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eta 함수 기반 기온에 따른 양파의 잎 수 증가 예측
Estimation of Onion Leaf Appearance by Beta Distribution 원문보기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v.24 no.2, 2022년, pp.78 - 82  

이성은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온난화대응농업연구소) ,  문경환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온난화대응농업연구소) ,  신민지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온난화대응농업연구소) ,  김병혁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온난화대응농업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생물계절은 작물의 발달 시기를 결정하며, 생육기 온도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다. 과정 기반 모델(PBM)에서 엽면적은 생물계절 및 형태 모듈의 결합에 의해 동적으로 시뮬레이션된다. 따라서 잎 발달 속도 또는 최종 잎 수의 예측은 전체 작물 모델의 성능에 영향을 주게 된다. 기온에 따른 잎 축적 속도 결정을 위한 데이터는 SPAR 챔버로부터 수집되었다. 온도의 함수로서 발달 속도를 설명하기 위해 베타 분포 함수(Yan and Hunt(1999)에 의해 제안됨)가 사용되었으며, 최적온도와 임계온도는 각각 26.0℃와 35.3℃로 추정되었다. 모델 추정치는 기온 모델에 생장기의 일 평균 기온을 입력하여 얻은 양파 잎의 일별 증가량을 누적한 결과이며, 모델 평가를 위해 온도구배하우스에서 관찰된 양파 잎의 누적 개수를 모델 추정치와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서 잎 수 추정 모델의 결정계수(R2)와 RMSE 값은 각각 0.95와 0.89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henology determines the timing of crop development, and the timing of phenological events is strongly influenced by the temperature during the growing season. In process-based model, leaf area is simulated dynamically by coupling of morphology and phenology module. Therefore, the prediction of leaf...

주제어

표/그림 (5)

참고문헌 (11)

  1. Ballesteros, R., J. F. Ortega, D. Hernandez, and M. A. Moreno, 2014: Applications of georeferenced high-resolution images obtained with unmanned aerial vehicles. Part II: application to maize and onion crops of a semi-arid region in Spain. Precision Agriculture 15, 593-614. DOI: 10.1007/s11119-014-9357-6. 

  2. Brewster, J. L., 1979: The response of growth rate to temperature in seedlings of several Allium crop species. Annals of Applied Biology 93(3), 351-357. DOI: 10.1111/j.1744-7348.1979.tb06551.x. 

  3. Chope, G. A., K. Cools, L. A. Terry, J. P. Hammond, and A. J. Thompson, 2012: Association of gene expression data with dormancy and sprout suppression in onion bulbs using a newly developd onion microarray. Acta Horticulturae 969, 169-174. DOI: 10.17660/ActaHortic.2012.969. 22. 

  4. Hsiao, J., K. D. Yun, K. H. Moon, and S. H. Kim, 2019: A process-based model for leaf development and growth in hardneck garlic (Allium sativum). Annals of Botany 124(7), 1143-1160. DOI: 10.1093/aob/mcz060. 

  5. Ikeda, H., T. Kinoshita, T. Yamamoto, and A. Yamasaki, 2019: Sowing time and temperature influence bulb development in spring-sown onion (Allium cepa L.). Scientia Horticulturae 244, 242-248. DOI: 10.1016/j.scienta.2018.09.050. 

  6. Kalbarczyk, R., and E. Kalbarczyk, 2014: The relation between adverse thermal soil conditions and variability of yield of onions (Allium cepa L.) in arable farmland in Poland. Bulgarian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20(5), 1211-1220. 

  7. Kim, S. H., and J. Hsiao, and H. Kinmonth-Schultz, 2019: Advances and improvements in modeling plant processes. Advances in crop modelling for a sustainable agriculture (edited by Kenneth Boote) pp.1-41. 

  8. MAFRA, 2020: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Statistics Yearbook.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108pp. 

  9. Tesfay, S. Z., I. Bertling, A. O. Odindo, P. L. Greenfield, and T. S. Workneh, 2011: Growth responses of tropical onion cultivars to photoperiod and temperature based on growing degree days. African Journal of Biotechnology 10(71), 15875-15882. DOI: 10.5897/AJB11.983. 

  10. Yan, W., L. A. Hunt, 1999: An equation for modelling the temperature response of plants using only the cardinal temperatures. Annals of Botany 84, 607-614. DOI: 10.1016/j.compag.2008.03.006. 

  11. Yin, X., M. J. Kropff, G. McLaren, and R. M. Visperas, 1995: A nonlinear model for crop development as a function of temperature.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77, 1-16. DOI: 10.1016/0168-1923(95)02236-Q.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