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이어도와 주변 해역의 표층퇴적물 분포와 퇴적물 기원지
Distribution Patterns and Provenance of Surficial Sediments from Ieodo and Adjacent Sea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41 no.6, 2020년, pp.588 - 598  

장태수 (전남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  정종옥 (경상대학교 공동실험실습관) ,  이은일 (국립해양조사원 해양과학조사연구실) ,  변도성 (국립해양조사원 해양과학조사연구실) ,  이화영 (국립해양조사원 해양과학조사연구실) ,  손창수 (전남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해양환경과 기상연구 거점으로서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수중에 잠긴 화산섬, 이어도의 퇴적물과 해양지질학적 연구는 부족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이어도 해저에 분포하는 퇴적물의 종류와 분포양상, 그리고 그 퇴적물의 기원지를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어도와 그 주변에서 박스코어러를 사용하여 25점의 표층퇴적물을 획득하였으며, 퇴적물 입도분석XRD 점토광물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어도의 정봉은 북부에 존재하며, 남부는 파식대지가 나타난다. 따라서 화산체의 남부는 파랑에 의한 침식작용으로 사라지고, 북부에 일부만 살아남은 것으로 해석된다. 입도분석결과, 패각과 산호편을 포함하는 자갈과 모래 퇴적물은 이어도 화산체와 파식대지에 주로 분포하며, 니질 퇴적물은 이어도 주변해역의 깊은 곳에 나타난다. 점토광물은 일라이트가 대부분을 차지하며, 녹니석과 카올리나이트 순으로 풍부하다. 삼각도표에 도시한 결과, 세립질 퇴적물은 모두 양쯔강(장강) 기원 영역에 도시되었다. 결과적으로 조립질의 자갈과 모래 퇴적물은 이어도 화산체의 풍화침식의 산물과 서식 생물의 골격, 껍질로서 운반과 퇴적과정에서 파랑이 주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해석되며, 반면에 세립질 퇴적물은 여름철 장강으로부터 이어도 해역으로 유입된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이, 이어도의 퇴적작용은 여름철 장강 유입수와 태풍의 영향이 큰 것으로 해석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eafloor geology of Ieodo, a submerged volcanic island, has been poorly understood, although this place has gained considerable attention for ocean and climate studies. The main purpose of the study is to understand and elucidate types, distribution patterns and provenance of the surficial sedim...

Keyword

참고문헌 (27)

  1. Biscaye, P.E., 1965, Mineralogy and sedimentation of clay minerals in recent deep-sea clay in the Atlantic Ocean and adjacent seas and oceans.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Bulletin, 76, 803-832. 

  2. Byun, D.-S., Kim, Y.W., Lee, J.Y., Lee, E.I., Park, K.-A., and Woo, H.-J., 2018, Converting Ieodo Ocean Research Station wind speed observations to reference height data for real-time operational us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23(4), 153-178. 

  3. Carver, R.E., 1971, Procedures in Sedimentary Petrology. Wiley-Interscience, New York, 652 p. 

  4. Cheong, D. and Shim, J.S., 2001, Origin and evolution of the Ear-do(Scotra Rock).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37, 537-548. 

  5. Cho, H.G., Kim, S.-O., and Yi, H.-I., 2012, Clay mineral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in the southeastern Yellow Sea mud deposits. Journal of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25, 163-173. 

  6. Cho, H.G., Kim, S.-O., Kwak, K.Y., Choi, H.S., and Kim, B.-K., 2015, Clay mineral distribution and provenance in the Heuksan mud belt, Yellow Sea. Geo-Marine Letters, 35, 411-419. 

  7. Choi, J.Y., Koo, H.J., and Cho, H.G., 2018, Provenance study of 99MAP-P63 core sediments in the East China Sea. Journal of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31, 257-266. 

  8. Choi, J.Y., Lim, D.I., Park, C.H., Kim S.Y., Kang. S.R., and Jung, J.S., 2010, Characteristics of clay mineral compositions in river sediments around the Yellow Sea and its application to the provenance of the continental shelf mud deposit.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46, 497-509. 

  9. Choi, S.Y., Kim, C.H., Kim, H.R., Park, C.H., Kim, W.H., Lee, M.H., and Park, H.Y., 2017, Study on submarine geomorphology and magnetic properties of Tamra seabed crater in Jeju. In. Abstract Joint meeting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cean Science and Technology Societies (KAOSTS), April 19-20, BEXCO, Busan, p. 218. 

