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여성장애인의 결혼안정성 영향 요인 연구
Factors Contributing to Marital Stability of Disabled Women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10 no.3, 2020년, pp.208 - 216  

양정빈 (남서울대학교 노인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여성장애인의 결혼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개인 관련 요인, 경제 관련 요인, 건강 관련 요인, 그리고 부부 관련 요인으로 나누어 분석해 보았다. 연구 대상은 조사시점 결혼생활을 유지하고 있는 여성장애인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총 124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결혼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살펴본 결과, 연령이 높을수록, 기초생활수급자가 아닐수록, 자가에 거주할수록, 그리고 건강하고 우울감이 덜한 여성장애인일수록 결혼안정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부관련 요인에서 부부친밀감과 결혼만족도가 높고, 부부 갈등과 배우자 음주가 적을수록 결혼안정성이 긍정적으로 예측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여성장애인의 결혼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과 정책적 개입 방안들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s major contributing factors that determine the marital stability among the disabled women in South Korea. Data collected from 124 women with disabilities were analyzed for this purpo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explore the determinants of the marital instabilit...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결혼한 여성장애인을 대상으로 이들의 결혼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여성장애인의 결혼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들을 살펴봄으로써 관련 서비스와 정책을 개선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 여성장애인의 결혼안정성을 규명한 실증적 연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장애인 가구의 결혼생활과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실질적인 개선 방안을 논의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 이러한 선행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본 연구에서도 여성장애인의 결혼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개인 관련 요인, 경제 관련 요인, 건강 관련 요인, 그리고 부부관련 요인으로 구분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 그런 후에 안정적인 결혼생활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현실적인 방안들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결혼한 여성장애인들의 결혼안정성에 미치는 다차원적인 변인들을 밝혀내고 향후 필요한 정책적 방안들은 무엇인지 규명하고자 한다.
  • 또한 가구소득과 주거 만족도가 높을수록 결혼안정성이 높다는 결과물이 존재하며[3], 집 등의 가족 자산이 있는 경우 자산을 해체시키지 않으려는 노력으로 결혼안정성이 높아진다고 하였다[13].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경제 관련 요인으로 기초생활수급 여부와 주택의 자가 소유 여부를 채택하여 선행연구 결과와 비교해 보고자 한다.
  • 결혼안정성은 이혼, 결혼해체, 붕괴 등의 개념과 연관성은 있으나 구분되는 것으로 이혼을 예측하는 주요 결정 요인으로 제시되고 있다[8].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여성장애인의 결혼안정성에 주목하고 기존의 선행연구들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결혼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여성의 연령, 경제적 상태, 심리적 특성, 결혼생활의 질, 부부관계 요인, 의사소통과 관련된 특성 등으로 나타나고 있었다[9,1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여성장애인의 결혼과 삶의 문제는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사회적 관심을 충분히 받지 못한 이유는 무엇인가? 그동안 여성장애인의 결혼과 삶의 문제는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사회적 관심을 충분히 받지 못했다. 이는 오랜 역사 속에서 장애와 여성을 분리해 왔으며, 여성장애인을 삶의 주체로 인식하기보다는 돌봄의 대상으로만 간주해왔기 때문이다. 학계에서도 여성장애인과 관련된 이슈는 주로 건강, 의료, 소득, 고용을 중심으로 논의해 왔으며, 결혼이나 가정 내의 영역은 상대적으로 관심의 정도가 낮았다[3].
결혼 이후 여성장애인의 삶에서 대표적인 문제점은 무엇인가? 결혼 이후 여성장애인의 삶은 순탄치 않은데 가정폭력은 대표적인 문제로 비교적 심각하게 논의되어 왔다 [2]. 이미 선행연구를 통해 여성장애인은 비장애여성에 비해 가정 내 폭력에 노출될 위험이 크다는 점이 밝혀졌고[4], 결혼생활의 어려움으로 이혼(9.
결혼안정성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결혼안정성은 결혼생활의 지속 여부와 관련된 개념으로 결혼에 관한 주관적인 평가로 여겨지는 결혼만족, 결혼행복과는 다른 의미를 지닌다. 즉, 본인의 결혼생활에 관한 책임감의 강도를 측정하여 현재 지속되는 결혼생활을 유지 시키려는 성향을 의미한다. 결혼안정성은 이혼, 결혼해체, 붕괴 등의 개념과 연관성은 있으나 구분되는 것으로 이혼을 예측하는 주요 결정 요인으로 제시되고 있다[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J. B. Yang. (2017). Determinants on the reemployment of disabled women. The Korea Contents Society, 17(2), 230-238. DOI : 10.5392/JKCA.2017.17.02.230 

  2. M. S. Park. (2013). The study of marital life of women with disability focusing on marital instability. Journal of Disability & Welfare, 20, 25-42. 

