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료의 편의성과 병원 접근성 증진을 위한 스마트 어플리케이션 콘텐츠의 질적 분석
Quality Analysis of Smart Application Contents for the Convenience of Care and Hospital Access 원문보기

병원경영학회지 = Korea journal of hospital management, v.25 no.1, 2020년, pp.1 - 12  

이재빈 (공주대학교 간호보건대학 보건행정학과) ,  김지혜 (공주대학교 간호보건대학 보건행정학과) ,  복정희 (공주대학교 간호보건대학 보건행정학과) ,  우혜경 (공주대학교 간호보건대학 보건행정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whether the contents of hospital reservation and reception applications(apps) are qualitatively useful in meeting the needs of medical consumers and improving hospital accessibility and convenience. Methodology: (1) identify consumer needs through soci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병원 예약 및 접수 앱들의 콘텐츠가 의료소비자들의 니즈를 충족시키고 병원 접근성 및 편의성 개선에 있어 질적으로 유용한지에 대해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소셜 데이터 웹 마이닝을 이용하여 의료소비자의 니즈를 파악하고 이를 반영한 콘텐츠와 예비분석을 통해 파악된 주요 콘텐츠들의 도메인을 기술하였다.
  • 본 연구는 소셜 데이터 웹 마이닝을 통해 의료소비자들의 니즈를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진료의 편의성 및 접근성 개선을 위한 앱들의 콘텐츠의 현황 파악과 앱의 질 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Instagram, Community(Naver Blog)의 자료를 이용하여 의료소비자의 주요 니즈를 파악하였다.
  • 본 연구는 의료소비자들의 주요 니즈를 파악하고 병원 예약 및 접수 앱들의 콘텐츠 현황 파악 및 앱의 질을 평가하였다. 현재 헬스케어 스타트업들이 진료의 접근성과 편의성을 위해 많은 앱들을 개발하고 있으나 소비자의 니즈를 반영하고 질적으로 높은 수준을 갖춘 앱들은 일부에 불과했다.
  • 이에 본 연구는 (1)소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의료소비자들의 관심도와 니즈를 파악하고, (2)국내에 출시된 진료의 편의성과 접근성을 개선시키기 위한 앱의 주요 콘텐츠 현황을 기술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3)검증된 모바일 앱 평가 도구를 이용하여 앱의 질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 그러나 국내에서는 앱 콘텐츠의 질 평가 연구는 거의 이루어진 바 없으며, 현재 활용 되고 있는 병원 찾기 및 예약 접수의 앱들이 의료소비자들의 니즈를 만족시키고 질적으로 우수한 지에 대한 평가 역시 전무하다. 이에 본 연구는 (1)소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의료소비자들의 관심도와 니즈를 파악하고, (2)국내에 출시된 진료의 편의성과 접근성을 개선시키기 위한 앱의 주요 콘텐츠 현황을 기술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3)검증된 모바일 앱 평가 도구를 이용하여 앱의 질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모바일 헬스 앱의 질 평가 및 리뷰가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모바일 헬스 앱의 질 평가 및 리뷰는 소비자들이 직접 평가한 점수인 별점의 신뢰성을 보완하고 다양한 앱 콘텐츠를 합리적으로 이용 및 선택하는데 도움을 준다는 점에 서 중요하다[9]. 이와 같은 이유로 최근 국외에서는 만성 질환을 비롯한 모바일 헬스 앱의 질 평가 연구가 다수 이루어지기 시작했다[10, 11].
대형 병원 집중화 현상의 가장 큰 원인 중 하나는 어디에서 비롯되는가? 그러나 의료소비자들의 대형병원 집중화 현상이 지속되고 있어 보건의료전달체계의 구조개혁으로 일차보건의료서비스 강화라는 방향성이 그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다[2, 3]. 대형 병원 집중화 현상의 가장 큰 원인 중 하나는 의료소비자들이 자신에게 적합한 의료기관을 선택할 수 있는 정보 부족에서 일부 비롯된다[4]. 한편 정보 통신 기술 발달에 힘입어 의료소비자들이 접할 수 있는 일차 의료기관에 관련한 정보의 양이 많아졌지만 정보의 옳고 그름을 판단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이 부족하여 정보의 실용성 또한 명확하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5].
모바일 헬스케어가 일차보건의료의 접근성을 강화할 수 있는 수단으로써 가능성을 보이는 이유는 무엇인가? 최근 모바일 헬스케어가 일차보건의료의 접근성을 강화할 수 있는 수단으로써 가능성을 보이고 있다. 모바일 헬스케어 중 지속적인 점유율 증가를 보이고 있는 모바일 헬스 어플리케이션(이하 모바일 헬스 앱) 분야에서 의료 기관 정보를 검색하고 찾을 수 있는 병원 찾기 및 예약 접수 앱이 개발되고 있기 때문이다[6, 7]. 모바일 헬스 앱은 언제 어디서나 필요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생활밀착형 특성을 지니고 있어 앱 사용자들에게 큰 인기를 얻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Shin, K, Lee T, Improving the measurement of the Korean emergency medical System's spatial accessibility. Applied Geography. 2018;100: p.30-38. 

