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노인을 대상으로 한 ICT 기반 융합연구에 대한 국외의 무작위 대조군 실험연구를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ICT 기반 중재의 종류와 효과에 대해 파악하고자 한다. 3개의 데이터베이스와 수기검색으로 확인한 326편 중 선정 기준에 부합하는 8편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결과 가장 많이 사용된 ICT는 인터넷으로 총 3편이었으며, 다음으로 태블릿과 휴대폰이 2편이었고, 그 외에 양방향 화상회의 1편, 키넥트 1편, 로봇 1편, 혈당 관리 시스템 1편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국내의 ICT 기반 융합연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추후 수준 높은 효과 검증을 위해 무작위 대조군 실험 연구와 같은 질적 수준이 높은 연구가 더 많이 진행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노인을 대상으로 한 ICT 기반 융합연구에 대한 국외의 무작위 대조군 실험연구를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ICT 기반 중재의 종류와 효과에 대해 파악하고자 한다. 3개의 데이터베이스와 수기검색으로 확인한 326편 중 선정 기준에 부합하는 8편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결과 가장 많이 사용된 ICT는 인터넷으로 총 3편이었으며, 다음으로 태블릿과 휴대폰이 2편이었고, 그 외에 양방향 화상회의 1편, 키넥트 1편, 로봇 1편, 혈당 관리 시스템 1편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국내의 ICT 기반 융합연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추후 수준 높은 효과 검증을 위해 무작위 대조군 실험 연구와 같은 질적 수준이 높은 연구가 더 많이 진행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abroad studies on ICT-based convergence studies in the elderly, and to investigate the types and effects of ICT-based interventions. Eight studies that meet the selection criteria were selected from 326 studies identified by three databases a...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abroad studies on ICT-based convergence studies in the elderly, and to investigate the types and effects of ICT-based interventions. Eight studies that meet the selection criteria were selected from 326 studies identified by three databases and hand-searching.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most commonly used ICT were the three internet, followed by two tablets and mobile phones, one twoway videoconferencing, one Kinect, one robot, and one Blood Glucose Monitoring System. These results could be used for ICT-based convergence studies in Korea, and further studies should be conducted with higher quality studies such as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abroad studies on ICT-based convergence studies in the elderly, and to investigate the types and effects of ICT-based interventions. Eight studies that meet the selection criteria were selected from 326 studies identified by three databases and hand-searching.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most commonly used ICT were the three internet, followed by two tablets and mobile phones, one twoway videoconferencing, one Kinect, one robot, and one Blood Glucose Monitoring System. These results could be used for ICT-based convergence studies in Korea, and further studies should be conducted with higher quality studies such as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따라서 본 연구는 노인을 대상으로 한 ICT 기반 중재에 대한 국외 학술지에 게재된 연구 중 근거의 수준을 높이기 위해 질적 수준이 높은 무작위 대조군 연구를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ICT 기반 중재의 종류와 효과에 대해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국외 학술지에 게재된 노인을 대상으로 한 ICT 기반 중재의 효과를 검증한 무작위 대조군 실험연구들을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guideline(PRISMA guideline)[27]을 이용하여 분석한 체계적 문헌고찰이다.
Grabowski와 O’Malley(2014)는 1개월 동안 양방향 화상회의를 이용하여 중재하였다. 연구는 클러스터 무작위 대조군 연구로 각 요양원의 입원을 주요 결과로 하였다. 중재 결과 입원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에서는 노인을 대상으로 한 ICT 기반 중재에 대해 알아보고자 체계적 고찰을 실시하였다. 선정된 문헌의 질적 수준 분석은 PEDro scale을 사용하여 실시되었고, 선정된 문헌들의 PEDro scale 점수가 모두 6점 이상으로 높은 수준의 무작위 대조군 연구임을 알 수 있다[38].
본 연구는 노인을 대상으로 한 ICT 기반 중재에 대한 국외의 무작위 대조군 실험연구의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체계적 고찰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 국외에서는 이미 ICT를 활용하여 다양한 중재를 적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제안 방법
검색어는 (ICT or “information technolog*” or “communication technolog*”) AND (older or “older adult*” or elderly or senior*) AND (intervention or treatment or therapy or program or strategy)를 사용하였다.