  3. H. K. Oh. (2011). The Determinants of the marital satisfaction for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Journal of Disability & Welfare, 14, 51-68. 

  4. C. M. Yoo & H. I. Oh. (2016). A qualitative case study on meaning of marriage process and married-life experiences of wom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Journal of Disability & Welfare, 34, 5-34, 

  5. A. Craft. (1983). Sex education and counselling for mentally handicapped people. University Park Press. 

  6.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7). 2017 Statistics of Disability. 

  7. J. B. Yang & M. J. Park. (2015). A life history study on understanding the experience of divorce in physically disabled women. The Women's Studies, 89(2), 181-218. 

  8. J. H. Kim. (2014).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contributing to marital stability of adult males with spinal cord injuries. Doctoral dissertation. Daegu University, Daegu. 

  9. Y. P. Jung. (2011).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marital instability among elderly. Doctoral dissertation. Kangnam University, Yongin. 

  10. H. J. Suh. (2008). A study on the marital quality and marital stability among female marriage immigrant. Doctoral dissertation. Kyong-gi University, Suwon. 

  11. B. H. Kim. (2013). The impact of married couples' self-differentiation on the family differentiation, marital satisfaction and marital stability. Doctoral dissertation. Baekseok University, Cheonan. 

  12. D. Sobsey. (2004). Marital stability and marital satisfaction in familie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chicken or egg?. Developmental Disabilities Bulletin, 32(1), 62-83. 

  13. S. J. South & G. Spitze. (1986). Determinants of divorce over the marital life course.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51(4), 583-590. DOI : 10.2307/2095590 

  14. B. Gabriel, S. R. Beach & G. Bodenmann. (2010). Depression, marital satisfaction and communication in couples: investigating gender differences. Behavior Therapy, 41, 306-316. DOI : 10.1016/j.beth.2009.09.001 

  15. S. M. Lee & G. Y. Jeon. (2005). The effect of couple's interaction pattern of the conflict-coping method as perceived by the husband and wife on the marital satisfaction in the early stage of marital life. Family & Environment Research, 43(7), 93-107. 

  16. C. A. Jun & S. Y. Park. (1993). Research: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satisfaction and marital stability. Family & Environment Research, 31(2), 81-96. 

  17. M. S. Yoon, H. M. Choi & N. H. Kim. (2013). The effects of husband's drinking on life satisfaction of married immigrant women: focusing on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domestic violence. Korean Journal of Family Social Work, 42 , 83-111. 

  18. A. Booth, D. R. Johnson & J. N. Edward. (1983). Measuring marital instability.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45(2), 387-394. DOI : 10.2307/351516 

  19. E. H. Jung. (2004). The study of martial stability through family-of-origin differentiation, self-esteem, and conflict-coping behaviors of couples. Master degree dissertation. Sungsin Women's University, Seoul. 

  20. M. P. Lawton, M. Moss, M. Fulcomer & M. H. Kleban. (1982). A research and service oriented multilevel assessment instrument. Journal of Gerontology, 37(1), 91-99. DOI : 10.1093/geronj/37.1.91 

  21. L. S. Radloff. (1977).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1(3), 385-401. 

  22. F. J. Kohout, L. F. Berkman, D. A. Evans & J. Cornoni-Huntley. (1993). Two shorter forms of the CES-D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 Depression) depression symptoms index. Journal of Aging Health, 5(2), 179-193. DOI : 10.1177/089826439300500202 

  23. K. K. Chon & M. K. Rhee. (1992). Preliminary development of Korean version of CES-D.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1(1), 65-76. 

  24.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7). Korea welfare panel study (KOWEPS): descriptive report. 

  25. K. H. Lee. (1998). Marriage types classified by wives' perception of marital conflict and intimacy.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6. M. A. Straus. (1979). Measuring intrafamily conflict and violence: the conflict tactics scale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41(1), 75-88. DOI : 10.2307/351733 

  27. H. J. Kang. (2009). The variables related to maintenance of violent dating relationships. Master degree dissertation. Catholic University, Seoul. 

  28. R. Norton. (1983). Measuring marital quality: a critical look at the dependent variable. Journal of Marriage & the Family, 45(1), 145-151. DOI : 10.2307/351302 

  29. G. S. Kim. (2017). The effect of marital conflict & marital conflict coping style on marital stability in middle-aged women. Master degree dissertation. Keimyung University, Daegu. 

  30. J. Y. Park & D. H. Kim. (2018). Analysis on life condition and needs for welfare service of women with disabilities in adult in Gyeongbuk. The Korea Contents Society, 18(7), 229-244. DOI : 10.5392/JKCA.2018.18.07.22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