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융합 시대의 의료종사자를 위한 단축형 생명의료윤리 도구 개발 및 평가
Develop and Evaluate the Short Form Biomedical Ethics Tool for Medical Workers In Convergence Era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8 no.1, 2020년, pp.219 - 229  

제남주 (창신대학교 간호학과) ,  박미라 (창신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의료종사자를 대상으로 단축형 도구를 개발하여 기존 도구와 비교하고, 생명의료윤리 의식 측정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목적이었다. G도에 소재한 의료종사자 211명을 대상으로 자료수집 하였다. IBM SPSS WIN/21.0을 이용하여 베리맥스 회전추출방법을 이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하였으며, 원도구 점수와의 회귀분석상관분석을 통해 도구의 수렴타당도를 검증하고, 급내상관계수와 내적일관성 계수를 산출하여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21개 문항으로 단축한 도구는 49개 문항 원 도구의 생명의료윤리의식의 84%를 반영하고 있으며,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29개의 단축형 도구보다 도구의 신뢰도가 높았으나, 하위영역의 구성문항과 신뢰도계수의 차이가 있었다. 추후 하위영역별 도구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질적연구와 대상자 인터뷰를 통한 추가 문항개발이 필요하며, 다양한 윤리적 딜레마가 있는 임상현장에서 타당도와 신뢰도가 확보된 도구로 생명의료윤리 의식 측정이 필요하며 이에 대한 반복연구가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hort biomedical ethics tool for healthcare workers, compare it with pre-existing tool, and increase reliability. Data were collected from 211 healthcare workers working in G-do.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Varimax rotation extraction ...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G도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의료종사자를 대상으로 원도구를 이용하여 생명의료윤리 의식을 측정한 후, 요인분석을 이용하여 의료종사자를 위한 생명의료윤리 측정도구의 단축형을 개발하고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 본 연구는 기존 도구와 비교하여, 추후 하위영역별 도구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추가 문항개발이 필요함을 밝힌 의의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가 일개 상급병원에 근무하는 의료종사자를 대상으로 편의 표본 추출한 연구로 본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하거나 확대 해석하는데 제한점이 있다.
  • 본 연구는 요인분석을 통해 새로운 단축형도구를 개발하여 의료종사자의 생명의료윤리 의식 측정도구로써 적절한지를 파악하고 구성타당도, 수렴타당도, 내적일관성 및 신뢰도를 검증함으로써 도구의 타당성 및 신뢰성의 근거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의료종사자를 대상으로 타당도와 신뢰도가 높은 생명의료윤리 단축형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확인하여 의료종사자의 생명의료윤리 의식을 높이기 위한 대책 마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의료종사자를 대상으로 생명의료윤리 측정도구의 구성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여 단축형 도구를 개발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G도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의료종사자를 대상으로 생명의료윤리 단축형 측정도구를 개발하여 기존 도구와 비교하고, 생명의료윤리 의식 측정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 그러나, 이 도구 역시 대상자에 따라 도구의 타당성과 신뢰성의 일관성 확보가 어려웠다. 이에 의료종사자를 대상으로 개발된 49문항의 원도구와 29문항의 단축형 문항, 본 연구에서 요인분석을 통해 수정 보완한 21문항의 도구를 비교하여 의료종사자의 생명의료윤리 의식 측정도구로써 적절한지를 파악하여 더 적절한 측정문항을 개발하여 구성타당도, 수렴타당도, 내적일관성 및 신뢰도를 검증함으로써 도구의 타당성 및 신뢰성의 근거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단축형 도구의 하위 영역별 내적일관성 검사의 신뢰도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본 연구 결과 태아생명권, 인공수정, 신생아의 생명권의 영역에서 신뢰도가 .70 이상이었고, 인공임신중절, 태아진단, 안락사, 장기이식, 뇌사, 인간생명공학의 영역에서 신뢰도가 .70 이하로 나타났다. 검사의 신뢰도는 다른 조건이 동일할 때, 중간 정도 난이도의 검사, 변별력이 높은 검사, 검사의 길이가 긴 검사의 신뢰도가 높아지므로 10문항 이하의 도구 신뢰도가 .
생명존엄성과 인간에 대한 다양한 가치관이 공존으로 인한 변화는? 현대 사회는 생명존엄성과 인간에 대한 다양한 가치관이 공존하고 있어 생명의료와 관련된 문제로 생명경시풍토, 도덕적 해이를 비롯한 윤리·사회적 우려를 낳고 있다[1]. 그러므로, 인간의 삶과 죽음을 도덕적·비판적으로 검토하여 올바른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생명의료윤리 의식의 중요성이 대두되었다[1].
윤리 의식의 중요성이 대두된 배경은? 현대 사회는 생명존엄성과 인간에 대한 다양한 가치관이 공존하고 있어 생명의료와 관련된 문제로 생명경시풍토, 도덕적 해이를 비롯한 윤리·사회적 우려를 낳고 있다[1]. 그러므로, 인간의 삶과 죽음을 도덕적·비판적으로 검토하여 올바른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생명의료윤리 의식의 중요성이 대두되었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S. Gorovitz. (1977). Bioethics and social responsibility. Monist, 20(1), 3-15. DOI: 10.5840/monist197760128 