문헌 수집과 선별은 저자 2명이 개별적으로 검토 후 진행하였다. 검토 방법은 데이터베이스에서 수집된 문헌에 대해 1차적으로 제목과 초록을 검토하여 선별한 후, 2차적으로 원문 검토를 통해 선정기준에 만족하는 문헌 8편을 최종적으로 선별하였다.
문헌 수집과 선별은 저자 2명이 개별적으로 검토 후 진행하였다. 검토 방법은 데이터베이스에서 수집된 문헌에 대해 1차적으로 제목과 초록을 검토하여 선별한 후, 2차적으로 원문 검토를 통해 선정기준에 만족하는 문헌 8편을 최종적으로 선별하였다. 검토된 문헌에 대해 저자간의 의견이 불일치하는 경우, 문헌 재검토 및 논의를 통해 의견의 일치를 보았다.
신뢰도를 높이고자 본 연구에 선정된 문헌의 질적 수준 분석을 실시하였다. 선정된 논문 8편 모두 무작위 대조군 실험연구로 Table 1과 같이 Physiotherapy Evidence Database(PEDro) scale[28]을 사용하여 질적 수준 분석을 실시하였다.
신뢰도를 높이고자 본 연구에 선정된 문헌의 질적 수준 분석을 실시하였다. 선정된 논문 8편 모두 무작위 대조군 실험연구로 Table 1과 같이 Physiotherapy Evidence Database(PEDro) scale[28]을 사용하여 질적 수준 분석을 실시하였다. PEDro scale은 총 10개의 내부 타당도 항목으로 구성되어 문헌의 질적 분석을 할 수 있는 도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PICO(Patient, Intervention, Comparison, Outcome) 형식을 참고하여 저자/연도, 국가, 대상자 연령, 대상자 분류, 중재 프로그램 명칭/사용된 기술, 중재 기간 및 횟수, 종속변인, 결과 순으로 나열하였다. (Table 2 참고)
최종 선정된 8편의 논문을 ICT 기반 중재에 사용된 기술에 따라 분류하였다. 하나의 기술이 단독으로 사용된 논문은 5편이었고, 두 가지의 기술이 복합적으로 사용된 논문은 3편이었다.
최종 선정된 8편의 논문을 ICT 기반 중재 종류에 따라 분류하였다. 중재 종류의 분류는 WHO에서 정의한 건강 영역의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건강 영역을 기반으로 하여, 신체 기능, 인지 기능, 자기 관리, 의료 서비스 영역으로 분류하였다.
최종 선정된 8편의 논문을 ICT 기반 중재 종류에 따라 분류하였다. 중재 종류의 분류는 WHO에서 정의한 건강 영역의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건강 영역을 기반으로 하여, 신체 기능, 인지 기능, 자기 관리, 의료 서비스 영역으로 분류하였다. 신체 기능 영역은 Gschwind 등 [29]의 iStoppFalls Program과 Dekker-van Weering 등[30]의 Home exercise Program 2편(25.
최종 선정된 8편의 논문을 ICT 기반 중재 제공자에 따라 분류하였다. 대상자 개인이 스스로 활용할 수 있게 구성된 프로그램을 제공한 논문이 4편(50%)이었고 보건 의료 종사자가 중재를 제공한 논문은 3편(37.
Blood Glucose Monitoring System을 이용하여 혈당 수치를 측정하고 결과를 SMS을 통해 전송받았다.
iStoppFalls Program은 65세 이상의 지역사회 거주 노인들을 대상으로 한다. 키넥트를 이용하여 한 주에 약 40분간의 균형 세션 최소 3회, 약 15분에서 20분간의 근력 세션 최소 3회를 수행한다. 대상자는 태블릿의 iStoppFalls Program을 통해 개별 교육과 평가 알림 정보를 받으면서, 지속적으로 추락 위험과 결과를 관리할 수 있다.
대상 데이터
가장 많이 사용된 기술은 인터넷으로 총 3편이었다. 다음으로 태블릿과 휴대폰이 2편이었고, 그 외에 양방향 화상회의 1편, 키넥트 1편, 로봇 1편, 혈당 관리 시스템 1편이었다.
