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복부부위에 대한 기계적 마사지 처치가 중년여성의 체성분, 허리둘레 및 복부지방면적 감소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Mechanical Massage on Body Composition, Waist Circumference and Abdominal Fat Area in Middle-aged Obese Women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10 no.3, 2020년, pp.200 - 207  

임용택 (남서울대학교 스포츠건강관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중년여성들의 복부지방 과다 축적에 의해 발생하는 건강상의 문제들을 해결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복부부위에 대한 기계적인 마사지 처치가 체성분, 허리둘레 및 복부지방면적의 감소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WHR 0.85 이상의 복부비만 중년여성 10명을 대상으로 1회 20~30분씩 1일 2회, 주 5일, 4주간 총 40회의 기계적 마사지 처치를 시행하였으며, 처치 전·후 각 변인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체중, 체지방율, 허리둘레, 내장지방 면적, 복부 피하지방 면적, 복부 총지방 면적 등 모든 측정항목에서 유의한 감소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고려할 때 복부부위에 대한 기계적 마사지 처치는 복부비만 중년여성들의 복부지방 감소에 도움을 주는 효율적인 방법이며, 나아가 복부지방으로 인해 야기되는 다양한 심혈관계 질환대사성 질환의 예방과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echanical massage on abdominal region on the reduction of abdominal fat in obese middle aged women. 10 middle aged obese women were participated in as subjects and executed 20~30min's mechanical abdominal massage for 4 weeks. At the beginni...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복부부위에 대한 4주간의 기계적 마사지 처치가 내장지방과 피하지방에 미치는 효과를 구분하여 좀 더 상세하게 규명하고,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다른 처치 방법과의 차이를 비교해 보고자CT검사를 이용하여 내장지방 면적과 피하지방 면적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문적인 지식과 기능 없이도 가정에서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전동식 마사지 기기를 이용한 복부 부위에 대한 기계적 마사지 처치가 복부비만 중년여성의 체성분 및 복부지방 개선에 미치는 효과복부부위에 대한 기계적 마사지 처치가 중년여성의 체성분, 허리둘레 및 복부지방면적 감소에 미치는 효과 202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중년 여성들의 건강을 위협하는 주요 요인인 복부지방 축적에 의한 비만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복부 부위에 대한 기계적인 마사지처치가 체중, 체지방율, 허리둘레 및 복부지방량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WHR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복부 부위에 대한 기계적인 마사지처치가 체중, 체지방율, 허리둘레 및 복부지방량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한 결과는 어떠한가? 첫째, 복부 비만 중년 여성들을 대상으로 한 4주간의기계적 마사지 처치 전·후 체중(p= .003)과 체지방율(p= .018)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둘째, 복부 비만 중년 여성들을 대상으로 한 4주간의기계적 마사지 처치 전·후 허리둘레(p= .029)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셋째, 복부 비만 중년 여성들을 대상으로 한 4주간의기계적 마사지 처치 전·후 내장 지방 면적(p=.007), 복부 피하 지방 면적(p= .045) 및 복부총 지방 면적(p= .007)은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상과 같은 결론을 고려할 때 복부부위에 대한 기계적 마사지 처치는 복부 비만 중년 여성들의 복부지방감소에 도움을 주는 효율적인 방법이며, 나아가 복부지방으로 인해 야기되는 다양한 심혈관계 질환 및 대사성질환의 예방과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복부지방의 과다 축적은 무엇을 초래하는가? 이러한 복부지방의 과다 축적은 협심증이나 고지혈증등과 같은 심혈관계 질환과 고혈압, 당뇨병 등과 같은 대사성후군 발병의 가능성을 높여 건강을 저해하는 위험 요소로 작용[5,6]하게 될 뿐만 아니라, 특히 중년 여성에서의 복부비만은 외모에 대한 불만과 열등감을 일으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자아개념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왜곡된 신체상을 형성하며, 심한 경우 우울증으로 발전하여 전반적인 삶의 질을 떨어뜨리게 된다.
여성에 있어 중년기란 어떠한 시기인가? 여성에 있어 중년기는 폐경, 신체적 노화, 질병에의 이환, 부부애의 결여, 인간관계의 재정립 및 삶의 목표의 재수정 등을 경험하게 되며[1,2], 신체적으로는 전체적인신진대사의 감소, 허벅지에 있던 지방이 신진대사가 활발한 복부 쪽으로의 이동[3], 지방분해호르몬인 성장호르몬 및 에스트로겐 수치의 저하, 에스트로겐 수치의 저하로 인한 식용 상승 등[4]으로 복부지방 축적의 가능성이 증가하는 시기이다. 더욱이 이 시기에 경험하게 되는 다양한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문제들이 잘 해결되지 않는 경우 지속적으로 스트레스로 작용함으로써 교감신경계가 과도하게 자극되어 코티졸 수치가 높아지게 되며, 이로 인해 식욕이 증가하게 되고 나아가 복부지방 세포에코티졸 수용체가 증가하는 중년여성들의 특성상 복부지방 축적의 가능성을 더욱 증가시키게 된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C. Northrup. (2001). The wisdom of menopause. New York : Bantam 

  2. H. S. Shin. (2002). Subjectivity on stressful life events of middle-aged women. J Korean Acad Nurs, 32(3), 406-415 

  3. E. T. Poehlman & A. Tchemof. (1998). Effects of the menopause transition on body fatness and body fat distribution. Obese Res, 6(3), 246-254 