  10. Dou, Y., Yang, S., Lim, D.-I., and Jung, H.-S., 2015, Provenance discrimination of last deglacial and Holocene sediments in the southwest of Cheju Island, East China Sea. Palaeogeography, Palaeoclimatology, Palaeoecology, 422, 25-35. 

  11. Flemming, B.W., 2005. Tidal environments. In: Schwartz, M. (Ed.), Encyclopedia of Coastal Science. Springer, Berlin, 1180-1185. 

  12. Folk, R.L., 1968, Petrology of Sedimentary Rocks. Hemphill's, Austin, Texas, 170 p. 

  13. Ha, K.-J., Nam, S.H., Jeong, J.-Y., Moon, I.-J., Lee, M.H., Jun, J.H., Jang, C.J., Kim, Y.S., Byun, D.-S., Heo, K.-Y., and Shim, J.-S., 2019, Observations utilizing Korea Ocean Research Stations and their applications for process studies. Bulletin of the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100, 2061-2075 doi.org/ 10.1175/ BAMS-D-18-0305.1 

  14. He, M., Zheng, H., Huang, X., Jia, J., and Li, L., 2013, Yangtze river sediments from source to sink traced with clay mineralogy. Journal of Asian Earth Sciences, 69, 60-69. 

  15. KHOA, 2014, Seabed crater near Geumdeokicho, Jeju Island.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Report No. 11-1192136-000098-01. 

  16. Lim, D., Xu, Z., Choi, J., Li, T., and Kim, S., 2015, Holocene changes in detrital sediment supply to the eastern part of the central Yellow Sea and their forcing mechanism. Journal of Asian Earth Sciences, 105, 18-31. 

  17. Lim, D.-I., Choi, J.Y., Jung, H.-S., Rho, K.C., and Ahn, K.S., 2007, Recent sediment accumulation and origin of shelf mud deposits in the Yellow Sea and East China Seas. Progress in Oceanography, 73, 145-159. 

  18. Moon, D.H., Cho, H.G., and Yi, H.-I., 2010a, A comparative study on absolute and relative clay mineral composition of the surface sediments around the Jeju Island. Journal of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23, 15-23. 

  19. Moon, D.H., Yi, H.-I., Shin, K.-H., Do, J. Y., and Cho, H.G., 2009, Mineral distribution of the southeastern Yellow Sea and South Sea of Korea using quantitative XRD analysis. Journal of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22, 49-61. 

  20. Moon, I.-J., Shim, J.S., Lee, D.Y., Lee, J.H., Min, I.-K., and Lim, K.C., 2010b, Typhoon researches using the Ieodo Ocean Research Station: Part I. Importance and present status of typhoon observation. Korean Meteorological Society, Atmosphere, 20, 247-260. 

  21. Oh, K.H., Park, Y.-G., Lim, D.-I., Jung, H.S., and Shim, J.S., 2006, Characteristics of temperature and salinity observed at the Ieodo Ocean Research Station. Journal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al Engineering, 9, 225-234. 

  22. Park, Y.A. and Khim, B.K., 1992, Origin and dispersal of recent clay minerals in the Yellow Sea. Marine Geology, 104, 205-213. 

  23. Song, S.D., 2010, Geographical study on the boundary dispute of Ieodo sea between Korea and China.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45, 414-429. 

  24. Woo, H.-J., Park, K.-A., Byun, D.-S., Lee, J., and Lee, E., 2018, Characteristics of the differences between significant wave height at Ieodo Ocean Research Station and satellite altimeter-measured data over a decade (2004-2016).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23, 1-19. 

  25. Yang. S., Jung, H.S., Lim, D.I., and Li, C.X., 2003, A review on the provenance discrimination of sediments in the Yellow Sea. Earth-Science Reviews, 63, 93-120. 

  26. Youn, J.S. and Kim, T.J., 2008, Geochemical composition and provenance of surface sediments in the western part of Jeju Island, Korea.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9, 328-340. 

  27. Youn, J.-S., 1986, The geology of the submarine Socotra Rock and sedimentologic nature of the bottom sediments surrounding the Socotra Rock, Ko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22, 123-13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