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관성 측정 장치의 융합연구 형태와 방법에 관한 체계적 고찰
Systematic Review on the Type and Method of Convergence Study of Inertial Measurement Unit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3, 2020년, pp.119 - 126  

이혜식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작업치료학과) ,  박혜연 (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관성 측정 장치(Inertial Measurement Unit, IMU)의 융합연구 형태와 방법에 대한 연구를 체계적 문헌고찰 방법으로 분석하여 IMU의 형태와 방법에 대한 경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수행은 PRISMA(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가이드라인을 이용하여 수행되었다. 3개의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된 630편 중 최종적으로 선정기준에 부합하는 23편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결과 전 세계적으로 IMU를 사용한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IMU의 형태는 스트랩, 전신 슈트, 벨트, 손목시계, 신발, 장갑이 있었다. 이 중, 스트랩 형태의 IMU가 11편으로 가장 많았다. IMU의 장점인 간소화와 실시간 데이터 수집, 적용의 쉬움으로 작업 활동, 보행, 관절 가동 범위 등의 측정 방법으로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IMU의 연구를 진행하는 의료 및 재활 분야의 전문가들에게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rends in the type and method of Inertial Measurement Unit (IMU) by investigating studies on the type and method of convergence study of the IMU by systematic review. The study was conducted using PRISMA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IMU의 융합연구 형태와 방법에 대한 경향을 파악하기 위해 체계적 고찰을 실시하였다. PRISMA 가이드라인에 따라 연구를 수행하였고, 최종적으로 23편의 논문이 선정되었다.
  • 본 연구는 관성 측정 장치(Inertial Measurement Unit; IMU)의 형태와 방법에 대한 융합연구들을 PRISMA(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가이드라인[15]을 이용하여 분석한 체계적 문헌고찰이다.
  • 본 연구에서는 IMU의 형태와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체계적 고찰을 실시하였다. 선정된 논문의 질적 수준 분석은 근거수준 5단계 모델을 사용하여 실시되었고, 선정된 논문들의 근거수준이 모두 3단계 이상으로 보통 수준의 논문들임을 알 수 있다.
  • 하지만 현재 국내 연구 중 IMU의 형태와 방법에 관한 체계적 고찰을 진행한 연구는 없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IMU의 개념과 임상에서 사용되어지는 IMU의 형태 및 방법에 대해 분석하고, IMU의 경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동작분석 장치의 특징은 무엇인가? 대상자 동작 및 행동 분석의 정량화를 위한 장비에는 동작 분석 장치(Motion Analysis System)가 있다. 동작분석 장치는 센서들을 이용하여, 움직이는 대상의 방향, 속도, 가속도 등의 데이터를 측정하고 수집한다[4]. 가장 대표적인 동작 분석 장치는 대상자의 움직임을 영상으로 녹화하고 분석하는 장치이다.
재활분야에서 IMU의 사용은 어떻게 나뉘는가? 기존의 영상 분석 방법과 같은 고가의 장비와 제한적인 환경이 필요하다는 단점을 보완한 IMU가 사용됨에 따라, 재활 분야에서도 IMU를 활용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재활 분야에서의 IMU의 사용은 크게 상지운동 측정과 보행 분석을 위한 하지 운동 측정, 파킨슨병(Parkinson disease)과 같은 특정 질환의 증상 측정으로 나뉜다. 국내외의 현행 연구로는, 상지의 기능적 재활을 위해 IMU를 사용한 시스템 개발 연구[8], 상지 재활을 위한 IMU 기술이 도입된 재활 로봇 연구[9], IMU가 부착된 신발로 환자의 보행 분석 연구[10], 실외 작업 시 실시간 보행 분석 연구[11], 파킨슨병의 증상을 평가하는 연구[12], 다발성 경화증 환자의 이상 자세 관찰 연구[13] 등이 보고되었다.
관성 측정 장치는 어떠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도입되었는가? 이러한 방법은 다수의 카메라를 통해 다양한 방향에서 움직임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어서 비교적 정확한 방법으로 여겨진다. 하지만 영상 분석 방법은 실시간으로 데이터 분석이 어렵고, 다수의 카메라를 설치 할 일정 규모 이상의 공간이 필요하고, 측정 장비들이 고가의 가격대를 가지므로 일반적인 재활 기관에서 사용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이러한 단점들을 보완하기 위해, 관성 측정 장치(Inertial Measurement Unit; IMU)가 도입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Y. G. Kim. (2007). A Search on the Necessity of Occupational Therapy in Community Based Rehabilitation in Public Health Center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15(3), 13-24. 

