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개 지역 요양병원 간병인의 감염관리수행도 관련성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Infection Control Performance in a Long Term Care Hospital Caregiver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8 no.1, 2020년, pp.187 - 198  

홍나경 (제주의료원 간호과) ,  강경자 (제주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일개 지역 요양병원 간병인의 일반적 특성, 감염관리 특성, 감염예방지식과 감염관리환경을 확인하고 감염관리 수행도에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자는 일개 지역 8개 요양병원의 간병인 197명이며, 자료수집은 자가기입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2018년 8월에 진행되었다. 자료분석SPSS WIin 20.0을 이용하여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rchial multiple stepwise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감염 예방지식은 감염관리수행도와 유의한 상관관계(p<.001)가 있었다. 요양병원 간병인의 감염관리수행도 영향요인은 70세 이상(t=2.50, p=.013), 8시간 근무(t=-2.62, p=.010), 1등급(t=2.48, p=.014), 감염예방지식(t=2.96 p=.003)이었으며, 제 변수들은 요양병원 간병인 감염관리수행도의 12.9%를 설명(F=6.70, p<.001)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요양병원 간병인의 감염관리수행도 영향요인을 확인함으로써 추후 간병인의 감염관리수행도 향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요양병원의 감염관리 수준을 향상시키는데 기초자료가 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infection management status of long term care hospitals and infection prevention knowledge of caregivers. This is descriptive study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caregivers' infection control performance in long term care hospitals. The data collecti...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요양병원 간병인의 감염관리수행도 관련 요인과 기관의 감염관리환경 수준을 확인함으로써 간병인의 감염관리수행도를 높이기 위한 기초자료를 위해 수행되었다. 논의는 일 지역 간병인력의 특성, 기관의 감염관리환경과 감염관리수행도 영향요인을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 본 연구는 간병인의 감염관리수행도 관련성과 감염관리환경이 감염관리수행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대한 기초자료이며, 감염관리환경과 수행도를 확인하는데 의의가 있다. 그러나 일지역 요양병원에 국한된 자료이므로 전체 요양병원으로 일반화를 하는데 제한이 있다.
  • 본 연구는 요양병원 간병인의 감염예방지식과, 기관의 감염관리환경 및 감염관리수행도와의 관련성 확인을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일개 지역 요양병원 간병인의 제 특성들, 요양병원 감염관리환경, 감염예방지식이 간병인의 감염관리수행도와의 관련성을 확인하는데 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요양병원 간병인의 감염관리수행도 관련 요인과 기관의 감염관리환경 수준을 확인함으로써 간병인의 감염관리수행도를 높이기 위한 기초자료를 위해 수행되었다. 논의는 일 지역 간병인력의 특성, 기관의 감염관리환경과 감염관리수행도 영향요인을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일개지역 요양병원 간병인의 감염관리수행도 영향요인을 규명하는데 있다.
  • 이에 본 연구는 일지역 요양병원 간병인의 일반적 및 감염관리 특성, 감염예방지식과 감염관리환경을 확인하고 감염관리 수행도에 미치는 관련성을 조사함으로써 요양병원 간병인의 감염관리수행도에 대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요양병원이란 무엇인가? 이는 수적 증가 뿐 아니라 진료 환자수와 진료 비용 역시 증가시켜 2017년 환자 수 89만 여명, 진료비 6조 9,836억원 등 객관적 수치를 보여준다[1]. 요양병원은 주로 의사, 치과의사, 또는 한의사가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30개 이상 요양병상에서 의료행위를 하는 병원급 의료기관을 말한다[2,3]. 또한 요양병원은 급성기와 아 급성기 치료를 포함하여 요양서비스를 제공하며, 일반병원보다 장기간 입원이 가능한 장점 때문에 노인들이 의료이용 기관으로 선택하고 있어 비중이 단기간에 높아졌다[3].
감염관리수행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 대상자의 감염관리수행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은 연령 70세 이상, 감염예방 지식, 근무형태 8시간, 간호등급 1등급이었다. 회귀 모형에서 가장 큰 영향요인은 감염예방지식으로, 지식이 높을수록 감염관리 수행도가 높았다.
양질의 간병인력을 유지하기 힘든 이유는? 한편, 요양병원의 인력구성을 보면 환자 수에 따라 의료인이나 간호조무사의 수가 법[8]에 제시된 반면, 간병 인력의 기준은 제시되지 않는다. Lee[9]는 현장의 간병인 인력을 조사한 결과 간병인 한 명당 6-15명 이상의 환자를 돌보고 있다고 하였다. 또한 병원간병은 법적으로 어떠한 자격 소지도 의무화되지 않는 상황에서, 요양병원에서 일하는 간병인이 처음 일을 시작하게 될 때 간병소개소 또는 파견업체, 때로는 병원의 임시 채용 형태로 고용되고 있는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유입[10,11]되는 것이 현실이다. 이는 직접 돌봄제공자로서 간병인의 감염예방지식과 감염관리능력을 포함한 간병서비스의 질 수준을 보장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양질의 간병인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어려움을 암시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2018). Statistics, Accessed 31, March, 2018, from http://www.hira.or.kr/ 