  2. Lee MW, A Study on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of Demand Concentration in Large Hospitals. Seoul:Korea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Policy Studies; 2016; 

  3. Yoon SJ. The Concept of Daily Care and Current Status of Healthcare Supply in Korea. Korea Medical Association. 2012;10(3):12-17. 

  4. Kang HJ, Policy Direction for De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Patients to Extra-large Hospitals. Health and Welfare Forum. 2014;210(-):65-76. 

  5. Ha OH, Jung YM, The Purpose of Hospital Information Usage by Medical Consumers and the Practicability of the Acquired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4;14(7):376-385. 

  6. Jeong JS, Park JM, Noh GY, Factors influencing intention to continuous use of mobile healthcare apps: The breakdown of perceived ease of use. Journal of Cybercommunication Academic Society. 2019;36(2):81-117. 

  7. Park SJ, Analysis of mobile application for improving usability of information retrieval of health care. KSDS Conference Proceeding. 2018;2018(6):44-45. 

  8. Han AR, Effects of Mobile Healthcare Application Use and SMS/MMS as Physical Activity Intervention on the Levels of Physical Activity. Yonsei University Graduate School Seoul. 2016;15(2):33-59 

  9. Stoyanov, S.R, et al. Mobile app rating scale: a new tool for assessing the quality of health mobile apps. JMIR Mhealth Uhealth. 2015;3(1):27. 

  10. Masterson Creber, R.M, et al. Review and Analysis of Existing Mobile Phone Apps to Support Heart Failure Symptom Monitoring and Self-Care Management Using the Mobile Application Rating Scale (MARS). JMIR Mhealth Uhealth. 2016;4(2):74. 

  11. Kim, B.Y, et al. Consumer Mobile Apps for Potential Drug-Drug Interaction Check: Systematic Review and Content Analysis Using the Mobile App Rating Scale (MARS). JMIR Mhealth Uhealth, 2018;6(3):74. 

  12. Kyung-Soon Cho, Hiyn-Ju Lee. Accessibility of Medical Care in an Elderly Population.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g, 2000;12(4):641-653. 

  13. Yi YJ, Kim EJ. The Effects of Accessibility to Medical Facilities and Public Transportation on Perceived Health of Urban and Rural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Development Association. 2015:27(1):65-87. 

  14. Min YK. A Study on the Attraction of Senior General Hospitals. Research Institute for Healthcare Poilcy Korean Medical Association. 2019;17(2):41-44. 

  15. Kim YS. Reorienting health services.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015;32(4):59-65. 

  16. Choo MJ, 2017 Health and Medical Policy Proposal for the People. Korean Medical Association. 2017;p. 1-150. 

  17. Seo YI, Kwon HE. Case Study: Mobile screen design and implementation for medical servic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016;2016(6):475-477. 

  18. Song SJ, et al. mHealth Service Trends. Communications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cientists and Engineers. 2012;30(11):46-52. 

  19.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7 Digital Healthcare Entry Support Project Report. 2018. 

  20. Heo JH, Kim HW, Yoon YR. A study of communication protocol between mobile application and medical device for administration of chronic disease based on IEEE 11073. Proceedings of Symposium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2016;2016(6):1139-1140. 

  21. Seo JM, et al. Real-time Medical And PACS Information System Based on Mobile Networks.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2011; 19(2):343-345. 

  22. Lee HJ, Kim YH. Open Platform for Improvement of e-Health Accessibility.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2017;18(7):1341-1346. 

  23. Ko YK. The Relationships among Waiting Time, Patient's Satisfaction, and Revisiting Intention of Outpatients in General Hospital. Jo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0;16(3):219-228. 

  24. Kharrazi, H, et al. Mobile personal health records: An evaluation of features and functionality. International Journal of Medical Informatics. 2012;81(9):579-593. 

  25. Abd-alrazaq, A.A., et al. Factors that affect the use of electronic personal health records among patients: A systematic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Medical Informatics. 2019;126: p.164-175. 

  26. Jung, W., The Effect of Representational UI Design Quality of Mobile Shopping Applications on Users' Intention to Shop. Procedia Computer Science. 2017;121: 166-169. 

  27. Salazar, A., et al. Measuring the Quality of Mobile Apps for the Management of Pain: Systematic Search and Evaluation Using the Mobile App Rating Scale. JMIR Mhealth Uhealth, 2018;6(10):e10718. 

  28. Knitza, J., et al. German Mobile Apps in Rheumatology: Review and Analysis Using the Mobile Application Rating Scale (MARS). JMIR Mhealth Uhealth. 2019;7(8):e14991.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