. E. H. Schein. (1992). Organizational culture and Leadership, San Francisco.. CA: Jossey-Bass. 

  19. D. Ravasi & M. Schultz. (2006). Responding to Organizational Identity Threats: Exploring the Role of OrganizatiFonal Cultur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49(3). 433-458. 

  20. M. Z. A. Rashid, M. Sambasivan & A. A. Rahman. (2004). The influence of organizational culture on attitudes toward organizational change. Leadership & Organization Development Journal, 25(2). 161-179. 

  21. C. Valmohammadi & S. Roshanzamir. (2015). The guidelines of improvement: Relations among organizational culture, TQM and performance. International Journal of Production Economics, 164. 167-178. 

  22. E. Ogbonna & L. C. Harris. (2000). Leadership style, organizational culture and performance: Empirical evidence from UK companies.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11(4). 766-788. 

  23. E. J. Lee. (2016). The organizational culture,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organization efficiency in fashion companies.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4(2). 198-217. 

  24. R. E. Quinn & M. R. McGrath. (1985). The transformation of organizational culture: A competing value perspective, in P. J. Frost et al.(Eds.). Organizational Culture, Beverly Hills, CA: Sage. 315-334. 

  25. K. M., Hart, H. R. Capps, J. P. Cangemi & L. M. Cailouet. (1986). Exploring Organizational Trust and Its Multiple Dimension: A Case Study of General Motors. Organization Development Journal, 4. 31-39. 

  26. R. C. Mayer, J. H. Davis & D. F. Schoorman. (1995). An Integration Model of Orgaizational Trust.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0(3). 709-734. 

  27. R. J., Lewicki, D. J. McAllister & R. J. Bies. (1998). Trust and Distrust: New Relationship and Realitie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3(3). 438-458. 

  28. T. R. Tyler & P. Degoey. (1996). Trust in organizational authorities: The influence of motive attributions willingness to accept decisions. In R. M. Kramer. & T. R. Tyler(Eds). Trust in organizations: Frontiers of theory and research: 331-356. Thousand Oaks, CA Sage. 

  29. J. W. Graham,. (1991). An Essay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Employee Responsibilities and Right Journal, 4. 249-270. 

  30. S. E. Condrey. (1995). Reforming Human Resource Management Systems: Exploring the Importance of Organizational Trust. The American Review of Public Administration, 25(4). 341-354. 

  31. R. T. Mowday, R. M. Steers & L. W. Porter. (1979). The measuremen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14(2). 224-247. 

  32. J. P. Meyer & N. Allen. (1997). Commitment in the Workplace: Theory, Research and Application. Thousand Oaks, CA: Sage. 

  33. H. L. Angel & J. L. Perry. (1981). An Empirical Assessmen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26. 

  34. J, P. Meyer & N, J. Allen. (1990). The Measurement and Antecedents of Affective, Continuance and Normative 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 Journal of Occupational Psychology, 1-18. 

  35. J. E. Mathieu & D. M. Zajac. (1990). A review and meta-analysis of the antecedents, correlates, and consequence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Psychological Bulletin, 108(2). 171-194. 

  36. T. DeCotis & T. Summers. (1987). A Path Analysis of a Model of th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Human Relations, 40(7), 445-470. 

  37. J. E. Mathieu & D. M. Zajac. (1990). A Review and Meta-Analysis of The Antecedents, Correlates, and Consequence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Psychological Bulletin, 108(2), 171-194. 

  38. Buchanan & Bruce. (1974). Build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Socialization of Managers in Work Organizations.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19. 533-546. 

  39. D. R. Denison. (1990). Corporate Culture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John Wiley and Sons. 

  40. C. McDanial & S. Stumpf. (1993). The OrganizationalCulture:Implication for Nursing Service.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23. 54-60. 

  41. D. G. Lee. (2012). An Empirical Study on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Business Strategy 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Graduate School of Yong In University. 

  42. D. G. Carnevale & B. Wechsler. (1992). Trust in Public Sector. Administration and Society, 23. 471-495. 

  43. L. G. Zuker, M. R. Darby, M. B. Brewer & Y. Peng. (1996). Collaboration structureand information dilemmas in biotechnology: Organizational boundaries as trust production. In R. M. Kramer. & T. T. Tyler (Eds.), Trust in organizations :Frontiers of theory and research. 90-113. Thousand Oaks, CA: Sage. 

  44. M. L. Wang. (2013). A Study on Effects of Organizational Culture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ocused on mediating effect of Trust and Psychological Empowerment. Graduate School Dankook University 

  45. S. S. Pamela, P. M. Sherwyn & Z. H. Michael. (2010). Building the high-trust organization. Jossey-Boss, San Francisco. 20-23. 

  46. H. K. Yang. (2009). A Study on Hotel Employees'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 Examination of the Mediating Role of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Trust. The Graduate School of Sejong University. 

  47. E. Y. Ryu & B. G. Ryu. (2015).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n Korea and China Enterprise: The Mediating Effect of trust. Korean Academy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22(2). 251-276. 

  48. B. A. Yoo. (2007). The Impact of Employee's Ethical Climate Perception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Focused on the moderating and mediating effect of Trust, In-Ha university. the degree of doctor of philosophy. 

  49. D. S. Son & J. K. Tak. (2012). The effect of servant leadership on employee behaviors: Mediating effects of supervisory trust and organizational trust.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25(2). 373-395. 

  50. H. J. Chang. (2013).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Organizational Trust of Convention Employees on the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Graduate School Kyonggi-University.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