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양파 광합성 예측을 위한 잎의 기체교환모형 모수 추정
Leaf Gas-exchange Model Parameterization and Simulation for Estimating Photosynthesis in Onion 원문보기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v.22 no.4, 2020년, pp.233 - 238  

이성은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온난화대응농업연구소) ,  문경환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온난화대응농업연구소) ,  신민지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온난화대응농업연구소) ,  오서영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온난화대응농업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식물의 생리적 과정과 환경 요인 간 상호작용에 바탕을 둔 프로세스 모형은 작물 생육 및 생산성 예측을 위한 좋은 도구이다. 탄소 획득과 바이오매스 증가는 프로세스 모형 개발의 주요 구성요소로서, 작물모형 내에서 광합성 과정의 이해 및 통합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1980년 Farquhar 등에 의해 제안된 C3 식물 잎의 광합성 모델인 FvCB 모형의 양파에 대한 적용 가능성 평가 및 적합한 모수 추정을 목표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온도구배하우스에서 재배된 조생종 양파 품종인 '싱싱볼'과 '썬더볼'의 광합성 측정 결과를 바탕으로 Vcmax, Jmax, TPU 및 Rd 값을 추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양파의 기체교환 모형은 다양한 환경 조건에서 양파의 광합성 반응 예측 및 설명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rocess-based model (PBM), based on the interactions between endogenous physiological processes and many environmental factors, can be a powerful tool for estimating crop growth and productivity. Carbon acquisition and biomass accumulation are the main components in PBM, so it has become important t...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탄소 획득과 바이오매스 증가는 프로세스 모형 개발의 주요 구성요소로서, 작물모형 내에서 광합성 과정의 이해 및 통합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1980년 Farquhar 등에 의해 제안된 C3 식물 잎의 광합성 모델인 FvCB 모형의 양파에 대한 적용 가능성 평가 및 적합한 모수 추정을 목표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온도구배하우스에서 재배된 조생종 양파 품종인 ‘싱싱볼’과 ‘썬더볼’의 광합성 측정 결과를 바탕으로 Vcmax, Jmax, TPU 및 Rd 값을 추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Ainsworth, E. A., and A. Rogers, 2007: The response of photosynthesis and stomatal conductance to rising [CO 2 ]: Mechanisms and environmental interactions. Plant, Cell and Environment 30, 258-270. DOI: 10.1111/j.1365-3040.2007.01641.x 

  2. Bernacchi, C. J., C. Pimentel, and S. P. Long, 2003: In vivo temperature response functions of parameters required to model RuBP-limited photosynthesis. Plant, Cell and Environment 26, 1419-1430. DOI: 10.1046/j.0016-8025.2003.01050.x 

  3. Bernacchi, C. J., E. L. Singsaas, C. Pimentel, A. R. Portis Jr., and S. P. Long, 2001: Improved temperature response functions for models of Rubisco-limited photosynthesis. Plant, Cell and Environment 24, 253-259. DOI: 10.1046/j.1365-3040.2001.00668.x 

  4. Buck-Sorlin, G., 2013: Process-based Model. In: Dubitzky, W., O. Wolkenhauer, K. H. Cho, and H. Yokota, (eds) Encyclopedia of Systems Biology. Springer, New York, NY. 

  5. Cannell, M. G. R., and J. H. M. Thornley, 1998: Temperature and CO 2 responses of leaf and canopy photosynthesis: A clarification using the nonrectangular hyperbola model of photosynthesis. Annals of Botany 82, 883-892. DOI: 10.1006/anbo.1998.0777 

  6. De Pury, D. G. G., and G. D. Farquhar, 1997: Simple scaling of photosynthesis from leaves to canopies without the errors of big-leaf models. Plant, Cell and Environment 20, 537-557. DOI: 10.1111/j.1365-3040.1997.00094.x 

  7. de Visser, C. L. M., 1994: ALCEPAS, an onion growth model based on SUCROS87. I. Development of the model.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69, 501-518. DOI: 10.1080/14620316.1994.11516482 

  8. Farquhar, G. D., S. von Caemmerer, and J. A. Berry, 1980: A biochemical model of photosynthetic CO 2 assimilation in leaves of C 3 species. Planta 149, 78-90. DOI: 10.1007/BF00386231 

  9. Jones, H. G., 2014: Plants and Microclimate: a Quantitative Approach to Environmental Plant Physiology (Third ed.).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27959-8. 

  10. Kamenetsky, R., 2007: Garlic: Botany and horticulture. Horticultural Reviews 33, 123-172. DOI: 10.1002/9780470168011.ch2 

  11. Kim, S. H., J. H. Jeong, and L. L. Nackley, 2013: Photosynthetic and transpiration responses to light, CO 2 , temperature, and leaf senescence in garlic: Analysis and modeling.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Horticultural Science 138, 149-156. DOI: 10.21273/jashs.138.2.149 

  12. Kim, S. H., and J. H. Lieth, 2003: A coupled model of photosynthesis, stomatal conductance and transpiration for a rose leaf (Rosa hybrida L.). Annals of Botany 91, 771-781. DOI: 10.1093/aob/mcg080 

  13. Nobel, P. S., 2009: Physicochemical and Environmental Plant Physiology (Fourth Edition). Academic Press. Page iv. ISBN 9780123741431. 

  14. Rhoades, J., 2013: "What is Onion Bolting and how to Keep an Onion from Bolting". Gardening Know How. Retrieved 27 March 2013. 

  15. Ribeiro, R. V., E. C. Machado, and R. F. D. Oliveira, 2006: Temperature response of photosynthesis and its interaction with light intensity in sweet orange leaf discs under non-photorespiratory condition. Ciencia e Agrotecnologia 30, 670-678. DOI: 10.1590/S1413-70542006000400012 

  16. Sage, R. F., and D. S. Kubien, 2007: The temperature response of C 3 and C 4 photosynthesis. Plant, Cell and Environment 30, 1086-1106. DOI: 10.1111/j.1365-3040.2007.01682.x 

  17. Sharkey, T. D., C. J. Bernacchi, G. D. Farquhar, and E. L. Singsaas, 2007: Fitting photosynthetic carbon dioxide response curves for C 3 leaves. Plant, Cell and Environment 30, 1035-1040. DOI: 10.1111/j.1365-3040.2007.01710.x 

  18. Simane, B., H. van Keulen, W. Stol, and P. C. Struik, 1994: Application of a crop growth model (SUCROS-87) to assess the effect of moisture stress on yield potential of durum wheat in Ethiopia. Agricultural Systems 44, 337-353. DOI: 10.1016/0308-521X(94)90226-6 

  19. Urban, L., and H. Restrepo-Diaz, 2017: Influences of Abiotic Factors in Growth and Development. Reference Module in Life Sciences. Elsevie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