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예비교사의 과학교과서 학습 과정 중에 나타나는 '화살표'에 대한 시각적 주의 및 '화살표'의 시선 행동 유도성 분석: '날씨와 우리 생활' 단원을 중심으로
Analysis of the Visual Attention to the 'Arrows' and the Affordance of Eye-movement of the 'Arrows' that Appear during the Course of Learning Science Textbooks of Pre-service Teachers: Focusing on the 'Weather and Our Life' Unit 원문보기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v.13 no.3, 2020년, pp.211 - 225  

임성만 (전주교육대학교)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예비교사들이 과학교과서를 학습과정에서의 시선 이동, 교과서에 제시된 화살표에 대한 인지 여부, 그리고 화살표에 의한 시선 행동의 변화 등을 조사하여 분석하는 것이었다. 연구를 위해 시선 이동 추적 장치인 eye-tracker를 이용하였으며, 교사 양성대학에 다니는 예비교사 10명을 선정하여 진행하였다. 연구에 이용된 과학교과서 단원은 지구과학 영역 중 하나인 '날씨와 우리 생활' 단원이었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교사들은 과학교과서를 학습과정에서 그림 보다는 글에 많은 시간을 할애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예비교사들은 과학교과서에 제시된 화살표에 대해 시선을 집중하지 않는 편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화살표에 의한 시선 행동 유도'가 일어나기 위해서는 화살표에 대한 충분한 집중이 이루어져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화살표와 같은 과학교과서의 학습 요소에 대한 학습자의 시각적 주의 투여의 중요성을 시사해주며, 더불어 효과적인 학습을 위해 시선 이동 연구 자료를 통한 교과서 내 학습 요소에 대한 시각적 주의 투여를 유도할 수 있는 교과서 편집 디자인 개발이 중요함을 시사해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d analyze pre-service teachers' eye-movement in science textbooks in the learning process, whether they perceived "arrow" presented in textbooks, and changes in eye-movement by arrows. For the study, an eye-tracker, a eye-movement tracking device, was u...

주제어

표/그림 (12)

참고문헌 (33)

  1. 김태용(2008). 유명 여성모델이 등장하는 TV광고에 대한 시청자들의 시선이동. 광고학연구, 19(3), 103-115. 

  2. 송영욱, 김범기, 백성혜, 김용진, 한재영, 정정인(2010). 중학교 교과서 물리 단원에 사용된 화살표의 유형 및 문제점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14(1), 103-119. 

  3. 양일호, 김종철(2013). 과학교과서 속의 시각적 정보와 언어적 정보의 활용 방법에 대한 초등학생의 시선 이동 분석. Brain & Learning, 3(1), 19-28. 

  4. 양일호, 이정은, 임성만(2007). 초등학생들은 과학교과서 에 나오는 삽화를 어떻게 이해하고 있을까? 초등과학교육, 26(5), 475-488. 

  5. 여상인, 박창식, 임희준(2007). 한국과 미국 BSCS 초등 과학교과서의 삽화 비교. 초등과학교육, 26(4), 459-467. 

  6. 이수범, 이희복, 신명희(2011). 아이트래킹을 이용한 가상 광고 수용자 효과 연구. 광고학연구, 22(5), 99-125. 

  7. 임성만(2019). 예비교사들은 삼엽충 분류활동 중에 어떤 특성을 보이는가?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2(1), 40-53. 

  8. 임헌혁, 최재혁(2012). 교과서 편집디자인의 시지각적 개념 공유화 방안-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과학교과서를 중심으로-. 브랜드디자인학연구, 10(4), 285-302. 

  9. 조현준, 한인경, 김효남, 양일호(2008). 초등학교 과학 탐구 수업 실행의 저해 요인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8), 901-921. 

  10. 최영란, 이형철(1998). 초등학교 자연 교과서의 삽화 분석.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17(2), 45-53. 

  11. 최현동, 신동훈(2012). 과학교과서의 표를 해석하는 초등교사들의 안구 운동 추적. 초등과학교육, 31(3), 358-371. 

