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강우 발생 패턴변화와 하천 수위 변화가 하천식생 발생에 미치는 영향
Riparian Vegetation Expansion Due to the Change of Rainfall Pattern and Water Level in the River 원문보기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v.7 no.4, 2020년, pp.238 - 247  

김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국토보전연구본부) ,  김시내 ((주)이산 수자원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하천내 식생의 발생원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984년에서 2018년까지 35년 동안 19개 지점의 월강우량 변화를 분석하였고, 섬강, 청미천, 내성천 식생 발생 단면에서의 수위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2012년 이후 4월 강우량은 30% 증가하였고, 5월에서 9월까지의 강우량은 최대 49%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강우량이 감소한 2012년에서 2018년 사이에 섬강, 청미천, 내성천에서 하천 전단면이 침수되는 시간이 급격하게 줄어들었는데 섬강은 2012년, 청미천은 2013년 이후 고수부지가 한 번도 물에 잠기지 않았다. 내성천에서도 2013년 이후 저수로 전체가 침수되는 시간이 급격하게 줄어들었고 2015년에는 한 번도 잠기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영향으로 침수가 되지 않은 부분에서 식생이 급격하게 발생하였고 시간 경과에 따라 정착한 것으로 판단된다. 하천 식생의 확대와 정착은 하천 통수능의 감소 뿐만아니라 육역화로 인한 수상 생태계 상실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책의 수립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auses of the rapid expansion of riparian vegetation in river channels in recent years. Accordingly, the changes in the monthly rainfall were analyzed at 19 locations over the period of 1984 to 2018. Moreover, the changes in the water levels of the target river section...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급격하게 식생이 증가하는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 전국적으로 월강우량의 연도별 변화를 분석하였고 하천 단면내에서 수위의 변화를 분석하여 하천내 수위 변화와 식생 발생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강우량의 변화가 하천 수위의 변화로 나타나고 하천 수위의 변화가 식생의 변화로 나타나는 연결고리를 분석하여 식생 발생의 원인을 규명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 본 논문에서는 이 선을 식생 발생 기준 높이라고 명명하였다. 또한 해당 연도의 시수위를 나타내고 있는데 단면 내에서의 시간별 수위 변화를 보여주는 것이다. Fig.
  • (Asaeda and Sanjaya 2017). 본 논문에서는 일본에서도 우리나라와 유사한 경향이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일본 중부지방 6개 지점 (Ibi, Kiso, Nagara, Tenryu, Toyo, Yahagi)의 월강우량을 분석하였다. Fig.
  • 또한 2010년 이후급격하게 식생면적이 증가하여 내성천의 경우 2011년대비 2017년의 식생면적이 17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중소하천의 식생 증가 원인을 분석하였다. 급격하게 식생이 증가하는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 전국적으로 월강우량의 연도별 변화를 분석하였고 하천 단면내에서 수위의 변화를 분석하여 하천내 수위 변화와 식생 발생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 강우 발생 패턴의 변화가 지역적 차이없이 전국적으로 발생하는 식생의 주요 원인중 하나라고 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전국 19개 지점의 월강우량 변화를 분석하여 강우량의 변화가 식생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월강우량의 변화는 강우 사상과는 다른 형태로 나타날 수 있고, 직접적인 식생의 발생은 강우사상에 의해 더 큰 영향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이지만 월강우량의 변화가 뚜렷하게 나타날 경우 식생 발생과 연관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되어 본 연구에서는 월강우량을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하천내 식생의 과도한 발생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 월강우량과 하천 수위의 연도별 변화를 분석하였다.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본 논문에서의 기본가정은 홍수기라고 할 수 있는 늦봄에서 여름 사이 강우량이 줄어들었고 이로 인해 하천의 수위가 하천 전단면을 넘치는 시간이 줄어들어 식생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Asaeda, T. and Sanjaya, K. 2017. The effect of the shortage of gravel sediment in midstream river channels on riparian vegetation cover. River Research Application. https://doi.org/10.1002/rra.3166. 

  2. Choi, S.U., Yoon, B.M., and Woo, H. 2005. Effect of dam-induced flow regime change on downstream river morphology and vegetation cover in the Hwang River, Korea. River Research and Application, John Wiley & Sons 21, pp. 315-325. 

  3. Choi, S.U., Yoon, B.M., Woo, H., and Cho, K.H. 2004. Effect of flow-regime change due to damming on the river morphology and vegetation cover in the downstream river reach: a case of Hapchon Dam on the Hwang River.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37(1): 55-66. 

  4. Gurnell, A. 2014. Plants as river system engineers. Earth Surfaces Processes and Landforms 39: 4-25. 

  5. KICT 2015. Development of floodplain management technologies for the increase of river-friendly value.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pp. 186. 

  6. Kim, W. and Kim, S. 2019. Analysis of the riparian vegetation expansion in middle size rivers in Korea.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52(S-2): 875-885. (in Korean) 

  7. Kong, H.Y., Kim, S., Lee, J., Lee, J., and Cho, H. 2016. Riparian environment change and vegetation immigration in sandbar after sand mining.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32(2): 135-141. 

  8. Lee, P.H. 2002. Growth characteristics and community dynamics of riparian Salix in South Korea.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of Gyongsang. pp. 4-40. 

  9. Lee, C.J., Woo, H., and Jang, C.L. 2019. Effect of flow regime on accelerated recruitment and establishment of vegetation in unregulated sandy rivers- a case study at Naeseong-cheon Sream in Korea. Proceedings of the 38th IAHR Congress, Panama City, Panama. 

  10. Miller, K.A., Webb, J.A., Little, S.C., and Stewardson M.J. 2013. Environmental flows can reduce the encroachment of terrestrial vegetation into river channels: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Environmental Management, DOI 10.1007/s00267-013-0147-0. 

  11. Park, B., Jang, C.L., Lee, S.H., and Jung, K.S. 2008. An investigation of changes in the area of riparian bars and vegetative area downstream of dam.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1: 1163-1172. 

  12. Riis, T. and Biggs, B. 2003. Stream vegetation and flow regimes. Water & Atmosphere 11(1): 18-20. 

  13. Williams, G.P. 1978. Case of the shrinking channels - the North Platte and Platte Rivers in Nebraska. US Geological Survey, Circular 781(781), Department of the Interior, Washington, D.C., USA. 

  14. Williams, G.P. and Wolman, M.G. 1984. Downstream effects of dams on alluvial channels. USGS Professional Paper 186, Department of the Interior, Washington, D.C., USA. 

  15. Woo, H. 2009. Literature study of vegetation recruitment on riverine bars (I, II) -Investigation on the process of white to green river. Magazine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2(8): 37-53. 

  16. Woo, H. and Park, M.H. 2016. Cause-based categorization of the riparian vegetative recruitment and corresponding research direction.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3(3): 207-211. 

  17. Woo, H., Cho, K.H., Jang, C.L., and Lee, C.J. 2019. Fluvial Processes and Vegetation - Research Trends and Implications.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6(2): 89-100. 

  18. Woo, H., Yu, D.Y., Ahn, H.K., and Choi, S.U. 2002. A Preliminary study on vegetation growth on sandbars and scours in the Hwang River. Proceedings of KSCE Annual Conference. pp. 1693-169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