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학교 여학생의 배구수업 연계에 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 Connection of Volleyball Classes for Middle School Girl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8 no.2, 2020년, pp.463 - 473  

한동수 (대전태평중학교) ,  김윤상 (충남대학교 체육학과) ,  이주욱 (충남대학교 사범대학 체육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중학교 여학생의 배구수업 연계에 관한 사례연구로 여학생의 학교 내 연계와 학교 외 연계의 구체적인 사례를 제시하고, 의미를 분석하여 체육수업의 연계 방안에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자료 분석은 정규교육과정 배구수업부터 학교스포츠클럽, 동아리 활동, 교내리그, 지역연계 수업까지 분류하여 정리했다. 또한, 범주가 갖는 의미를 분석하고 해석하여 학교현장에서의 실천 가능성을 중심으로 재구성했다. 연구결과는 배구수업의 실천과정에서의 경험, 창의·융합 수업을 활용한 배구수업으로 구분했다. 논의에서는 학교 내의 연계 수업, 학교 외의 연계 수업으로 구분하여 분석했다. 제언으로는 교사의 실천 연구, 수업 연계 우수 사례연구, 학교체육-생활체육-전문체육으로의 연계 방안, 여학생 수업 참여와 연계에 관한 연구를 제시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a case study on the connection of volleyball classes for middle school girls. It presents concrete examples of girls' links in school and out of school. Data analysis was organized by classifying volleyball classes from regular curriculum, school sports clubs, club activities, school ...

주제어

표/그림 (3)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Jin은 여학생 체육 활성화를 위해 무엇이 필요하다고 보았는가? 법과 학교체육 정책에 관한 연구[3,4]에서는 올바른 양성평등의 이해와 학교체 육진흥법의 실효성을 얻기 위한 학교체육 정책을 분석했 다. 이 외에도 Jin [5]은 여학생 체육 활성화를 위해 환경 인프라의 증가, 체육수업에서의 참여 기회 증가, 학교 내생활체육 활동 참여 기회 증가 등 다양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리고 대회 참여 중심의 학교스포 츠클럽 활동에 대한 한계점을 비판했다.
학교 내 교사 간의 연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무엇이 필요한가? 해당 종목을 지도하던 교사가 이동하면 그 종목을 유지하지 못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담당교사가 이동해도 다른 교사가 지속해서 운영하고, 학생들이 자치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연계 방안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여학생의 학교 내 연계와 학교 외 연계의 구체적인 사례를 제시하고, 의미를 분석하여 체육수업의 연계 방안에 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체육활동에서 운동기능 수준이 낮은 여학생은 어떤 경향이 있는가? 또한, 학생들의 동기유발을 위한 다양한 리드업1) 프로그램 및 뉴스포츠 적용이 효과적이라고 제시했다. 운동기능 수준이 낮은 여학생은 팀원으로 역할을 하지 못하고, 참여의 기회가 제한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교사들은 여학생들의 관점에서 수업 참여 유형을 분석해야 한다[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2017). School Sports Promotion Act. http://www.law.go.kr/lsSc.do?tabMenuIdtab18§ion&eventGubun060101&query%ED%95%99%EA%B5%90%EC%B2%B4%EC%9C%A1+%EC%A7%84%ED%9D%A5%EB%B2%95#undefined 

  2. W. J. Kim & A. R. Hong. (2017). A Study on the Activating for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by Analyzing Research Trends on the Korean Girls Physical Activity.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for Girls and Women, 31(3), 73-93. DOI: 10.16915/jkapesgw.2017.09.31.3.73 

  3. H. W. Jung & D. H. Kim. (2016). An Exploration of the Direction of Polices for Girls' Physical Education Promotion : Focusing on the revision of the Physical Education Promotion Ac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port Policy, 14(4), 199-215. 

  4. Y. K. Jin & H. S. Lee. (2016). Changes and Development Subject of Physical Education Policy for Activating Girls Physical Activities in School.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for Girls and Women, 31(3), 73-93. DOI : 10.16915/jkapesgw.2016.12.30.4.89 

  5. Y. K. Jin. (2017). How far have we come with the girls' school sports vitalization policy? Sports science, 139, 70-79. 

  6. J. K. Go. (2018). A girl student physical education vitalization. woori-physical education, 19, 22-29. 

  7. M. K. Park & S. H. Jun. (2018). The Effect of Middle School Girl Student's Experience of Participation in School Sports Club Tournaments on Self-esteem, School Belonging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for Girls and Women, 32(2), 23-41. DOI: 10.16915/jkapesgw.2018.06.32.2.23 

  8. T. H. Kwon. (2019). Lack of Korean Youth Exercise Worst in the World. Female students are the 'Worst' of 146 countries. KBS news.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5534121&plinkSEARCH&cooperSBSNEWSSEARCH 

  9. H. W. Kim, C. J. Kim & G. S. Oh. (2017). An Analysis of the Relation between Perceived Exercise Performance Competence, Perceived Athletic Ability and Sports Value through Competitive Sports Class of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Sport, 15(3), 91-105. 

  10. E. S. Oh & S. J. Hong. (2016). Difficulty and improvement scheme of teaching volleyball type in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 of the net type competition activities. The Korean Journal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22(2), 27-38. 

  11. T. S. Lee. (2000). The Encyclopedia of Physical Athletics. Seoul: Minjungseogwan. 

  12. K. W. Seo. (2009). See Class with your child's eyes: Understanding teaching anthropology as an educational practice. Journal of Educational Anthropology, 118th Monthly Presentation, 1-40. 

  13. K. J. Yoon & C. H. Lee. (2019). A study of investigating the recognition and satisfaction on the current status of school-community connection in physical education. Korean Journal of Sport Pedagogy. 26(1), 107-122. DOI: 10.21812/kjsp.2019.01.26.1.107 

  14. K. J. Yoon & H. W. Jung. (2018). A study of exploring aspects of school-community connection in physical education. Korean Journal of Sport Pedagogy, 25(3), 1-20. DOI: 10.21812/kjsp.2018.07.25.3.1 

  15. M. N. Choi & H. L. Roh. (2015). A study about a convergence development plan of MOOCs based e-learning in universit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3(7), 9-21. DOI: 10.14400/JDC.2015.13.7.9 

  16. Y. S. Choi. (1999). Qualitative Data: Focused on Collective Life History Research. Anthropology of Education, 2(2), 1-22. 

  17. B. J. Lee. (2013). Development of team-sports learning model for social skills development, reference of physical education-Hanmadang, 59-82. 

  18. S. H. Oh. (2019). The Meaning of Class Community Competency Change through Volleyball Class with Sport Education Model. Korean Journal of Sport Pedagogy, 26(4), 73-91. DOI: 10.21812/kjsp.2019.10.26.4.73 

  19. D. Y. Lee & J. H. Park. (2016). Exploring new directions of flipped Learning with a focus on teacher's perception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8), 1-9. DOI: 10.14400/JDC.2016.14.8.1 

  20. H. C. Joo & S. B. Kim. (2018). A Study on Middle and High School PE Teacher's Perceptions of Technology Physical Education Class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Wellness, 13(2), 81-99. 

  21. E. J. Kim, K. I. Jung & J. W. Park. (2012). Positive Understanding on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of Middle School Students by Class Diaries.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Physical Education, 17(3), 63-77. 

  22. H. C. Joo & S. B. Kim. (2018). A Study on Middle and High School PE Teacher's Perceptions of Technology Physical Education Class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Wellness, 13(2), 81-9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