본 연구의 검색기간은 2009년 6월부터 2019년 6월까지, 10년간 국외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논문을 포함하였다. 국외 데이터베이스는 Pubmed, CINAHL (EBSCOhost), PSYCINFO를 이용하여 문헌을 검색하였다.
본 연구의 검색기간은 2009년 6월부터 2019년 6월까지, 10년간 국외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논문을 포함하였다. 국외 데이터베이스는 Pubmed, CINAHL (EBSCOhost), PSYCINFO를 이용하여 문헌을 검색하였다. 검색어는 (ICT or “information technolog*” or “communication technolog*”) AND (older or “older adult*” or elderly or senior*) AND (intervention or treatment or therapy or program or strategy)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체계적 고찰을 위한 논문을 국외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한 결과, 329개의 논문 중 중복된 논문 7개를 제외하여 총 322개의 논문이 검색되었다. 검색된 322개의 논문에서 1차적으로 제목과 초록을 통해 선정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 160개의 논문을 제거하였다.
본 연구에서 체계적 고찰을 위한 논문을 국외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한 결과, 329개의 논문 중 중복된 논문 7개를 제외하여 총 322개의 논문이 검색되었다. 검색된 322개의 논문에서 1차적으로 제목과 초록을 통해 선정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 160개의 논문을 제거하였다. 1차적 검토를 통해 선별된 162개는 2차적으로 원문검토를 통해 재선별하였다.
검색된 322개의 논문에서 1차적으로 제목과 초록을 통해 선정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 160개의 논문을 제거하였다. 1차적 검토를 통해 선별된 162개는 2차적으로 원문검토를 통해 재선별하였다. 전문 열람이 가능하지 않은 논문(n=4), 노인을 대상으로 하지 않은 논문(n=34), ICT 기반 중재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는 아닌 논문(n=76), 무작위 대조군 실험연구가 아닌 논문(n=44), 총 158개를 제외하였다.
전문 열람이 가능하지 않은 논문(n=4), 노인을 대상으로 하지 않은 논문(n=34), ICT 기반 중재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는 아닌 논문(n=76), 무작위 대조군 실험연구가 아닌 논문(n=44), 총 158개를 제외하였다. 이후 수기 검색을 통해 4개를 더 포함하여 최종적으로 8개의 문헌이 최종 선정되었다. (Fig.
인터넷을 사용한 논문은 총 3편으로 그 중 2편은 중재 기간이 3개월, 나머지 1편은 6개월 동안 진행되었다. 3편 모두 인터넷을 사용하여 중재를 실시하였다. Cook, Hersch, Schlossberg와 Leaf(2015)는 인터넷의 웹사이트를 개설하여 대상자에게 건강에 관한 도움을 줄 수 있는 조언을 주었다.
Jøranson, Pedersen, Rokstad와 Ihlebaek(2015)은 12주 동안 로봇을 이용하여 중재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치매이거나 인지 장애가 있는 노인이었다. 연구대상자 는 로봇 바다표범 Paro와 놀거나 쓰다듬기, 이야기하기, 미소 짓기와 노래하기 등의 활동을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치매이거나 인지 장애가 있는 노인이었다. 연구대상자 는 로봇 바다표범 Paro와 놀거나 쓰다듬기, 이야기하기, 미소 짓기와 노래하기 등의 활동을 하였다. 중재 결과 Brief Agitation Rating Scale(BARS) 점수와 Cornell Scale for Symptoms of Depression in Dementia(CSDD) 점수에서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인터넷을 이용한 중재는 3편으로 각 연구의 중재 이름은 HealthyPast50 Program, ICT-Supported Home Exercise Program, Technology and Aging Project(TAP)였다. HealthyPast50 Program은 건강증진을 위한 주요 정보와 지침을 포함하는 웹 기반 멀티미디어 프로그램이고, 대상자는 50세부터 68세의 노인 노동자이다.
태블릿을 이용한 중재는 2편이었으며, 두 연구 모두 다른 ICT를 함께 사용하였다. iStoppFalls Program은 65세 이상의 지역사회 거주 노인들을 대상으로 한다.
