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액화가스운반선 주요치수에 대한 기준 개정 필요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Necessity to Revise the Standards for the Main Dimensions of Liquefied Gas Carriers 원문보기

海洋環境安全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26 no.7, 2020년, pp.810 - 819  

윤귀호 (한국해양대학교 선박운항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환경 문제를 포함하여 여러 이유로 액화가스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선박을 통한 액화가스의 운송이 증대하고 있고, 이를 수용할 터미널 건설도 다수 이루어지고 있다. 터미널을 건설하는데 있어 그 규모의 결정은 대상선박이 명확히 결정되어 있을 경우 그에 따른다. 그렇지 않다면 터미널이 수용하고자 하는 선박 규모를 결정하고, 관련한 규정이나 기준에 제시되어 있는 선박 치수를 활용한다. 이와 관련하여 최근 액화가스터미널 건설을 위해 항만 건설시 설계기준으로 가장 많이 적용하는 항만 및 어항 설계기준 및 해설(2017)을 활용하여 대상선박의 규모를 파악하는 과정에서 대형화된 선박의 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않고, 제시되어 있는 선박의 주요치수가 실질적으로 운항하고 있는 선박과 상당히 상이하다는 점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터미널을 건설하는데 있어 대상선박 및 터미널의 규모 결정, 터미널의 안전성 평가 등에 있어 이해 당사자 간의 많은 이견이 있을 수 있기에 현행 액화가스운반선의 주요치수에 대한 기준을 현재 운항하고 있는 선박들의 현황 분석을 통하여 개정안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개정안은 향후 선박 및 터미널 규모 결정에 보다 적절하고 현실적인 기준으로 활용되고, 불필요한 터미널 건설비용 증가를 막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the demand for liquefied gas has been increasing for various reasons, including environmental problems, and as a result, transportation of liquefied gas through a ship is increasing, and several terminals are also being constructed to accommodate it. The size of the terminal to be constru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LPG 운반선의 경우도 전 세계적으로 현재 운항하고 있거나 건조 계획을 갖고 있는 LPG 운반선들의 현황을 파악하여 LPG 운반선들의 주요치수를 도출하고자 한다.
  • 선형변화 및 대형화도 이루어지고 있다. 논문에서는 국내외에 운항하고 있는 액화가스운반선의 현황 및 규정 개정의 필요성을 파악한 후 액화가스운반선의 주요치수를 도출하였다.
  • 여기에서는 전 세계적으로 현재 운항하고 있거나 건조 계획을 갖고 있는 LNG 운반선들의 현황을 파악하여 LNG 운반선들의 주요치수를 도출하고자 한다.
  • 이에 항설에 명시되어 있는 대상선박이 주요치수에 대한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우리나라 및 일본의 규정이 대상 선박의 주요치수를 도출하는데 사용한 회귀분석법을 검토하였다. 그동안 관련 규정이 상당시간 활용되어 왔다는 측면에서 그 신뢰성은 검증이 된 것으로 판단되어 주요치수를 도출하기 위한 분석법은 기존의 방식을 그대로 적용을 하되, 현재 운항하고 있는 액화가스운반선들의 현황을 반영하여 다음과 같이 개선점이 반영된 액화가스운반선의 주요치수 개정안을 제안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Cheong H. Y. and H. J. Park(2018), Forecasting the Daily Demand of Natural Gas for Power Generation. Bulletin Korea Photovoltatic Soc., 4(2), pp. 45-53. 

  2. Choi, D. K.(2019), A Study on the Activating Ways and Current Statues of LPG for Domestic Transport, Graduate University of Korea University, pp. 1-2. 

  3. IEA(2017), World Energy Outlook 2017, Paris: IEA Publications. 

  4. Jin, K. K., B. T. Oh, Y. K. Kim, I. S. Yoon, and Y. C. Yang(2013), An Assessment of Structure Safety for Basic Insulation Panel of KC-1 LNG Cargo Containment system under Sloshing Load,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s Vol. 17, No. 2, p. 86. 

  5. Kim, J. H. and Y. K. Kim(2015),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the Effects of Overseas' Oil and Gas Development by Domestic Industrial Groups, Korea Economic and Business Association, Vol. 33, No. 2, pp. 61-62. 

  6. Kim, T. Y.(2014), Changes and Prospects of Petroleum Gas in the World Market, The Korea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Conference, pp. 9-23. 

  7. Lee, D. G., S. K. Lee, Y. J. Lee, and H. S. Kim(2016), An Analysis of the Liquefied Petroleum Gas Usage and Risk Factor in the Camp Sit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s, Vol. 20, No. 6, pp. 89-90. 

  8. Lee, S. L., J. W. Lee, and G. W. Kim(2019), Forecasting the Medium Term Demand of LNG for Power Generation under the Energy Transition Policy in South Korea, Journal of Climate Change Research, Vol. 10, No.1, pp. 47-48. 

  9. Park, Y. S.(2019),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LNG Ship Localization and Countermeasure, KDB monthly survey report, No. 768, p. 82. 

  10. Takahashi, H., A. Goto and M. Abe(2006), Study on Standards for Main Dimentions of the Design Ship, Technical Note of National Institute for Land and Infrastructure Management, No. 309. 

  11. Technical Standards and Commentaries for Port and Harbour Facilities in Japan(2007),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Transport and Tourism (MLIT), Japan. 

  12. The Port and Fishing Port Design Standards and Commentary (2017),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13. www.hani.co.kr(2020), Three Shipbuilders Won Orders for Qatar LNG Carriers 'More than 100 Ships' Worth up to 23 Trillion Won, 202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