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의 IoT 기반 스마트 건강관리서비스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Influence of Usage Intention of IoT Healthcare service for Elderly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3, 2020년, pp.341 - 349  

홍성정 (안동대학교 생명과학대학 간호학과) ,  이성현 ((주)플라잉마운틴) ,  김경미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기술수용모델을 기반으로 IoT 기반의 스마트 건강관리 서비스에 대한 노인들의 이용의도를 알아보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전문적 지원, 개인화, 상호작용, 사용편의성을 외생변수로 하고, 매개 내생 변수로 인지된 유용성, 사용의도를 최종 내생변수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노인복지센터를 이용하는 220명의 65세 이상 노인이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AMOS 25.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전문가 지원, 개인화는 인지된 유용성에 유의한 영향을 나타내지 않았고, 상호작용, 사용편의성과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인지된 유용성은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노인의 IoT기반 스마트 건강관리 서비스 이용의도를 구조적으로 검증함으로써 노인들의 이용의도를 높이기 위한 전략 마련에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ain the intention of use of IoT (internet of things) healthcare service for elderly using TAM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he exogenous variables were professional support, personalization, interaction, and convenience, The endogenous variables were ...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IoT 기반 스마트 건강관리서비스에 대한 노인의 영향요인을 확인하기위해 기술수용모델 변인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그러나 설명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보다 다양한 차원의 외부변인이 통합모델에서 검증될 필요가 있으며, 노인들의 교육수준이나 인구통계학적 변인이 IoT 기반 스마트 건강관리서비스에 어떠한 영향을 가지고 있는지 조절효과에 대한 분석이 추가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 본 연구는 노인들의 건강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IoT 기반 스마트 건강관리 서비스의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확인하고 이들 요인의 직⋅간접 효과를 파악함으로써 노인들의 건강한 삶을 유지하는 효과적인 간호중재 전략을 수립하기 위하여 시도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보고된 IoT기반 스마트 건강관리 서비스의 체계 특성과 제품 특성 요인이 Davis [21]가 제시한 기술수용모델을 활용한 변수를 통하여 IoT기반 스마트 건강관리 서비스를 사용하거나 사용하게 될 노인의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그 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IoT기반 스마트 건강관리 서비스에 대한 시스템적 특성과 제품 특성으로 분류하여 전문성, 개인화, 상호작용, 사용편의성을 외생변수로 활용하였으며, 내생매개변수는 유용성을 사용하였고, 최종 내생변수로는 IoT기반 스마트 건강관리 서비스의 사용의도를 선정하였다.
  • 우리나라 노인 인구의 스마트폰 이용을 포함한 정보화 수준은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나 전체 국민 수준에 비해 낮은 수준이며, IT (Information Technology) 기기 사용에 취약하여 지속적으로 건강관련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기에 어려움이 있다[17].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술수용모델을 기반으로 노인들의 IoT 기반 건강관리 서비스의 이용에 필요한 요인들을 확인하여 노인들의 IoT 기반 건강관리 서비스의 이용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물 인터넷이란? 정부에서는 이러한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고자 노인들이 지속적으로 건강관리를 통해 질병을 예방하고자 하는 예방중심 의료서비스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으며[3], 정보통신기술(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 ICT)을 이용한 다양한 보건의료서비스의 제공과 보건의료정보체계를 확대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4]. 특히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은 정보통신기술을 기반으로 주위의 모든 사물에 유무선 네트워크를 연결하여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 간에 정보를 교환하고, 서로 상호 소통하는 지능적 환경을 의미하는 것으로[5], 스마트폰 사용자 수가 증가하고, 고령화 시대의 의료비 절감 효과 등과 같은 사회적 기대로 인해 사물인터넷 기반의 스마트 건강관리 서비스 시장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6,7]. 이처럼, 고령화 및 정보화 사회에서 인터넷이나 스마트폰과 같은 정보기술의 발달은 생활양식과 사회참여 등 노인의 건강한 삶을 유지하고 질적인 삶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8].
노인인구의 의료비 증가에 따른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고자 정부는 무엇을 강조하고 있는가? 5% 에 달하고 있으며, 전체 의료비에서 노인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이 30%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의료비 증가가 중요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2]. 정부에서는 이러한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고자 노인들이 지속적으로 건강관리를 통해 질병을 예방하고자 하는 예방중심 의료서비스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으며[3], 정보통신기술(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 ICT)을 이용한 다양한 보건의료서비스의 제공과 보건의료정보체계를 확대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4]. 특히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은 정보통신기술을 기반으로 주위의 모든 사물에 유무선 네트워크를 연결하여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 간에 정보를 교환하고, 서로 상호 소통하는 지능적 환경을 의미하는 것으로[5], 스마트폰 사용자 수가 증가하고, 고령화 시대의 의료비 절감 효과 등과 같은 사회적 기대로 인해 사물인터넷 기반의 스마트 건강관리 서비스 시장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6,7].
사물인터넷의 활용분야에는 무엇이 있는가? 사물인터넷은 사물들이 인터넷의 주체가 되는 네트워크로 구성되어지는 새로운 인터넷 패러다임으로[18], 정보통신 기술을 토대로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간에 많은 양의 정보를 교환하고 상호작용하는 지능형 인트라넷이다[5] 최근 사물인터넷 기술의 발전으로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사물인터넷이 활용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는 공공서비스나 의료서비스, 건강관리 등이 있다[6,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Statistics Korea. (2019). Korean social indicators. [Online]. https://kosis.kr/search/search.do. 