양방향 화상회의를 이용한 Telemedicine Service는 양로원에 거주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한다. 양로원에 양방향 화상회의 장비를 설치하고 의사 및 간호사가 의료 지원을 담당하였다.
양로원에 양방향 화상회의 장비를 설치하고 의사 및 간호사가 의료 지원을 담당하였다. 로봇을 이용한 Participating in Robot-Assisted Activity는 62세부터 95세의 치매 및 인지 장애가 있는 노인을 대상으로 한다. 바다표범 모양의 Paro 로봇과 함께 활동하는 것을 주로 한다.
데이터처리
본 연구에서 최종적으로 선정된 8편의 논문에 대한 질적 수준 분석은 PEDro scale을 사용하여 실시되었다. 분석 결과 가장 높은 점수인 9점을 받은 논문 1편, 7점을 받은 논문 2편, 6점을 받은 논문 5편이었다.
성능/효과
각각의 내부 타당도 항목에 해당하는 경우 “예”, 해당하지 않는 경우나 불확실한 경우 “아니오”로 적용하여 10점 척도로 나타낸다. 본 연구의 저자들은 독립적으로 질적 수준 분석을 실시한 후, 의견이 불일치한 경우에는 저자간의 충분한 논의를 통해 합의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최종적으로 선정된 8편의 논문에 대한 질적 수준 분석은 PEDro scale을 사용하여 실시되었다. 분석 결과 가장 높은 점수인 9점을 받은 논문 1편, 7점을 받은 논문 2편, 6점을 받은 논문 5편이었다. 각 문항에 대한 문헌의 질적 수준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Cook, Hersch, Schlossberg와 Leaf(2015)는 인터넷의 웹사이트를 개설하여 대상자에게 건강에 관한 도움을 줄 수 있는 조언을 주었다. 중재를 실시한 후, 자기 효능감, 건강한 식사 그리고 가벼운 운동에서 유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Dekker-van Weering, Jansen-Kosterink, Frazer, & Vollenbroek-Hutten(2017)은 집에서 할 수 있는 운동을 인터넷을 통해 교육하였다.
Dekker-van Weering, Jansen-Kosterink, Frazer, & Vollenbroek-Hutten(2017)은 집에서 할 수 있는 운동을 인터넷을 통해 교육하였다. System Usability Scale(SUS) 점수와 SF12 점수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여주었다. Woodward 등(2011)은 인터넷을 통해 올바른 컴퓨터 및 주변 장비들의 사용 기술 방법과 블로그 관리하는 법 등을 교육하였다.
Woodward 등(2011)은 인터넷을 통해 올바른 컴퓨터 및 주변 장비들의 사용 기술 방법과 블로그 관리하는 법 등을 교육하였다. 중재를 통해 자기 효능감과 사회적 지원 그리고 삶의 질에서 유의한 향상이 있었다.
키넥트는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사에서 출시된 저비용의 깊이 측정 카메라로, 실시간의 깊이 정보와 함께 RGB 영상 및 관절 추적 정보도 제공한다[37]. 중재를 통해 낙상 위험이 감소하였고, 삶의 질에서 유의한 향상이 있었다. Mira 등(2014)은 3개월 동안 태블릿을 기반으로 한 의약품 자체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였다.
Mira 등(2014)은 3개월 동안 태블릿을 기반으로 한 의약품 자체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였다. Morisky Medication Adherence Scale(MMAS-4) 점수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여주어 결과적으로 의약품 관리 오류는 줄어들었다.
Lim 등(2011)은 3개월 동안 혈당 관리 체계를 이용하여 휴대폰의 Short Message Service(SMS)을 통해 정보를 알 수 있게 하였다. 중재 결과 연구 대상자의 혈당 수준이 낮아지는 효과를 보여주었다.
연구대상자 는 로봇 바다표범 Paro와 놀거나 쓰다듬기, 이야기하기, 미소 짓기와 노래하기 등의 활동을 하였다. 중재 결과 Brief Agitation Rating Scale(BARS) 점수와 Cornell Scale for Symptoms of Depression in Dementia(CSDD) 점수에서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는 노인을 대상으로 한 ICT 기반 중재에 대해 알아보고자 체계적 고찰을 실시하였다. 선정된 문헌의 질적 수준 분석은 PEDro scale을 사용하여 실시되었고, 선정된 문헌들의 PEDro scale 점수가 모두 6점 이상으로 높은 수준의 무작위 대조군 연구임을 알 수 있다[38].
