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결혼관에 미치는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Attitude toward Marriage of Nursing College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9 no.4, 2018년, pp.178 - 185  

김남조 (경북대학교 간호대학) ,  고상진 (경북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한국의 출산율 저하는 매우 심각한 문제이다. 개인의 행복이 인생의 중요한 삶의 가치로 부상하면서, 사회적으로 결혼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증가하고 있고, 이는 비혼이나 만혼으로 이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기 성인기인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결혼관, 성역할관, 자녀관을 조사하고, 결혼관에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자료 수집은 D시에 위치한 일개 간호대학생 383명을 대상으로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일반적 특성에 따른 결혼관 분석에서 성별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결혼관은 자녀관과 양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성역할관은 결혼관, 자녀관과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결혼관에 미치는 요인은 성별(남성), 성역할관, 자녀관이었으며, 이 때 설명력은 51.9%였다. 따라서 결혼과 출산에 대한 문제 해결을 위하여, 사회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결혼관과 자녀관 형성과 양성 평등적인 결혼 생활에 대한 사회적 문화를 형성하고 이와 관련된 대학교육과 국가정책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low birth rate in South Korea is a very serious problem. Recently, as personal happiness has emerged as an important life value of life, unmarried people have developed a negative tendency toward marriag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ttitude toward marriage, gender role and hav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결혼관, 성역할관, 자녀관의 정도와 이들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결혼관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이를 통해 미혼 남녀의 결혼에 대해 가치관이 미치는 영향의 정도를 조사하여 저출산 대책에 긍정적인 방향으로 반영될 수 있도록 방안을 모색하는 경향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7].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결혼관, 성역할관과 자녀관을 알아보고, 결혼관에 영향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결혼관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출산율 증가 정책 수립의 기초 자료로 이용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 결과를 통하여 대학생의 결혼관에 영향하는 요인으로는 성별, 성역할관, 자녀관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그 중 자녀관의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 특히 초기 성인기에 해당하는 간호학과 대학생들은 타 전공에 비해 비교적 안정적인 직장을 취득하는 경향이 있지만[14], 3 교대 근무형태를 가진 간호사의 근무여건 상 자녀양육과 맞벌이 결혼생활에 어려움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추후 결혼율 상승과 출산 문제 해결 방법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위해 간호대학생이 가지는 결혼관, 성역할관과 자녀관의 정도를 살펴보고, 결혼관에 영향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합계출산율이란 무엇인가? 한국의 출산율 하락은 세계에서 가장 심각한 수준이다. 15-49세 가임기 여성이 평생 낳을 수 있는 자녀의 수를 뜻하는 합계출산율은 2011년 1.24명에서 2016년 1.
고령인구가 유소년인구 수를 넘어서는 인구 구조의 변화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8명으로 증가하여 고령인구가 유소년인구 수를 넘어섰다. 이러한 저출산으로 인한 인구 구조의 변화는 생산 인구 감소, 경제 위축, 세대 간 갈등의 원인이 되어 사회 전반적인 부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근본적인 원인을 분석하여 국가적인 차원에서 체계적으로 대처할 필요가 있다[4].
개인의 행복이 인생의 중요한 삶의 가치로 부상하면서, 사회적으로 결혼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증가함에 따라 나타나는 문제점은? 최근 한국의 출산율 저하는 매우 심각한 문제이다. 개인의 행복이 인생의 중요한 삶의 가치로 부상하면서, 사회적으로 결혼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증가하고 있고, 이는 비혼이나 만혼으로 이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기 성인기인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결혼관, 성역할관, 자녀관을 조사하고, 결혼관에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Population Trend Survey [Internet]. 2016, Available From: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B8000I&vw_cd&list_idA2_6&seqNo&lang_modeko&languagekor&obj_var_id&itm_id&conn_pathMT_ZTITLE (assessed Dec., 10, 2017) 

  2. Y. M. Park, "The family values of middle school teachers and the awareness about population educ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pp. 1-84, 2010. 

  3. S. Y. Shon, E. J. Kim, "A study of the gender and generation differences of the family values and perception of low fertility in Korean society", Hyonsang-gwa-Insik, vol. 34, no. 4, pp. 169-200, 2010. 

  4. G. V. Jones, "Delayed marriage and very low fertility in pacific asia". Population and Development Review. vol. 33, no. 3, pp. 453-478, 2009. DOI: https://doi.org/10.1111/j.1728-4457.2007.00180.x 

  5. M. J. Chin, H. E. Chung, "The effects of family values on intentions of marriage and expected age at first marriage".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vol. 33, no. 3, pp. 31-51, 2010. 