  2. Y. Koumpouros. (2016). A systematic review on existing measures for the subjective assessment of rehabilitation and assistive robot devices. Journal of healthcare engineering, 2016. DOI : 10.1155/2016/1048964 

  3. Z. Zhang, Q. Fang & X. Gu. (2015). Objective assessment of upper-limb mobility for poststroke rehabilitation. IEEE Transactions on Biomedical Engineering, 63(4), 859-868. DOI : 10.1109/TBME.2015.2477095 

  4. M. Ye, C. Yang, V. Stankovic, L. Stankovic & A. Kerr. (2016). A depth camera motion analysis framework for tele-rehabilitation: Motion capture and person-centric kinematics analysis. IEEE Journal of Selected Topics in Signal Processing, 10(5), 877-887. DOI : 10.1109/JSTSP.2016.2559446 

  5. U. C. Ugbolue, E. Papi, K. T. Kaliarntas, A. Kerr, L. Earl, V. M. Pomeroy & P. J. Rowe. (2013). The evaluation of an inexpensive, 2D, video based gait assessment system for clinical use. Gait & posture, 38(3), 483-489. DOI : 10.1016/j.gaitpost.2013.01.018 

  6. T. Seel, J. Raisch & T. Schauer. (2014). IMU-based joint angle measurement for gait analysis. Sensors, 14(4), 6891-6909. DOI : 10.3390/s140406891 

  7. H. H. Kim, J. K. Kim, J. H. Seo, Y. J. Park & Y. B. Park. (2011). Feasibility on Evaluation of Movement System Impairment Syndromes by MEMS-IMU.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al Diagnostics, 15(3), 261-27. 

  8. A. Gil-Agudo et al. (2013). A novel motion tracking system for evaluation of functional rehabilitation of the upper limbs. Neural regeneration research, 8(19), 1773. DOI : 10.3969/j.issn.1673-5374.2013.19.005 

  9. C. Cifuentes, A. Braidot, L. Rodriguez, M. Frisoli, A. Santiago & A. Frizera. (2012, June). Development of a wearable ZigBee sensor system for upper limb rehabilitation robotics. In 2012 4th IEEE RAS & EMBS International Conference on Biomedical Robotics and Biomechatronics (BioRob) (pp. 1989-1994). IEEE. DOI : 10.1109/BioRob.2012.6290926 

  10. J. Bae & M. Tomizuka. (2013). A tele-monitoring system for gait rehabilitation with an inertial measurement unit and a shoe-type ground reaction force sensor. Mechatronics, 23(6), 646-651. DOI : 10.1016/j.mechatronics.2013.06.007 

  11. F. Cavallo, A. M. Sabatini & V. Genovese. (2005, August). A step toward GPS/INS personal navigation systems: real-time assessment of gait by foot inertial sensing. In 2005 IEEE/RSJ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telligent Robots and Systems (pp. 1187-1191). IEEE. DOI : 10.1109/IROS.2005.1544967 

  12. D. Rodriguez-Martin, C. et al. (2017). A waist-worn inertial measurement unit for long-term monitoring of Parkinson's disease patients. Sensors, 17(4), 827. DOI : 10.3390/s17040827 

  13. A. J. Solomon, J. V. Jacobs, K. V. Lomond & S. M. Henry. (2015). Detection of postural sway abnormalities by wireless inertial sensors in minimally disabled patients with multiple sclerosis: a case- control study. Journal of neuroengineering and rehabilitation, 12(1), 74. DOI : 10.1186/s12984-015-0066-9 