선정된 연구들의 중재를 사용된 ICT로 분류한 결과, 인터넷, 태블릿, 휴대폰, 양방향 화상회의, 로봇으로 분류되어진다. 그 중에서 인터넷을 이용한 연구는 3편으로 가장 많았다.
본 연구는 노인을 대상으로 한 ICT 기반 중재에 대한 국외의 무작위 대조군 실험연구의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체계적 고찰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 국외에서는 이미 ICT를 활용하여 다양한 중재를 적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중재 종류는 인터넷, 태블릿, 휴대폰, 양방향 화상회의, 로봇이 있었으며 8편의 선정 논문 중 3편이 인터넷을 이용하였고, 대상 노인의 정보 선별 능력과 자기 효능감에 효과적이었다.
본 연구 결과, 국외에서는 이미 ICT를 활용하여 다양한 중재를 적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중재 종류는 인터넷, 태블릿, 휴대폰, 양방향 화상회의, 로봇이 있었으며 8편의 선정 논문 중 3편이 인터넷을 이용하였고, 대상 노인의 정보 선별 능력과 자기 효능감에 효과적이었다. 기술의 발전과 동시에 초고령사회로 진입하기 전 노인에게 ICT 기반 중재를 적용하는 것은 중요하다.
후속연구
본 연구에서 분석한 8편의 연구결과는 ICT 기반의 중재가 다양함을 보여주고, 여러 분야에서 다각도로 활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ICT는 기존의 단방향적인 치료와 중재에서 벗어나 대상자가 직접 각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선별 및 수집할 수 있고, 서비스를 받으러 간다는 의미에서 서비스를 선택한다는 의미로 변경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ICT는 기존의 단방향적인 치료와 중재에서 벗어나 대상자가 직접 각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선별 및 수집할 수 있고, 서비스를 받으러 간다는 의미에서 서비스를 선택한다는 의미로 변경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하지만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국외학술지에 게재된 Lim 등(2011)의 연구를 제외하고 선정된 논문이 국외연구라는 점에서 국내에서의 적용은 차이점이 있을 것이며, 10년 이내의 무작위 대조군 실험연구로 제한을 두어 포함된 논문의 수가 적었기 때문에 다양한 ICT 기반의 중재 프로그램을 알아보는 데 제한이 있었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ICT는 무엇인가?
ICT는 정보 기술(Information Technology; IT)과 통신 기술(Communication Technology; CT)의 합성어로 정보기기의 하드웨어 및 이들 기기의 운영 및 정보 관리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기술을 이용하여 정보를 수집, 생산, 가공, 보존, 전달, 활용하는 모든 방법을 의미한다[17]. 이러한 ICT는 일상생활 활동 중에 노인의 건강을 관리하고 평가하기 위한 중재를 구성하는데 혁신적이다[18,19].
ICT를 활용한 원격 의료 서비스는 어떤 장점이 있는가?
게다가 ICT는 의료 서비스의 접근성이 좋지 않은 지역까지 의료 서비스를 확장시킬 수 있다[24]. 특히 ICT를 활용한 원격 의료 서비스는 의료 제공자와 대상자가 직접 만나야 했던 기존의 의료 서비스에서 벗어나 시공간에 제약이 없다. 의료 제공자는 어디서든 대상자의 상태를 확인하고 적절한 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대 상자는 양질의 의료 서비스에 접근이 용이해진다[25]. 즉, ICT는 노인 의료비에 대한 사회적 부담을 줄일 수 있는 효과적인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26].
고령화로 인한 노인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신체 기능과 인지 기능의 저하 측면에서 어떤 연구가 있는가?