  2. National statute information center, Medical law : medical institution, from https://www.law.go.kr/lsSc.do?tabMenuIdtab18#J3:0 

  3. S. T. Cho & H. R. Na. (2017). Genitourinary problems in the elderly in geriatric hospitals. Journal Korean Medical Association, 60(7), 536-541. https://doi.org/10.5124/jkma.2017.60.7.536 

  4. B. Y. Jeon, H. S. Kim & S. N. Kwon. (2016). Patient and Hospital Characteristics of Long-Stay Admissions in Long-Term Care Hospitals in Korea.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26(1), 39-50. https://doi.org/10.4332/KJHPA.2016.26.1.39 

  5. E. J. Jang & S. H. Kim. (2017). Delegation of Nursing Activities in Long-term Care Hospital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 Nursing, 19(2), 101-112. https://doi.org/10.17079/jkgn.2017.19.2.101 

  6. S. J. You et al. (2007). Study of the Utilization Strategy of Nursing Personnel by Types of Medical Institutions. Clinical Nursing Research, 13(1), 157-172. 

  7.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9). The standard textbook for the caregiver, from : http://www.mohw.go.kr/react/jb/sjb030301vw.jsp 

  8. National statute information center, Medical law 38 : appendix 5, from https://www.law.go.kr/lsSc.do?tabMenuIdtab18&query%EC%9D%98%EB%A3%8C%EB%B2%95%20#J38:0 

  9. S. J. Lee. (2018). Effects of care-giver's knowledge level of infection control, infection prevention environment for practice level of infection control in geriatric hospitals. Master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10. J. Lim. (2013). The reality and quality improvement of care labor in nursing homes. Monthly Wellfare Trend, 174, 49-55. 

  11. N. M. Whang. (2010, July). Issues and Tasks of Institutionalization of Care Service. Welfare, Issue & Focus. 47. Retrieved April 6, 2018, https://www.kihasa.re.kr/web/publication/periodical/issue_view.do?menuId50&tid38&bid21&searchFormY&keyFieldwriter&searchStat2019&key%ED%99%A9%EB%82%98%EB%AF%B8&aid47&ano1 

  12. J. H. Lee & G. E. Lee. (2012). Perception and Practice of Hospital Infection Control of Nursing Staff depending on the Supplementation of Nurses in Long-term Care Hospitals. Korean Academic Society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1(3), 308-316. https://doi.org/10.5807/kjohn.2012.21.3.308 

  13. S. H. Yang & Y. R. Kwen. (2014). Recognition of Skin Infection and Infection Management Practice on Caregivers in Geriatric Hospital.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4(12), 808-817. https://doi.org/10.5392/JKCA.2014.14.12.808 

  14. A. G. Stachel, K. Bornschlegel & S. Balter. (2012). Characteristics, services, and infection control practice of New York city assisted living facilities, Journal of American Geriatric Society, 60(2), 284-289. https://doi.org/10.1111/j.1532-5415.2011.03817.x 