  12. 한재영(2006). 과학교과서에 사용된 화살표의 의미. 초등 과학교육, 25(3), 244-256. 

  13. Ametller, J., & Pinto, R. (2002). Students' reading of innovative images of energy at secondary school level.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4(3), 285-312. 

  14. Appleton, K. (2006). Scienc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K. Appleton (Ed.), Elementary science teacher education: International perspectives on contemporary issues and practice. Mahwah, NJ: Association for Science Teachers and Laurence Erlbaum. 

  15. Asay, L. D., & Orgill, M. (2010). Analysis of essential features of inquiry found in articles published in The Science Teacher, 1998-2007.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21(1), 57-79. 

  16. Baken, P., & Svorad, D. (1969). Resting EEG alpha asymmetry of reflective lateral eye movements. Nature, 223, 975-976. 

  17. Dalmaijer, E., Mathot, S., & Van der Stigchel, S. (2014). PyGaze: An open-source, cross-platform toolbox for minimal-effort programming of eyetracking experiments. Behavior Research Methods, 46(4), 913-921. 

  18. Hubisz, J. (2003). Middle-school texts don't make the grade. Physics Today, 56(5), 50-54. 

  19. Ireland, J., Watters, J. J., Brownlee, J. L., & Lupton, M. (2012). Elementary teacher's conceptions of inquiry teaching: Messages for teacher development.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23(2), 159-175. 

  20. Mason, L., Caterina, M. T., & Pluchino, P. (2013). Do fourth graders integrate text and picture in processing and learning from an illustrated science text? Evidence from eye-movement patterns. Journal of Computers & Education, 60, 95-109. 

  21. Norman, D. A. (1999). Affordance, conventions, and design. Interactions, 6(3), 38-43. 

  22. Oldfield, R. C. (1971). The assessment and analysis of handedness: The Edinburgh inventory. Neuropsychologia, 9(1), 97-113. 

  23. Pozzer, L. L., & Roth, W. M. (2003). Prevalence, function, and structure of photographs in high school biology textbook.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0(10), 1089-1114. 

  24. Rayner, K. (1998). Eye movements in reading and information processing: 20 years of research. Psychological Bulletin, 124(3), 372-422. 

  25. Richardson, J. T. E. (2005). Students' approaches to learning and teachers' approaches to teaching in higher education. Educational Psychology, 25(6), 673-680. 

  26. Robert, H. T., John, F. L., & Frederick, J. B. (2006). An exploration of the use of eye-gaze tracking to study problem-solving on standardized science assess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Research & Method in Education, 29(2), 185-208. 

  27. Roth, M., Bowen, M., & McGinn, K. (1999). Differences in graph-related practices between high school biology text-books and scientific ecology journal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6(9), 977-1019. 

  28. Salvucci, D. D., & Goldberg, J. H. (2000). Identifying fixations and saccades in eye-tracking protocols. Proceedings of The Symposium on Eye Tracking Research & Applications, 71-78. 

  29. Schwartz, R. S., Lederman, N. G., & Crawford, B. A. (2004). Developing views of nature of science in an authentic context: An explicit approach to bridging the gap between nature of science and scientific inquiry. Science Education, 88(4), 610-645. 

  30. She, H., & Chen, Y. (2009). The impact of multimedia effect on science learning: Evidence from eye movements. Computers & Education, 53(4), 1297-1307. 

  31. Stoffels, N. T. (2005). "There is a worksheet to be followed": A case study of a science teacher's use of learning support texts for practical work. African Journal of Research in Mathematics, Science and Technology Education, 9(2), 147-157. 

  32. Stylianidou, F., Ormerod, F., & Ogborn, J. (2002). Analysis of science textbook pictures about energy and pupils' readings of them.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4(3), 257-283. 

  33. Windschitl, M., Thompson, J., & Braaten, M. (2008). Beyond the scientific method: Model-based inquiry as a new paradigm of preference for school science investigations. Science Education, 92(5), 941-967.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