고령화로 인한 노인의 문제는 크게 신체 기능과 인지 기능의 저하로 인한 문제로 나눌 수 있다[5]. 신체 기능의 문제 해결을 위해, 상지 기능과 보행 및 일상생활활동 중심의 중재에 대한 선행연구가 있다[6-8]. 인지 기능의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인지 강화, 다요인 인지능력 향상 프로그램, 인지훈련 프로그램, 운동 프로그램, 음악 치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재가 연구되어지고 있다[9-12].
참고문헌 (38)
J. S. Yang & S. J. Cha. (2016). A Study of the Educational Value and Potential Utilization of an ICT-based(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Dance Game for the New Silver Generation. The Journal of Korean Dance, 34(2), 89-120. DOI : 10.15726/jkd.2016.34.2.005
H. J. Jun & M. Y. Kim. (2015). The Influence of Internet Use on Satisfaction with Social Relationships and Depression among Older Adults Living Alone in Seoul.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Research, 43, 73-98.
Y. T. Park. (2013). The Latest Trend in Elderly Care Costs. Seoul :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M. J. Hwang, Y. S. Seo, K. H. Kim, S. H. Jin, W. C. Shim & S. B. Shin. (2011). Effect analysis on results of long-term care insurance of baby boomers' health.medical related consuming behavior and asset portfolio. Seoul : Ministry of Health & Welfare.
M. S. Moon & M. Y. Jung. (2016). A Systematic Review on the Association between Cognitive Function and Upper Extremity Function in the Elderly. Therapeutic Science for Neurorehabilitation, 5, 23-33.
S. R. Ma. (2017). The Effects of Theratainment Task Oriented Upper Limb Motor Task on Muscle Tone and Upper Extremity Function in Stroke Patients over 65 Years. Journal of the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11(7), 335-345. DOI : 10.21184/jkeia.2017.10.11.7.335
K. Y. Chang & J. M. Kang. (2005). The Study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Performance and Quality of Life for Elderly Residents in the Daejeon City.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13(1), 45-56.
S. K. Kim. (2005). The Risk Factors and Occupational Therapy for Prevention of Falling in the Elderly.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13(3), 69-76.
D. R. Kim. (2017). An Integrative Review of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 in Elderly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5), 243-253. DOI : 10.15207/JKCS.2017.8.5.243
Y. N. Lee, J. H. Park & S. H. Park. (2015). The Effects of Multistrategic Memory Training on Memory, Metamemory and Depression in Older Adult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3(1), 85-94. DOI : 10.14519/jksot.2015.23.1.07
H. S. Kwak & J. H. Park. (2018). A Systematic Review of the Application Nonpharmacological Cognitive Interventions in Patients With Dementia.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6(4), 13-26. DOI : 10.14519/jksot.2018.26.4.02
H. K. Yang. (2006). The Effects of the Recreational Music Therapy on the Cognitive Functional of the Aged People with Dementia.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6(4), 749-765.
J. K. Kang & J. Y. Lee. (2015). Status and Tasks of ICT-based Welfare Services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3(1), 67-76. DOI : 10.14400/JDC.2015.13.1.67
L. K. Schaper & G. P. Pervan. (2007). ICT and OTs: A mode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cceptance and utilisation by occupational therapists. International Journal of Medical Informatics, 76, S212-S221. DOI : 10.1016/j.ijmedinf.2006.05.028
G. W. Lee & H. W. Son. (2016).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s Thesaurus. Seoul : GoomiBook.
A. Gros et al. (2016). Recommendations for the use of ICT in elderly populations with affective disorders. Frontiers in aging neuroscience, 8, 269. DOI : 10.3389/fnagi.2016.00269
C. I. Martinez-Alcala, P. Pliego-Pastrana, A. Rosales-Lagarde, J. S. Lopez-Noguerola & E. M. Molina-Trinidad. (2016).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n the Care of the elderly: systematic review of applications aimed at patients with dementia and caregivers. JMIR Rehabilitation and Assistive Technologies, 3(1), e6. DOI : 10.2196/rehab.5226
M. Anderson & A. Perrin. (2017). Tech Adoption Climbs Among Older Adults. Pew Research Center [Online]. http://www.pewinternet.org/2017/05/17/technology-use-among-seniors/.