  15. K. J. Kim & S. W. Park. (2016). The Influencing Factors on Infection Management Behavior of Health Worker in Long Term Care Facilitie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me Health Care Nursing, 23(2), 155-165. https://doi.org/10.22705/jkashcn.2016.23.2.155 

  16. K. S. Baik. (2015). Effects of Nurses' Knowledge, Administrative Support and Environment for Infection Control on Compliance of Standard Precautions in Geriatric Hospital. Master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7. Y. J. Kim & J. S. Park. (2017). Survey on Infection Control Status and Perceived Importance of ICP (infection control practitioner) in Long Term Care Hospital,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8(7), 466-475. https://doi.org/10.5762/KAIS.2017.18.7.466 

  18. Y. S. Ko & B. H. Park. (2016). Awareness and Performance Level for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 Control among Caregivers at Medium and Small Hospitals. Korean Journal Healthcare Association Infection Control Prevention, 21(2), 74-84. https://doi.org/10.14192/kjhaicp.2016.21.2.74 

  19. J. K. Kim. (2009). Relationship between Recognition and Performance of a Caregiver on Management of Nosocomial Infection. Master thesis. Konyang University, NonSan. 

  20. Y. M. Ko. (2014). A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Performance on Infection Control of Caregivers in Home Visit Care Centers and Aged Care Facilities in I City. Master thesis. Gachon University. Incheon. 

  21. K. H. Hong. (2015). Factors Related to Infection Control Performance of Care Workers in Long term Care Facilities, Master thesis. Jeju National University, Jeju. 

  22. K. Lee. (2018). The performance of infection control and related factors among some care workers in long-term care hospitals. Master thesis. Chosun University, Gwangju. 

  23. H. H. Gil & J. S. Choi. (2012). Affecting Factors of Hospital Caregivers on the Level of Practice, Knowledge, and Importance of Work under No Guardian. Korean Journal of Occupation Health Nursing, 21(1), 55-65. https://doi.org/10.5807/kjohn.2012.21.1.55 

  24. B. M. Ryu & S. M. Ryu. (2010). The Effects of Infection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on Infection Prevention Knowledge and Attitude to Nursing Caregiver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15(5), 167-177. 

  25. M. Askarian, Z. A. Memish & A. A. Khan (2007). Knowledge, practice, and attitude among Iranian nurses, midwives, and students regarding standard isolation precautions. Infection Control Hospital Epidemiology, 28(2), 241-244. https://doi.org/10.1086/510868 

  26. Y. S. Kim. (2008). A Study for Nosocomial Infection Control in the Emergency Rooms. Ulsan. http://www.cdc.go.kr/CDC/cms/content/mobile/09/1309_view.html 

  27. E. M. Jeon, S. A. Lee & J. W. Gu. (2017). The Factors Related to Musculoskeletal Symptoms of Family Care-Givers who Have a Patient with Brain Damage.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8(1), 336-344. https://doi.org/10.5762/KAIS.2017.18.1.336 

  28. S. C. Song. (2016, 9 10). The elderly nursing hospital was called bad due to neglected nursing care expenses. Retrieved November 30, 2018, from http://www.doctors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2596 

  29. S. Y. Jeong, O. S. Kim, J. H. Choi & S. J. Lee. (2018). Infection Control Tasks, Difficulties, and Educational Needs of Infection Control Practitioners in Long Term Care Facilities in Korea.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38(3), 331-362. https://doi.org/10.15709/hswr.2018.38.3.331 

  30. Y. H. Kim. (2018). A Study on Elderly Care Labor Market and Korean-Chinese Migrant Workers in Korea: Focused on Regulatory Policy. Social Welfare Policy, 45(1), 180-206. 

  31. Y. E. Kim. (2016). A comparative study of changes in care helper Duty satisfaction - Focused on Jeju facility care helpers, Korean Journal of Care Management, 20, 93-119. 

