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남녀대학생의 결혼관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요인 비교
Comparison of Convergence Factors Affecting Views on Marriage of Male and Female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3, 2020년, pp.153 - 162  

김혜진 (중앙대학교 적십자간호대학) ,  김희정 (남서울대학교 간호학과) ,  서민숙 (상지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남녀 대학생의 결혼가치관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요인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남자 172명과 여자 185명을 대상으로 결혼가치관, 자녀가치관, 성 역할 태도, 성태도를 조사한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19년 5월 1일부터 6월 15일까지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3.0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결혼가치관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순서는 남자는 자녀가치관(F=29.530, p<.001), 성 역할 태도(F=9.850, p<.001), 성태도(F=7.038, p=.009)이었고 여자는 자녀가치관(F=48.767, p<.001), 성 태도(F=32.204, p<.001), 성 역할 태도(F=18.904, p<.001)이었다. 결혼가치관의 설명력은 남자 33.4%, 여자 43.8%이었다. 따라서 남녀 대학생의 결혼율과 출산율 향상을 위해서는 남녀 모두 긍정적 자녀가치관을 형성할 수 있는 체계적인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affect the views on marriage of male and female students. Of the students recruited, 172 were male, and 185 were female. Data were collected using questionnaires about views on marriage, children, gender roles, and gender attitudes and were analy...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마지막으로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몇몇 선행연구에서 남학생에 비해 여학생이 결혼에 대해 상대적으로 부정적인 태도를 지니며, 결혼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더 많이 나타나고 있다[17,18].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녀가치관, 성 역할 태도, 성태도가 결혼가치관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남녀 간에 다르게 반영되고 있을 것으로 예측하여 성별 간 결혼가치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차이를 함께 규명하고자 한다. 나아가 본 연구는 남녀 대학생의 결혼가치관에 대한 차별화된 접근을 통해 보다 효과적인 결혼 및 저출산 정책의 방안을 제시해 줄 것이다.
  • 본 연구는 남녀 대학생의 결혼가치관, 자녀가치관, 성 역할 태도, 성태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남녀 대학생의 결혼가치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고 결혼가치관에 대한 남녀 차이를 비교함으로써 결혼율을 증가시키고 저출산율을 극복하기 위한 효율적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남녀 대학생 모두 결혼가치관에 자녀가치관, 성 역할 태도, 성태도가 영향을 미쳤으며 그중 자녀가치관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대학생의 결혼가치관, 자녀가치관, 성 역할태도, 성태도를 파악하고, 남녀 차이를 비교하여 남녀 대학생의 결혼가치관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대상자의 평균연령은 남학생 2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성태도 항목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기대와 다르게 높게 나타난 이유는 무엇이라 짐작하는가? 마지막 성태도 항목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점수가 다소 높아 성에 대해 여학생이 더 개방적인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몇몇 선행연구들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성에 더 개방적이라고 나온 연구들과 상이한 결과이다. Kang과 Hwang[15]의 연구에서도 남학생의 성태도가 더 개방적인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가부장제도의 영향으로 남학생 부모님의 성태도가 좀 더 개방적이기 때문에 여학생의 성에 있어서 엄격한 기준을 적용하는 이중기준이 존재하고 있는 것이라 해석했으며,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성적요구 권리나 자유로운 성행위를 중요한 삶의 한 부분으로 받아들이고 있기 때문이라 하였다. 하지만 본 연구결과에서 여학생이 좀 더 개방적으로 나온 것은 최근 인터넷이나 대중매체를 통해 여성의 성에 대한 문제가 사회 문화적으로 표면화되고 드러냄으로써 여학생의 성에 대한 인식이 개방적으로 바뀌고 있음을 시사하는 부분이라 하겠다.
결혼가치관이란 무엇을 의미하는가? 결혼가치관은 동일 세대에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형성하는 결혼에 대해 갖는 태도 및 신념으로 결혼 및 배우자를 선택하는 데 있어 개인이 지향하는 규범 및 가치관을 의미하며 가족가치관의 일부분으로 결혼가치관은 시대에 따라 달라진다[1].
결혼은 과거와 다르게 어떻게 인식되고 있는가? 우리나라가 저성장 시대로 접어들면서 사회진출 및 경제적 독립이 어려워지고 취업난, 주택가격 폭등, 학자금 대출로 인한 부담으로 결혼시기가 늦어지면서[2], 젊은 층을 중심으로 결혼관이 변화하였다. 또한, 독신 및 기타 다양한 생활양식을 추구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는데 과거와 다르게 결혼이 누구나 해야 하는 필수적인 것이 아니라 여러 다양한 생활방식 중의 하나로 선택적인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K. A. Brennan, C. L. Clark & P. R. Shaver. (1998). Self-report Measurement of Adult Attachment: An Integrative Overview. In J. A. Simpson & W. A. Rholes (Eds.), Attachment Theory and Close Relationship. (pp. 46-76). New York, NY, US: Guilford Press. 

  2. S. Y. Youn & S. J. Kang. (2018). The Comparative Study on the Housing Values of Baby Boomers and Echo Generation.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30(2), 449-452. 