  14. T. H. Kim. C. W. Ro & J. W. Yoon. (2016). Development of Smart Stick Using Motion Sensing and GPS for Elderly Users' Safety.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7(4), 45-50. DOI : 10.15207/JKCS.2016.7.4.045 

  15. D. Moher, A. Liberati, J. Tetzlaff & D. G. Altman. (2009).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The PRISMA statement. Journal of Clinical Epidemiology, 62(10), 1006-1012 DOI : 10.1371/journal.pmed.1000097 

  16. M. Arbesman, J. Scheer & D. Lieberman. (2008). Using AOTA's critically appraised topic(CAT) and critically appraised paper(CAP) series to link evidence to practice.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13(5), 18-22. 

  17. A. Anwary, H. Yu & M. Vassallo. (2018). An automatic gait feature extraction method for identifying gait asymmetry using wearable sensors. Sensors, 18(2), 676. DOI : 10.3390/s18020676 

  18. K. L. Armstrong, L. M. Lombardo, K. M. Foglyano, M. L. Audu & R. J. Triolo. (2018). Automatic application of neural stimulation during wheelchair propulsion after SCI enhances recovery of upright sitting from destabilizing events. Journal of neuroengineering and rehabilitation, 15(1), 17. DOI : 10.1186/s12984-018-0362-2 

  19. R. Barrois, T. Gregory, L. Oudre, T. Moreau, C. Truong, A. A. Pulini, ... & A. Yelnik. (2016). An automated recording method in clinical consultation to rate the limp in lower limb osteoarthritis. PloS one, 11(10), e0164975. DOI : 10.1371/journal.pone.0164975 

  20. R. P. M. Barrois, D. Ricard, L. Oudre, L. Tlili, C. Provost, A. Vienne, ... & A. P. Yelnik. (2017). Observational study of 180 Turning strategies Using inertial Measurement Units and Fall risk in Poststroke hemiparetic Patients. Frontiers in neurology, 8, 194. DOI : 10.3389/fneur.2017.00194 

  21. P. Hausamann, M. Daumer, P. MacNeilage & S. Glasauer. (2019). Ecological Momentary Assessment of Head Motion: Towards Normative Data of Head Stabilization. Frontiers in human neuroscience, 13, 179. DOI : 10.3389/fnhum.2019.00179 

  22. R. Kianifar, A. Lee, S. Raina & D. Kulic. (2017). Automated assessment of dynamic knee valgus and risk of knee injury during the single leg squat. IEEE journal of translational engineering in health and medicine, 5, 1-13. DOI : 10.1109/JTEHM.2017.2736559 

  23. N. Kitagawa & N. Ogihara. (2016). Estimation of foot trajectory during human walking by a wearable inertial measurement unit mounted to the foot. Gait & posture, 45, 110-114. DOI : 10.1016/j.gaitpost.2016.01.014 

  24. D. Luksys, G. Jonaitis & J. Griskevicius. (2018). Quantitative analysis of parkinsonian tremor in a clinical setting using inertial measurement units. Parkinson's Disease, 2018. DOI : 10.1155/2018/1683831 

  25. H. S. Nam, W. H. Lee, H. G. Seo, Y. J. Kim, M. S. Bang & S. Kim. (2019). Inertial Measurement Unit Based Upper Extremity Motion Characterization for Action Research Arm Test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Sensors, 19(8), 1782. DOI : 10.3390/s19081782 

  26. B. J. Stetter, S. Ringhof, F. C. Krafft, S. Sell & T. Stein. (2019). Estimation of Knee Joint Forces in Sport Movements Using Wearable Sensors and Machine Learning. Sensors, 19(17), 3690. DOI : 10.3390/s19173690 