  2. H. S. Jeon. (2011).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in nursing students and non-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Fundamentals of Nursing, 18(3), 401-410. DOI: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1709398 

  3. Y. J. Lee. (2013). Awareness of Biomedical Ethics and Attitudes to Euthanasia of Clinical Nurse's. Master'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4. J. H. Shin, S. H. Jeong, M. H. Lee & Y. R. Yang. (2015). Experiences of ethical issues and needs for ethics education in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ic Nursing Administration, 21(3), 327-339. DOI: 10.11111/jkana.2015.21.3.327 

  5. B. H. Kong, Y. H. Gu, S. D. Kim, J. G. Kim & Y. R. Um. (2007). Bioethics. 2nd ed. Seoul:Hyunmoon. 1-315. 

  6. S. H. Kim. (2008). Bioethics. Seoul: Philosophy and Reality. 1-158. 

  7. I. S. Kim. (2013). Effects of bioethics education on the consciousness of bioethics of freshman nursing and health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Bioethics Association, 14(1), 1-13. DOI: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2217899 

  8. M. S. Yoo & H. S. Park. (2010). Effects of nursing ethics education on bioethics awareness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s of nurses. The Journal of Korean Bioethics Association, 11(1), 51-60. DOI: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1477364 

  9. J. Y. Ha, D. H. Kim & S. K. Hwang. (2009). The Perception of Biomedical Ethics in Nurse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5(2), 216-224. DOI: 10.5977/JKASNE.2009.15.2.216 

  10. Statistics Korea. Preliminary Results of Birth and Death Statistics in 2017 [Internet]. Statistic Korea 2018 [cited 2018 Feb 28].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2/1/index.board?bmoderead&aSeq366414 

  11. S. N. Kim & H. J. Kim. (2016). Recognition of good death, attitude towards the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and attitude towards euthanasia in nurses. Korean J Hosp Palliat Care, 19(2), 136-144. DOI: 10.14475/kjhpc.2016.19.2.136 

  12. J. G. Kim, S. M. Oh, E. Y. Cheon & J. H. Yoo. (2016). Factors influencing the attitude toward death in college nursing student.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7(1), 676-683. DOI: 10.5762/KAIS.2016.17.1.676 

  13. J. W. Lee. (2012). The ethical problems on defining brain death and organ transplantation.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69(3), 271-295. 

  14. J. H. Park, M. J. Kim & S. O. Lee. (2006). Introduction to nursing.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162-163. 

  15. Y. H. Cho. (2017). Factors affecting the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of the nursing students before clinical practice in convergence era.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10), 359-369. DOI: 10.15207/JKCS.2017.8.10.359 

  16. S. Y. Park & K. Y. Park. (2015). Correlation study of characteristics of bio-medical ethics and self-esteem for undergraduat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6(6), 255-261. DOI: 10.15207/JKCS.2015.6.6.255 

  17. Y. N. Park. (2019). A convergence study on the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of dental hygiene and health science related majoring students.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9(10), 227-233. DOI: 10.22156/CS4SMB.2019. 9.10. 227 

  18. O. H. Kim, S. A. Ahn, S. M. Oh, J. H. Kong & H. O. Choi. (2019). The mediating effect of biomedical ethics aware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ral distress and moral sensitivity of hospital nurses.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9(9), 78-86. DOI: 10.22156/CS4SMB.2019.9.9.078 

  19. G. S. Lee. (2002). A compariative study on the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of health care professionals and non health care professionals. Master's thesis. Kyunghee University, Seoul. 