J. Ihm & Y. P. Hsieh. (2015). The Implications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Use for The Social Well-being of Older Adults. Inf Commun Soc, 18(10), 1123-1138. DOI : 10.1080/1369118X.2015.1019912
S. R. Cotten, WA. Anderson & BM. McCullough. (2013). Impact of Internet Use on Loneliness and Contact with Others Among Older Adults: Cross-sectional Analysis. J Med Internet Res, 15(2), e39. DOI : 10.2196/jmir.2306
Y. Amichai-Hamburger, K. Y. McKenna & S. Tal. (2008). E-empowerment: Empowerment by The Internet. Comput Human Behav. 24(5), 1776-1789. DOI : 10.1016/j.chb.2008.02.002
S. S. Kim & S. W. Ryu. (2011).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Factors to Adoption of Telehealth Service.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1(1), 10.
H. K. Kim & D. H. Shin. (2015). Domestic and Foreign Case Studies on ICT Convergence for Mental Heath Improvement and Suicide Prevention.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5(5), 592-606. DOI : 10.5392/JKCA.2015.15.05.592
E. Y. Lee. (2018). An Ethical Consideration on the ICT based Healthcare for the elderly.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83, 55-83. DOI : 10.20539/deadong.2018.83.03.
D. Moher, A. Liberati, J. Tetzlaff & D. G. Altman. (2009).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The PRISMA statement. Journal of Clinical Epidemiology, 62(10), 1006-1012 DOI : 10.1371/journal.pmed.1000097
L. Tooth, A. McCluskey, T. Hoffmann, K. McKenna & M. Lovarini. (1999). Physiotherapy Evidence Database(PEDro) scale. PEDro [Online]. http://www.pedro.org.au/english/downloads/pedro-scale/
Y. J. Gschwind et al. (2015). ICT-based system to predict and prevent falls (iStoppFalls): results from an international multicenter randomized controlled trial. European review of aging and physical activity, 12(1), 10. DOI : 10.1186/s11556-015-0155-6
M. Dekker-van Weering, S. Jansen-Kosterink, S. Frazer & M. Vollenbroek-Hutten. (2017). User experience, actual use, and effectiveness of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supported home exercise program for pre-frail older adults. Frontiers in medicine, 4, 208. DOI : 10.3389/fmed.2017.00208
N. Joranson, I. Pedersen, A. M. M. Rokstad & C. Ihlebaek. (2015). Effects on symptoms of agitation and depression in persons with dementia participating in robot-assisted activity: a cluster-randomized controlled trial.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Directors Association, 16(10), 867-873. DOI : 10.1016/j.jamda.2015.05.002
R. F. Cook, R. K. Hersch, D. Schlossberg & S. L. Leaf. (2015). A Web-based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older workers: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 17(3), e82. DOI : 10.2196/jmir.3399
S. Lim et al. (2011). Improved glycemic control without hypoglycemia in elderly diabetic patients using the ubiquitous healthcare service, a new medical information system. Diabetes care, 34(2), 308-313. DOI : 10.2337/dc10-1447
J. J. Mira et al. (2014). A Spanish pillbox app for elderly patients taking multiple medications: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 16(4), e99. DOI : 10.2196/jmir.3269
A. T. Woodward, P. P. Freddolino, C. M. Blaschke-Thompson, D. J. Wishart, L. Bakk, R. Kobayashi & C. Tupper. (2011). Technology and aging project: training outcomes and efficacy from a randomized field trial. Ageing International, 36(1), 46-65. DOI : 10.1007/s12126-010-9074-z
D. C. Grabowski & A. J. O'Malley. (2014). Use of telemedicine can reduce hospitalizations of nursing home residents and generate savings for medicare. Health Affairs, 33(2), 244-250. DOI : 10.1377/hlthaff.2013.0922
S. Y. Cho, H. R. Byun, H. K. Lee & J. H. Cha. (2012). Hand Gesture Recognition from Kinect Sensor Data. The Korean Society Of Broad Engineers, 17(3), 447-458. DOI : 10.5909/JBE.2012.17.3.447
K. Hariohm, V. Prakash & J. Saravankumar. (2015). Quantity and quality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published by Indian physiotherapists. Perspectives in clinical research, 6(2), 91. DOI : 10.4103/2229-3485.154007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