  3. J. Y. Jo. (2011). An Analysis on The Preference of Unmarried People for Marriage and Maternity Policies, and on The Tendency for Attitude of Marriage and Child in Low Fertility Society. Master's Thesis. Ulsan University, NamGu. 

  4. H. K. Choi & S. H. Lee. (2014). Factors Influencing the Value of Having Children among University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4), 587-595. DOI: 10.5977/jkasne.2014.20.4.587 

  5.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2011). Family Survey. [Online]. http://www.newswire.co.kr/newsRead.php?no523521 

  6. S. Y. Choi & J. K. Chang (2016). Influence of Parenting Style as Perceived by Adult Child on Perspective of Marriage: The Mediation Effect of Recognize Gender Roles.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54, 181-195. DOI: 10.6115/fer.2016.015 

  7.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2016). 2015 Family Survey. [Online]. http://www.newswire.co.kr/newsRead.php?no817027 

  8. N. J. Kim & S. J. Ko. (2018). Factors Influencing Attitude Toward Marriage of Nursing College Students. Korean Academy of Science and Technology, 19(4), 178-185. DOI: 10.5762/KAIS.2018.19.4.178 

  9. R. P. Di. (2014). A Comparative Study of College Students'Family Values in Korea and China. Master'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10. J. H. Seo. (2009). Effects of Gender Role Attitudes and Lifestyles of Unmarried Employed Women on Position about Marriage: Focused on the Presence of Their Parents as Common Dwell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11. M. A. Kim & Y. S. Song. (2012), University Students Values on Marriage, Gender Role and Children. The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Association, 18(2), 303-311. 

  12. S. Y. Kim. (2010). The Relationships Between Satisfaction with Family Relationship, the Outlooks on Marriage, and the Outlooks on Gender Role in Single Men and Wom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Yeungnam University, Gyeongbuk. 

  13. S. M. Ho. (2009). Sexual Knowledge, Attitude and Sexual Behavior of the University Students.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14. Y. H. Ju, E. S. Jung & M. S. Shin. (2013). The Relationship of College Students' Value on Marriage, Children and Sexual Attitude.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11(9), 267-278. 

  15. Y. S. Kang & H. Hwang. (2017). Study on Sexual Knowledge, Sexual Attitudes, and Reproductive Health Promoting Behaviors in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23(1), 9-17. DOI : 10.14370/jewnr.2017.23.1.9 

  16. E. M. Kim, S. J. Yu & M. R. Song. (2013). Correlation Between History of Exposure to Obscene Material, Sexual Attitudes and Intercourse Experience among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1), 18-26. 

  17. M. A. Kim & Y. S. Song. (2012). University Students Values on Marriage, Gender Role and Children. The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Association, 18(2), 303-311. 

  18. Y. M. Na & M. K. Kim. (2012). Research on the Values the Preparents Generation Places on Marriage and Child Birth.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16(2), 215-234. 

  19. Y. K. Jung, K. H. Kim, J. A. Bae, C. A. Kim & Y. J. Song. (1997). A Study on View of Marriage of Korean Adults-Comparative Analysis by Gender, Marital Status and Region. Journal of Research Studies of Ewha Womans University Graduate School, 32, 49-92. 

  20. J. W. Lee. (2006). On the University Students' Perceived Views over Family, Marriage, and Children. Master's Thesis. Yeungnam University, Kyungsan. 

  21. H. H. Kim. (2008). The Family Values Trends in a Low Fertility Period -A survey Analysis of Secondary School Students and Single Males and Females Aged 20-29 Years.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ju. 

  22. H. J. Lee. (2009).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Sex Role Identity Type and Sexual Consciousness & Sexual Value. Master's Thesis. Kyungwon University, Seongnam. 

  23. Y. H. Yu. (2015). A Study on the Love Styles and Sexual Attitudes of the University Students. Master's Thesis, Ulsan University, NamGu. 

  24. N. Y. Joo. (2012). Study on the Both Childbirth Will and Notion of Marriage of the Singl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kuk University, Seoul. 

  25. S. K. Koh & S. Auh. (2013). An Effect of the Financial Resources on the Willingness to Marriage Formation among the Never Married in Their 30s. Korea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17(1), 63-79. 

  26. J. B. Kim. (2013). The Study of Moderating Effects upon Gender Differences in Attitudes toward Marriage. Journal of Social Science, 39(1), 1-24. 

  27. J. Park. (2016). The Effects of Family Values and Expectation for Social Support on Marriage Intention Among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34(4), 21-35. 

  28. G. Y. Kim. (2009). A study on Factors Associated with Perceptions of Marriage Among Unmarried University Students, Homan University. Master's Thesis. Honam University, Gwangsangu. 

  29. S. Auh & J. Kim. (2013). Research on the Evasion & Willingness to Marriage Formation among the Students in the National Colleges of Education.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26(3), 149-163. 

  30. K. E. Lee & K. Park. (2006). The Effect of a Sexual Violence Counselor Program on Knowledge toward Sexual Autonomy and Rape Myth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2(4), 301-3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