  27. F. Wittmann, J. P. Held, O. Lambercy, M. L. Starkey, A. Curt, R. Hover, ... & R. R. Gonzenbach. (2016). Self-directed arm therapy at home after stroke with a sensor-based virtual reality training system. Journal of neuroengineering and rehabilitation, 13(1), 75. DOI : 10.1186/s12984-016-0182-1 

  28. M. Delrobaei, S. Tran, G. Gilmore, K. McIsaac & M. Jog. (2016). Characterization of multi-joint upper limb movements in a single task to assess bradykinesia. Journal of the neurological sciences, 368, 337-342. DOI : 10.1016/j.jns.2016.07.056 

  29. M. Delrobaei, S. Memar, M. Pieterman, T. W. Stratton, K. McIsaac & M. Jog. (2018). Towards remote monitoring of Parkinson's disease tremor using wearable motion capture systems. Journal of the neurological sciences, 384, 38-45. DOI : 10.1016/j.jns.2017.11.004 

  30. S. Memar, M. Delrobaei, M. Pieterman, K. McIsaac & M. Jog. (2018). Quantification of whole-body bradykinesia in Parkinson's disease participants using multiple inertial sensors. Journal of the neurological sciences, 387, 157-165. DOI : 10.1016/j.jns.2018.02.001 

  31. H. Nguyen, K. Lebel, P. Boissy, S. Bogard, E. Goubault & C. Duval. (2017). Auto detection and segmentation of daily living activities during a Timed Up and Go task in people with Parkinson's disease using multiple inertial sensors. Journal of neuroengineering and rehabilitation, 14(1), 26. DOI : 10.1186/s12984-017-0241-2 

  32. S. J. Ozinga, S. M. Linder & J. L. Alberts. (2017). Use of mobile device accelerometry to enhance evaluation of postural instability in Parkinson disease.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98(4), 649-658. DOI : 10.1016/j.apmr.2016.08.479 

  33. J. Camps, A. Sama, M. Martin, D. Rodriguez-Martin, C. Perez-Lopez, J. M. M. Arostegui, ... & A. Prats. (2018). Deep learning for freezing of gait detection in Parkinson's disease patients in their homes using a waist-worn inertial measurement unit. Knowledge-Based Systems, 139, 119-131. DOI : 10.1016/j.knosys.2017.10.017 

  34. M. Pau, B. Leban, G. Collu & G. M. Migliaccio. (2014). Effect of light and vigorous physical activity on balance and gait of older adults. Archive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59(3), 568-573. DOI : 10.1016/j.archger.2014.07.008 

  35. F. Sgro, P. Mango, S. Pignato, R. Schembri, D. Licari & M. Lipoma. (2017). Assessing Standing Long Jump Developmental Levels Using an Inertial Measurement Unit. Perceptual and motor skills, 124(1), 21-38. DOI : 10.1177/0031512516682649 

  36. S. Stuart, L. Parrington, D. N. Martini, N. Kreter, J. C. Chesnutt, P. C. Fino & L. A. King. (2019). Analysis of free-living mobility in people with mild traumatic brain injury and healthy controls: quality over quantity. Journal of neurotrauma, 37(1), 139-145 DOI : 10.1089/neu.2019.6450 

  37. K. Leuenberger, R. Gonzenbach, S. Wachter, A. Luft & R. Gassert. (2017). A method to qualitatively assess arm use in stroke survivors in the home environment. Medical & biological engineering & computing, 55(1), 141-150. DOI : 10.1007/s11517-016-1496-7 

  38. S. H. Han, C. O. Kim, K. J. Kim, J. Jeon, H. Chang, E. S. Kim & H. Park. (2019).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bilateral coordination and gait asymmetry using inertial measurement unit-based gait analysis. PloS one, 14(10) . DOI : 10.1371/journal.pone.0222913 

  39. H. Dai, H. Lin & T. C. Lueth. (2015). Quantitative assessment of parkinsonian bradykinesia based on an inertial measurement unit. Biomedical engineering online, 14(1), 68. DOI : 10.1186/s12938-015-0067-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