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에 따른 의료이용의 차이 분석
An Analysis Of The Differences In Medical Use By Region 원문보기

병원경영학회지 = Korea journal of hospital management, v.25 no.1, 2020년, pp.13 - 20  

서우순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보건학과 보건행정학 전공) ,  김재현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보건학과 보건행정학 전공) ,  이옥희 (경동대학교 의료생명보건대학 보건관리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s: This study has the purpose to the improvement of health promotion for local residents through delivery of high-quality medical service by improving imbalance of medical use and seeking an improvement plan for accessibility of effective medical service by understanding the pattern of medic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한국노동연구원에서 실시하는 2018년 제7 차 고령화 연구 패널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지역별 의료이용 실태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고령화 연구 패널조사 (KLoSA)는 고령자의 사회, 경제, 심리, 인구학적 형성 및 건강상태 등을 측정 및 파악하고 사회경제정책 수립에 활용될 기초자료를 생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원표본은 2006년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의 만 45세 이상의 조사대상자 중 임의표집된 10,254명이다.
  • 연구결과에 의해 지역 특성에 맞는 의료이용 패턴을 파악 하여 지역의료 접근성을 위한 효율적인 구조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또한 지역주민의 개인적인 건강수준에 따라 지역 의료시설을 이용할 것으로 기대하여 가정간호 방문제도의 확대 및 의료공동체인 보건의료 커뮤니티 케어센터 등 지역보건의료기관 등을 이용한 지역주민의 지역적 특성과 개인별 환경에 따른 맞춤형 지역의료이용의 정책수립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의료이용의 지역적인 불균형을 양상 시킨 요인을 지역 경제소득수준의 차이에 따라 분석한 기존 연구와는 달리 만성질환의 중증도와 의료보장의 유형 및 경제 활동여부에 따른 의료이용의 차이 등으로 분석하여 의료 이용자의 개인적 욕구에 따른 차이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해 지역 특성에 맞는 의료이용 패턴을 파악 하여 지역의료 접근성을 위한 효율적인 구조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의료이용의 지역적인 불균형의 요인을 파악하고자 수행되었으며, 결과를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한국노동연구원에서 실시하는 2018년 제7 차 고령화 연구 패널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지역별 의료이용 실태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고령화 연구 패널조사 (KLoSA)는 고령자의 사회, 경제, 심리, 인구학적 형성 및 건강상태 등을 측정 및 파악하고 사회경제정책 수립에 활용될 기초자료를 생산하는 데 목적이 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에 따른 의료이용의 차이를 분석하여 지역적인 불균형을 해결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수행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의료이용의 지역적인 불균형을 양상 시킨 요인을 지역 경제소득수준의 차이에 따라 분석한 기존 연구와는 달리 만성질환의 중증도와 의료보장의 유형 및 경제 활동여부에 따른 의료이용의 차이 등으로 분석하여 의료 이용자의 개인적 욕구에 따른 차이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해 지역 특성에 맞는 의료이용 패턴을 파악 하여 지역의료 접근성을 위한 효율적인 구조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또한 지역주민의 개인적인 건강수준에 따라 지역 의료시설을 이용할 것으로 기대하여 가정간호 방문제도의 확대 및 의료공동체인 보건의료 커뮤니티 케어센터 등 지역보건의료기관 등을 이용한 지역주민의 지역적 특성과 개인별 환경에 따른 맞춤형 지역의료이용의 정책수립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이로서 전국 1일 생활권이라는 목표 하에 고속도로 개통 및 KTX·SRT 등의 고속열차 운행등 교통편의시설의 개선을 우선시하였다.
  • 특히, 박경돈 (2012)은 지방 불균형적 발전과 수도권의 집중화 현상의 영향으로 의료이용의 지역적 격차가 크다고 주장하여 대중교통의 발달에 의해 의료시설의 지역적 편차는 지역주민의 의료이용패턴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고 하였다[3]. 이와 같은 기존의 선행연구결과에 따라서 국가 정책방안은 지역경제 소득 수준에 따른 의료이용의 지역적 차이에 관점을 두고 지역경제 활성화 지원정책으로 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이로서 전국 1일 생활권이라는 목표 하에 고속도로 개통 및 KTX·SRT 등의 고속열차 운행등 교통편의시설의 개선을 우선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에 따른 의료이용의 차이를 분석하여 지역적인 불균형을 해결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수행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무엇인가? 첫째, 의료보장의 유형과 의료이용의 지역적 차이의 상관성은 크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만성질환이 많을수록 입원진료를 선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현재 노동을 하고 있는 경우 평균입원일수보다 평균외래방문횟수가 유의하게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경제활동의 유무에 따라 외래통원치료를 선택하는 것으로 개인적인 소득활동과 의료이용과의 상관성이 있음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향후 경제 활동자를 위한 의료이용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여 치료시기의 지연 및 질환이 심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우리나라 헌법 제34조 1항은 무엇인가? 우리나라 헌법 제34조 1항에는 "모든 국민은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를 가진다."라고 명시되어 있다.
고령화 연구 패널조사에는 어떤 목적이 있는가? 본 연구는 한국노동연구원에서 실시하는 2018년 제7 차 고령화 연구 패널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지역별 의료이용 실태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고령화 연구 패널조사 (KLoSA)는 고령자의 사회, 경제, 심리, 인구학적 형성 및 건강상태 등을 측정 및 파악하고 사회경제정책 수립에 활용될 기초자료를 생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원표본은 2006년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의 만 45세 이상의 조사대상자 중 임의표집된 10,254명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Lim Nam gu. Differences in Medical care Utilization by Regional Economic Status.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2013. Oct;11(10):459-467 