  6. Korean Society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High-risk pregnancy classification [Internet]. 2010, Available From: http://ksog.org/bbs/skin/notice_popup/download.php?codenotice&number5187(assessed Dec., 20, 2017) 

  7. S. S. Lee, "A study on impact of the change in values on marriage and fertility behaviors",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vol. 26, no. 2, pp. 95-140, 2006. 

  8. A. J. Cherlin, "The deinstitutionalization of American marriage",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vol. 66, no. 4, pp. 848-861, 2004. DOI: https://doi.org/10.1111/j.0022-2445.2004.00058.x 

  9. Y. I. Kwon, D. W. Namkung, "Ecological examination of single men and women's future fertility behavior in relations with their family values, recognized fertility policies and perceived economic condition", Journal of Family Relations. vol. 18, no. 1, pp. 75-92, 2013. 

  10. H. K. Choi, S. H. Lee, "Factors influencing the value of having children among university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20, no. 4, pp. 587-595, 2014. DOI: https://doi.org/10.5977/jkasne.2014.20.4.587 

  11. H. G. Kim, J. Y. Seo, "Factors impacting on the marital and childbearing willingness among college students", The Institute for Korean Culture, vol. 52, pp. 175-206, 2012. 

  12. M. Y. Kim, Y. S. Song, "University students' values on marriage, gender role, and children", The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18, no. 2, pp. 303-311, 2012. DOI: http://doi.org/10.5977/jkasne.2012.18.2.303 

  13. S. W. Ban, B. S. Chon, "The effects of family communication patterns on choices of marriage and spouse", Speech & Communication. vol. 16, pp. 244-269, 2011. 

  14. K. S. Kim, "A study on the views of marriage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health sciences", Journal of Wellness. vol. 18, no. 2, pp. 217-225, 2017. DOI: https://doi.org/10.21097/ksw.2017.02.12.1.217 

  15. S. H. Park,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and perceptions of marriage in university students-Based on university students in Gyeongsang-do region-", Journal of Education & Culture. vol. 12, no. 1, pp. 207-232, 2016. 

  16. E. J. Jo, E. S. An, "Influence of awareness about marriage and childbirth on pre-parent's role of the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18, no. 11, pp. 208-217, 2017. DOI: http://doi.org/10.5762/KAIS.2017.18.11.208 

  17. A. Thornton, L. Young-Demarco, "Four decades of trends in attitudes toward family issues in the United States : The 1960s through the 1990s", Journal of Marriage & Family. vol. 63, no. 4, pp. 1009-1037, 2001. DOI: https://doi.org/10.1111/j.1741-3737.2001.01009.x 

  18. Y. M. Na, M. K. Kim, "Research on the Values the Pre Parents Generation Places on Marriage and Childbirth", The Korean Society for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vol. 16, no. 2, pp. 215-234, 2012. 

  19. Ministry of Health & Welfare, [Internet]. 2016, Available From: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02/22/0200000000AKR20160222184300017.HTML (assessed Jan., 30, 2018) 

  20. M. Jun, G. Shin, K. S. Choi, S. A. Lee, S. W. Hong, "The attitude toward marriage, pregnancy and abortion among Korean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20, no. 2, pp. 312-320, 2014. DOI: https://doi.org/10.5977/jkasne.2014.20.2.312 

  21. G. Kaufman, "Gender role attitudes and college students' work and family expectations", Gender Issues. vol. 22, no. 2, pp. 58-71, 2005. DOI: https://doi.org/10.1007/s12147-005-0015-1 

  22. K. S. Eun, Y. S. Lee, "Family values in Korea from a comparative perspective",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vol. 28, no. 1, pp. 107-132, 2005. 

  23. H. Y. Shin, E. R. Bang, "Investigation of women's & men's view on marriage and birth", 2007 Korean Psychologial Assocoaition Annual Conference. vol. 1, pp. 494-495, 2007. 

  24. M. F. Nicole, "Gender Role Attitudes and the Labour-market Outcomes of Women across OECD Countries", Oxford Review of Economic Policy. vol. 21, no. 3, pp. 416-438, 2005. DOI: https://doi.org/10.1093/oxrep/gri024 

  25. K. A. Kim,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liberal arts at university to cultivate women leaders-Effect of operating multidisciplinary leadership curriculum regarding strengths of family life for family of orientation and views of marriage and children for family of procreation-",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vol. 8, no. 4, pp. 69-105,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