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불암산 도시자연공원 생태복원지와 식생보전지 수목의 탄소저장량 및 흡수량
Carbon Storage and Absorption of Trees in the Ecological Restoration Area and Vegetation Conservation Area of Bulamsan Urban Nature Park 원문보기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v.7 no.4, 2020년, pp.284 - 293  

양금철 (공주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  김정섭 (강원연구원 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2013년 7월 부터 2015년 7월 까지 서울시 노원구 불암산 도시자연공원의 잔존림으로 남아있는 식생보전지와 교란 후 복원된 생태복원지에서 수목의 흉고직경을 측정하여 탄소 저장량 및 흡수량을 산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상수리나무군락을 중심으로 한 생태보전지의 수목의 밀도는 약 30 개체/225 ㎡로 쪽동백나무, 갈참나무, 노린재나무, 물푸레나무, 진달래 등 약 20여종의 수종이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 생태복원지는 대표적으로 신갈나무군락, 졸참나무군락, 물푸레나무군락 등으로 조성되었고, 식재밀도는 각각 8.3, 7.7, 14.3 개체/25 ㎡로, 신나무, 팥배나무, 생강나무, 진달래 등 약 10여 종의 식생이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식생보전지와 생태복원지에서 식생에 의해 저장되는 전체 탄소량은 각각 250.77, 19.3 ton C ha-1로, 연간 전체 탄소흡수량은 각각 10.28, 2.33 ton C ha-1 yr-1로 분석되었다. 이는 도시내 녹지의 탄소흡수능 및 탄소수지 모니터링의 중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present a quantitative survey of the carbon storage and absorption capacity of tree species in the vegetation conservation and ecological restoration areas of Bulamsan urban nature park in Nowon-gu, Seoul. The density of the sawtooth oak (Quercus acutissima) community in the ecological conservati...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서울시 노원구 불암산 도시자연공원 생태복원지의 식물군락을 대상으로 수목의 탄소 저장량 및흡수량을 산정하여 잔존림으로 남아있는 식생보전지와 비교하여 도시공원의 탄소흡수원으로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Choi, S.H., Lee, W.K., Yoo, S.J., Park, S.M., Byun, J.G., and Choi, G.S. 2009. Simulation on vegetation cover and terrestrial carbon distribution by climate change in Korea. 2009 GIS Joint Autumn Conference 138-139. (in Korean) 

  2. Choung, H.L., Kwon, Y.H., Choi, J.K., Rho, P.H., Lee, H.W., and Park, H.N. 2007. Native plant community restoration based on phytosociology. Korea Environment Institute. (in Korean) 

  3. Han, J.S. 2008. A study on planting management method for enlargement and quantity of CO 2 uptake by tree in the landfill site of metropolitan area, Korea.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Seoul. (in Korean) 

  4. Hough, M. 1983. City from and natural process. Croom Helm, London. 281pp. 

  5. Hwang, J.W. 2012.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carbon dioxide sequestration of urban park: the case study of seoul forest park.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in Korean) 

  6. IPCC. 2000. IPCC special report on emissions secenario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and New York. 

  7. IPCC. 2006. 2006 IPCC guidelines for na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ies, Prepared by the Na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ies Programme. (Eggleston, H.S., Buendia, L., Miwa, K., Ngara, T., and Tanabe, K. eds.). the Institute for Global Environmental Strategies, Hayama. 

  8. Jo, H.K. 1999. Carbon uptake and ernissions in urban landscape, and the role of urban greenspace for several cities in Kangwon provinc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7: 39-53. (in Korean) 

  9. Jo, H.K. and Cho, D.H. 1998. Annual CO 2 uptake by urban popular landscape tree specie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6: 38-53. (in Korean) 

  10. Kim, C. 2011. Research on carbon sequestration of urban park - In the Case of Nadry park in Pangyo. Master's Thesis, Kyungwon University. (in Korean) 

  11. Kim, C.H. 2015. Study on the vegetation structure and biodiversity improvement of urban park buffer strips considering climate change: focused on Seoul. Ph.D. Thesis, Dankook University. (in Korean) 

  12. Kim, G.S., Lim, Y.K., An, J.H., Lee, J.S., and Lee, C.S. 2014a. Carbon budget in campus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47: 167-175. (in Korean) 

  13. Kim, I.H., Oh, K.S., and Jeong, S.H. 2011. An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carbon emission and urban spatial patterns.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19: 61-72. (in Korean) 

  14. Kim, J.S. 2016.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ulti-layer planting model by climate change and estimation of carbon budget in ecological restoration site at urban park. Ph.D. Thesis, Kongju National University. (in Korean) 

  15. Kim, J.S., Kong, S.J., and Yang, K.C. 2014b. A study on the soil CO 2 efflux in Quercus acutissima stand at Mt. Bulam urban nature park.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8: 762-768. (in Korean) 

  16. Kim, K.G., Cho, D.G., Kim, N.C., and Min, B.M. 2000.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echniques for urban forest restoration and management- focus on the restoration of origin vegetation and improvement of biodiversity.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3: 27-37. (in Korean) 

  17. Kim, K.J. 2013. Characteristics of carbon budget according to planting types in urban park - The case study of Dujeong park. Master's Thesis, Kongju National University. (in Korean) 

  18. Kim, U.S. 2007. Practicable reviews on environmental aspects in urban management planning in Seoul. Seoul Development Institute. (in Korean) 

  19. Kwon, Y.A. 2002. The influence of urban green areas on ambient air temperature in Seoul. Ph.D. Thesis, Konkuk University. (in Korean) 

  20. Lee, N.Y. 2011. Estimation of carbon storage in three cool-temperate broad-leaved deciduous forests at Bukhansan national park, Korea. Journal of National Park Research 2: 53-57. (in Korean) 

  21. Lee, K.K. 2003. Sustainability indicators of greenspace in apartment sites. Ph.D.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in Korean) 

  22. Lee, S.J. 2012. A study on estimation method of the carbon dioxide storage capacity using airborne LiDAR data in managed forests.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Seoul. (in Korean) 

  23. O'Meara, M. 1999. Reinventing cities for people and the planet. Worldwatch, Washington. 

  24. Park, E.J. 2009. Quantification of CO 2 uptake by urban trees and greenspace management for C sequestration. Gyeonggi Research Institute. (in Korean) 

  25. Park, E.J. and Kang, K.Y. 2010. Estimation of C storage and annual CO 2 uptake by street trees in Gyeonggi-do.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4: 591-699. (in Korean) 

  26. Seo, K.W. 2015. Estimation of soil carbon storage by urban green spaces. Ph.D. Thesis, Korea University.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