  4. R. Ganesan. (1995). Adversive and hypophagic effect of estradiol. Physiological behavior, 55(2), 279-285 

  5. K. M. Pou, J. M. Massaro, U. Hoffmann, K. Lieb, R. S. Vasan & C. J. O'Donnell. (2009). Patterns of abdominal fat distribution: The framingham heart study. Diebetes Care, 32(3), 481-485 

  6. V. J. Carey, E. E. Walters, D. A. Colditz, C. G. Solomon, W. C. Willett & R. A. Rosner. (1997). Body fat distribution and lisk of non-insulin-dependent diabetes mellitus in women. Am J Epidemiology, 145(7), 614-619 

  7. J. H. Epstein, J. N. Roemmich & H. A. Raynor. (2001). Behavioral therapy in the treatment of pediatric obesity. Pediatric Clinics of North America, 48(4), 981-983 

  8. K. R. Kim & H. S. Bang. (2011). The effect of abdominal massage on the body composition, cardiorespiratory functions, isokinetic articular muscle functions and serum lipids in obese women. Kor J Physical Education, 50(5), 419-432 

  9. J. S. Han, Y. O. Park & C. K. Zhoh. (2011). The effect of high frequency(INDIBA) treatment and meridian massage on the abdominal fat pattern of obese women. J Kor Soc Esthe & Cosm, 6(1), 1-8 

  10. G. S. Han, G. D. Kim & M. H. Kang. (2014). Effects of myofascial release massage therapy on the changes in blood lipids, blood pressure, and intra-abdominal fat in middle-aged obese women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Kor J Sports Science, 23(6), 1395-1406 

  11. H. J. Jung & M. H. Lim. (2013). Effect of myofascial massage and high frequency treatment on middle aged women's abdominal obesity. J Kor Soc Cosm, 19(4), 596-606 

  12. S. H. Han, B. S. Yang & H. J. Kim. (2003). Effectiveness of aromatherapy massage on abdominal obesity among middle aged women. J Korean Acad Nurs, 33(6), 839-846 

  13. C. J. Han & E. A. Jung. (2010). The effect of Chuna and Swedish massages on abdominal obesity in Korean middle-aged women. Kor J Esthe & Cosm, 8(2), 170-180 

  14. H. J. Kang & K. M. Han. (2018). Sports Science Laboratory Manual for Kinesiologists. Seoul : Hanmibook 

  15. O. R. Moon, N. S. Kim, S. M. Jang, T. H. Yoon, & S. O. Kim. (2002).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mass index and the prevalence of obesity-related diseases based on the 1995 National Health Interview Survey. Obesity Reviews. 3 , 191-196 

  16. B. Zhou, Y. Wu, J. Yang, Y. Li, H. Zhang & L. Zhao. (2002). Overweight is an independent risk factor of cardiovascular disease in Chinese population. Obesity Review. 3, 143-156 

  17. K. Kotani. (1994). Sex difference in age-related changes of fat distribution in the obese. Int'l J Obes, 18, 207-212 

  18. J. N. Fain, A. K. Madan, M. L. Hiler, P. Cheema. & S. W. Bahouth. (2004). Comparison of the release of adipokines by adipose tissue, adipose tissue matrix, and adipocytes from visceral and subcutaneous abdominal adipose tissues of the obese humans. Endocrinology, 145(5), 2273-2282 

  19. S. Nielsen, Z. Guo, C. M. Johnson,D. D. Hensrud, & M. D. Jensen. (2004). Splanchnic lipolysis in human obesity. The Journal of Clinical Investigation. 113(11), 1582-1588 

  20. C. J. Lee, D. O. Lee & S. Y. Park. (2004). Effects of 10 weeks sports massage on blood sugar, blood lipids and body composition in obese women. Journal of Korean physical education association for girls. 18(4), 13-25 

  21. E. Cafarelli & F. Flint. (1992). The role of massage in preparation for and recovery from exercise. Sports Med, 14(1), 1-9 

  22. P. M. Clarkson & D. J. Newham,. (1994). Associations between muscle soreness, damage, and fatigue. Advanced in Experimental Medicine and Biology. 384 , 457-469 

  23. C. Monteux, & M. Lafontan. (2008). Use of the microdialysis technique to assess lipolytic responsiveness of femoral adipose tissue after 12 sessions of mechanical massage technique. Journal of the European Academy of Dematology and Venereology, 22(12), 1465-1470 

  24. V. Bayracki Tunay, T. Akbayrak, Y. Bakar, H. Kayihan & N. Ergun. (2010). Effects of mechanical massage, manual lymphatic drainage and connective tissue manipulation techniques on fat mass in women with cellulite. Journal of the European Academy of Dematology and Venereology, 24(2), 138-142 

  25. D. H. Park. (2013). Effects of mechanical massage and jazz dance exercise on abdominal fat reduction in obese women. J Korean Soc Living Environ Sys, 20(2), 184-195 

  26. A. Mourier, J. F. Gautier & E. De Keryiler. (1997). Mobilization of visceral adipose tissue related to the improvement in insulin sensitivity in response to physical training in NIDDM. Diabetes Care Supplements, 20 , 385-391 

  27. S. S. Lee & S. H. Kang. (2007). Effect of aerobic exercise visceral fat and cardiac function in abdominal obesity middle-age women. J Sports and Leisure Studies, 30, 651-662 

  28. S. K. Choi. (2005). The effects of swimming program on visceral fat. The Korean Journal of Sports Science, 14(1), 477-48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