  2. Y. J Kim. (2012). Exploratory study on acceptance intention of mobile devices and applications for healthcare service. Journal of Contents Association, 12(9), 369-379. DOI : 10.5392/JKCA.2012.12.09.369 

  3. J. M. Baek, Y. R. Jung & H. R. Kim. (2016). Smart-Health-Care for health promotion of the elderly, The Korea Journal of Sports Science, 25(6), 887-898. 

  4.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7), 2016 Annual report on the notified HIV/AIDS in Korea. Cheongju: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5. W. S. Jeong, S. H. Kim & K. S. Min. (2013). An analysis of the economic effects for the IoT industry.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14(5), 119-128. DOI : 10.7472/jksii.2013.14.5.119 

  6. W. Kang, M. S. Kim & J. U. Ko. (2013). Effects of the smartphone information use and performance on life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33(1), 199-214. DOI : 10.9716/KITS.2015.14.2.033 

  7. M. Y, Kim & H. J. Jun. (2017). The effects of smartphone use on life satisfaction in older adults: The mediating role of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72(3), 343-370. DOI : 10.5762/KITS.2018.19.11.264 

  8. E. Choi et al. (2016). The relationships among mental, health behavior, and the ability and range of the smartphone utilization of the elderly. The Journal of Kyungpook Nursing Science, 20(1), 36-47. 

  9. S. H. Lee, & S. S. Yoo. (2014). The status and outlook of mobile healthcare application. ICT & Media Policy, 26(7), 1-23. 

  10. H. Shim, J. H. Lee, S. O. Hwang, H. R. Yoon & Y. R. Yoon. (2009) Development of heart rate monitoring for mobile telemedicine using smartphone. 13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biomedical engineering. IFMBE proceedings. (pp 1116-1119). Berlin, Heidelberg : Springer. DOI : 10.1007/978-3-540-92841-6_274 

  11. M. R. Lee, S. J. Choi & Y. J. Lee. (2015). A study on the adoption of UHD for usere pereceived usefulness and ease of use of UHDTV.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2015. Jan, 20(1), 48-56. DOI : 10.5909/JBE.2015.20.1.48 

  12. D. S. Kyo. (2019). Elderly's intention to use wearable device: Application of technology acceptance model,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1(78), 347-360. 

  13. T. Y. Park, J. W. Nam. (2017). The effects of perceived interactivity on information acceptance in mobile health information servi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4(3), 151-177. DOI : 10.3743/KOSIM.2017.34.3.151 

  14. S. W. Lee, H. Y. Kim & J. H. Song. (2011). The effect of personalized Email messages on consumers perceived interactivity, purchase intention and loyalty. Academy of customer satisfaction management, 13(3), 85-100. 

  15. H. J. Seo et al. (2015). Mhealth apps; The current status of usage and the factors of 26. continuous use. Journal of the HCI society of Korea, 10(1), 19-27. 

  16.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17). 2016 Survey on the digital divide. Daegu : NIA. 

  17. M. O. Kim. (2018). The effects of smartphone use on spouse relationship satisfaction, children relationship, and satisfaction with social acquaintance relationship among older adults. Journal of the Korean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9(3), 219-228. DOI : 10.5762/KAIS.2018.19.3.219 

  18. M. K. Nam. (2016). An analysis on the present conditions of smart health care product design industry centered on Io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Design Culture, 22(1), 115-126. 

  19. T. Y. Kim, S. K. Youm, J. J. Jung & E. J. Kim. (2015). Multi-Hop WBAN Construction for Healthcare IoT Systems, 2015 International Platform Technology and Service(PlatCon). (pp. 27-28). Jeju : IEEE. 