  2. Lee Jung chan, Park Jae san, Kim Han nah, Kim Kye hyun. Healthcare utilization and expenditure depending on the types of private health insurance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 Hospital Management Association No, 2014. Vol19 No4. 

  3. Park Kyoung don. Study on Regional Disparities in Healthcare Utilization: Using Spatial Dependence. Busan : The Korea Association for Local Government Studies, 2012 

  4. Shin Ho sung. Spatial Analysis of Regional Medical Use for Major Diseases. Health and Welfare issue and focus.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1 

  5. Shin Ho sung. Regional inequality in Medical Use : The Importance of Regional Unit Approach. Seoul :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2, 145.Paragraph signal. 

  6. Lee Yong jae. An Analysis on the Equilibrium of Medical Use by Income Classes. Korean Social Policy, 2008, 17: 267-290 

  7. Lee Bo woo. The Study on Regional Variation of Unmet Needs for Health Care in Korea. Department of Public Health, The Graduate School Konyang University NonSan ChungNam, Korea, 2017 .2 

  8. Park Il soo, Lee Dong heon.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Health Insurance Service Data in Regional Health Care : Focused on Cancer Patients.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Health Insurance Policy Institute, 2010 

  9. Jeon Bo young, Choi Su min, Kim Chang yeop. Socioeconomic Equity in Regional Distribution of Health Care Resources in Korea. Korea J. of Health Policy & Administration March, 2012 Vol. 22, No. 1, 85-108 

  10. Kang Am gu. An Analysis of the Equity in Health Service Utilization with the Regional Distribution of Health Care Resources. Social Security Studies, 2007. Vol. 23-2 

  11. Kim Hyo jeong, Kim Young hoon. Classification of Healthcare Decline and Analysis on the Healthcare Outcomes. Journal of the Korea Hospital Management Association No, 2017. Vol22 No4. 

  12. Ahn Byung ki. Factors affecting the use of public holiday in emergency room of advanced general hospital, Journal of the Korea Hospital Management Association No, 2017. Vol 22 No4. 

  13. Oh Young ho, Shin Ho sung, Lee Sang young, Kim Jin hyun. A Study on the Optimal Distribution of Health Care Resources by Region and Policy Implans.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07. 

  14. Yoon Hee sook. A Study on the Promotion of Public Health according to the Regional Distribution of Medical Resources. Policy Research Series, 2006-09. KDI. 

  15. Lee Yong jae. The Influence of Regional Characteristics on the Unequality of Health Care Resource Distribution. Circumstances and Welfare, 2005, 21: 49-78 

  16.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http://www.law.go.kr/ 

  17. Korea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http://kosis.kr/index/index.do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