  32. S, J, Jang & J. H. Jang. (2018). Knowledge, Attitudes and Compliance Regarding Infection Preventive Behaviors for MERS among Staff in Long-term Care Hospitals. Journal of the Korea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19(6), 334-344. https://doi.org/10.5762/KAIS.2018.19.6.334 

  33. C. Y. Kwak, S. J. Kim, K. A. Kang & E. S. Lim. (2013). A Study of the Status and Problems of Formal Caregiving System by Hospitals in South Korea.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5(2), 827-839. 

  34. S. S. Kim. (2015). Work and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of Health Care Workers in South Korea, The Korean-Japanese Journal of Economics & Management Studies, 69, 97-123. 

  35. C. S. Kim. (2011). An Exploratory Study on Quality of Care-Giving Service with Use of SERVQUAL -Targeting Inpatients of Long-Term Care Hospitals in Daejeon Region,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5(1), 45-60. https://doi.org/10.12811/kshsm.2011.5.1.045 

  36. J. S. Han & H. J. Han. (2017). Factors Affecting Burnout of Caregivers in Geriatric Hospital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me Health Care Nursing, 24(1), 79-86. https://doi.org/10.22705/jkashcn.2017.24.1.079 

  37. D. H. Kim & H. J. Lee. (2014). Effects on Long-Term Care Hospital Staff Mixing Level after Implementing Differentiated Inpatient Nursing Fees by Staffing Grad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 95-105. https://doi.org/10.11111/jkana.2014.20.1.95 

  38. M. R. Sim & K. H. Kim. (2010). Job Satisfaction, Self-Esteem, and Nursing Task Performance among Registered Nurses and Nurse Assistants in Long-Term Care Hospita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6(4), 446-454. https://doi.org/10.11111/jkana.2010.16.4.446 

  39. E. H. Kim & E. J. Lee. (2015). Nursing outcomes of inpatient on level of nursing staffing in long term care hospitals. Journal of the Korean Data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6(3), 715-727. https://doi.org/10.7465/jkdi.2015.26.3.715 

  40. H. H. Kim & N. H. Kim. (2017). A Study of the Knowledge, Awareness and Performance of the Infection Control among Nurses in Long-term Care Hospital.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7(11), 457-471. https://doi.org/10.14257/ajmahs.2017.11.08. 

  41. M. K. Anthony, T. Standing & J. E. Hertz. (2000). Factors Influencing Outcomes After Delegation to Unlicensed Assistive Personnel.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30(10), 474-481. 

  42. National statute information center, Medical law 43: infection control committee, https://www.law.go.kr/lsSc.do?tabMenuIdtab18&quer y%EC%9D%98%EB%A3%8C%EB%B2%95%20#J43:0 

  43. Y. J. Kim, S. Y. Ann, J. H. Yee & C. O. Kim. (2016). Clinical Finding and Antimicrobial Resistance in Bacteria Associated Geriatric Hospital, Korean Journal of Clinical Geriatrics, 16(2), 63-68. https://doi.org/10.15656/kjcg.2015.16.2.63 

  44. E. M. Harrison et al. (2016). Transmission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and their related healthcare networks. Genome Medicine, 8(102), 1-9. https://doi.org/10.1186/s13073-016-0353-5 

  45. D. M. Murphy et al. (2012). Competency in infection prevention: A conceptual approach to guide current and future practice. American Journal of Infection Control, 40(4), 296-303. https://doi.org/10.1016/j.ajic.2012.03.002 

  46. N. Abela, & M. A. Borg. (2012). Impact on hand hygiene compliance followin g migration to a new hospital with improved resources and the sequential introduction of World Health Organization recommendations. American Journal of Infection Control, 40(8) , 737-741. https://doi.org/10.1016/j.ajic.2011.09.012 

  47. K. N. Kim & O. C. Lee. (2016). Knowledge, Attitudes and Perceptions of Nurses on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Response to the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3(4), 402-410. https://doi.org/10.7739/jkafn.2016.23.4.4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