  20. Y. S. Jeong. (2017). Data storage and security model for mobile healthcare service based on IoT,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3), 187-193. DOI : 10.14400/JDC.2017.15.3.187 

  21. F. D. Davis. (1989).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MIS Quarterly, 319-340. DOI : 10.2307/249008 

  22. H. N. Kang & S. T. Ahn. (2019). Content analysis of news reports about older adults' health-relate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ICT) based on technology acceptance modle(TAM). Journal of Speech, Media and Communication Research, 18(2), 7-45. 

  23. K. Chen & A. H. Chan. (2011). A review of technology acceptance by older adults. Gerontechnology, 10(1), 1-12. DOI : 10.4017/gt.2011.10.01.006.00 

  24. Q. Ma, A. H. Chan & K. Chen. (2016). Personal and other factors affecting acceptance of smartphone technology by older Chinese adults. Applied Ergonomics, 54, 62-71. DOI : 10.1016/j.apergo.2015.11.015 

  25. L. Dogruel, S. Joeckel & N. D. Bowman. (2015). The use and acceptance of new media entertainment technology by elderly users: Development of an expa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Behaviour & Information Technology, 34(11), 1052-1063. DOI : 10.1080/0144929X.2015.1077890 

  26. J. Y. Kim. (2015).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to intention to use the IoT based smart health care servi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Jukjeon. 

  27. R. Agarwal & E. Karahanna (2000). Time flies when you're having fun: Cognitive absorption and beliefs about information technology usage. MIS Quarterly, 24, 665-694. DOI : 10.2307/3250951 

  28. P. Brusilovsky. (2000). Adaptive hypermedia: from intelligent tutoring systems to web-based education. Intelligent tutoring systems. ITS 2000. (pp. 1-7). Berlin: Lecture Notes in Computer Science 1839. Springer. DOI : 10.1007/3-540-45108-0_1 

  29. W. Lewis, R. Agarwal & V. Sambamurthy. (2003). Sources of influence on beliefs about information technology use; An empirical study of knowledge workers. MIS quarterly, 27(4), 657-678. DOI : 10.2307/30036552 

  30. D. Gefen, E. Karahanna & D. W. Straub. (2003). Trust and TAM in online shopping; an integrated model. MIS quarterly, 27(1), 51-90. DOI : 10.2307/30036519 

  31. R. R. Dholakia, M. Zhao, N. Dholakia & D. R. Fortin. (2000). Interactivity and revisits to websites: A theoretical framework. working paper, 1-19. 

  32. S. J. McMillan & J. S. Hwang. (2002). Measures of perceived interactivity: An exploration of the role of direction of communication, user control, and time in shaping perceptions of interactivity. Journal of Advertising, 31(3), 29-42. DOI : 10.1080/00913367.2002.10673674 

  33. Y. Liu & L. J. Shrum. (2002). What is interactivity and is it always such a good thing? Implications of definition, person, and situation for the influence of interactivity on advertising effectiveness. Journal of advertising, 31(4), 53-64. DOI : 10.1080/00913367.2002.10673685 

  34. J. S. Dyer, P. C. Fishburn, R. E. Steuer, J. Wallenius & S. Zionts. (1992). Multiple criteria decision making, multiattribute utility theory: the next ten years. Management science, 38(5), 645-654. DOI : 10.1287/mnsc.38.5.645 

  35. L. Ha & E. L. James. (1998). Interactivity reexamined: A baseline analysis of early business web sites. Journal of Broadcasting and Electronic Media, 42(4), 457-474. DOI : 10.1080/08838159809364462 

  36. J. P. Woo. (2016). Professor Woo Jong-pil's concept and understanding of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Amos 4.0-20.0 public. Seoul: Hannarae Academy. 

  37. S. S. Kim, K. S. Han, B. S. Kim, S. K. Park & S. K. Ahn. (2011). An empirical study on users intention to use mobile applications.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 9(8), 213-228. 

  38. M. M. Tsang, S. C. Ho & T. P. Liang. (2004). Consumer attitudes toward mobile advertising: An empirical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Electronic Commerce, 8(3), 65-78. 

  39. G. Y. Noh, M. S. Kwon & H. J. Jang. (2014). The acceptance model of telemedicine for chronic disease in rural community. Journal of Contents Association, 14(8), 287-296. DOI : 10.5392/JKCA.2014.14.08.287 

  40. V. Venkatesh. (2000). Determinants of perceived ease of use: Integrating control, intrinsic motivation, and emotion into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11(4), 342-365. DOI : 10.1287/isre.11.4.342.11872 

  41. H. P. Lu & Y. J. S. Philip. (2009). Factors affecting purchase intention on mobile shopping web sites. Internet Research, 19(4), 442-458. DOI : 10.1108/1066224091098139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