  20. J. H. We, B. H. Chang, M. H. Lim. (2017). The Relationship of the Empathy and Biomedical Ethics Awareness with University Student.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7(4), 500-509. DOI: 10.5392/JKCA.2017.17.04.500 

  21. J. H. Bae. (2018). Biomedical ethics awareness and its related factors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12(1), 271-278. DOI: 10.21184/jkeia.2018.1.12.1.271 

  22. G. S. Jeong. (2013). The effects of gender, ethical values and characteristics of biomedical ethics on the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on nursing students in one nursing college.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4(11), 5672-5681. DOI: 10.5762/KAIS.2013.14.11.5672 

  23. Y. H. Kwon. (2009). Factors affecting the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of the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ublic Health Nursing, 23(2), 262-272. DOI: 10.5762/KAIS.2014.15.7.4423 

  24. S. D. Kim. (2014). Effects of a blended learning program on ethical values in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Administration, 20(5), 567-575. DOI: 10.11111/jkana.2014.20.5.567 

  25. M. H. Lim & C. S. Park. (2014). Factors Affecting the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5(7), 4423-4431. DOI: 10.5762/KAIS.2014.15.7.4423 

  26. Y. J. Lee & I. O. Moon. (2015). Development and Testing of the Short Form Biomedical Ethics Scale. Global Health Nurs, 5(2), 67-77. UCI: I410-ECN-0102-2016-510-000459285 

  27. H. Kang. (2013). A guide on the use of factor analysis in the assessment of construct validi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3(5), 587-594. DOI: 10.4040/jkan.2013.43.5.587 

  28. J. K. Tak. (2007). Psychological testing: An understanding of development and evaluation method (2nd ed.). Seoul: Hakjisa Publisher. 

  29. E. S. Choi. (2016). Nurses' awareness of biomedical ethics and their attitude toward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Master's thesis.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Wonju. 

  30. Y. S. Lee. (1990). A Study of the Ethical Values of Korean Nurses, Journal of Nursing Academic Sociaty, 20(2), 249-270. DOI: https://doi.org/10.4040/jnas.1990.20.2. 249 

  31. S. J. Kwon. (2003). A Study on Consciousness of Bioethics of the Nursing Students and Medical Students. Master's Thesis, Keimyung Universuty. Daegu. 

  32. S. K. Kim, Y. L. Kim, K. S. Park & W. K. Lee. (2015).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instrument to assess quality of life for end stage renal disease.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6(3), 707-714. DOI: 10.7465/ jkdi.2015.26.3.707 

  33. S. Y. Kim. (2014). Effects of biomedical ethics education using movies on biomedical ethics awareness of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4(7), 281-290. DOI: 10.5392/JKCA.2014.14.07.281 

  34. L. B. Mokkink et al. (2010). The COSMIN study reached international consensus on taxonomy, terminology, and definitions of measurement properties for health-related patient- reported outcomes. Journal of Clinical Epidemiology, 63(7), 737-745. DOI: 10.1016/j.jclinepi.2010.02.006 

  35. K. Lee & S. Shin. (2013). Validity of instrument development research in Korean nursing research.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3(6), 697-703. DOI: 10.4040/jkan.2013.43.6.697 

  36. E. H. Lee, C. J. Kim, E. J. Kim, H. J. Chae & S. Y. Cho. (2013). Measurement properties of self-report questionnaires published in Korean nursing journa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3(1), 50-58. DOI: 10.4040/jkan.2013.43.1.50 

  37. R. F. DeVellis. (2016). Scale development: Theory and applications. 4th ed. Thousand Oaks (CA): Sage; 111-14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