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IM/GIS 플랫폼 기반 건축물 지진 안전 통합관리시스템
BIM/GIS Platform-Based Seismic Damage Assessment System for Building Structures 원문보기

한국공간구조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Spatial Structures, v.20 no.1, 2020년, pp.18 - 22  

신지욱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국민생활연구본부) ,  최현상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미래융합연구본부) ,  유영찬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국민생활연구본부)

초록이 없습니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기사는 BIM/GIS 기반의 건축물 지진 안전 통합 관리시스템을 소개하였다.
  • 본 기사는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 개발 중인 BIM /GIS 플랫폼 기반 건축물 지진통합관리시스템의 전체 구성과 플랫폼에 탑재된 모듈 및 엔진에 대하여 기술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축물의 내진 성능 평가를 위한 정보 추출 모듈의 정보 소스는 무엇으로 구성되는가? 건축물의 내진 성능 평가를 위한 정보 추출 모듈의 정보 소스는 Digital 데이터(BIM 모델, 구조 해석 모델 등)와 Non-digital 데이터(이미지 및 종이 도면, 도면 미확보 건축물 등)로 구성하였으며, 해당 모듈은 이를 효율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 BIM 모델은 내진 성능 평가 외에 건축물 관리 등의 목적으로 개별 건축물에 대한 방대한 양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BIM/GIS 기반의 건축물 지진 안전 정보플랫폼은 어떤 시스템 및 모듈로 구성되어 있는가? BIM/GIS 기반의 건축물 지진 안전 정보플랫폼은총 3개의 시스템 및 모듈(① 내진 성능 평가 핵심 정보 추출 모듈, ② 내진 성능 평가 모듈, ③ BIM/GIS 정보플랫폼)로 구성되어 있다. 정보 추출 모듈은 건축물의 내진 성능 평가에 필요한 핵심 정보(수직 부재의 크기 및 상세, 구조 형식, 건축물 높이, 지반 등급 등)를 추출하는 기능(Input 생성)을 수행하고, 여기서 추출된 핵심 정보는 BIM/GIS 정보플랫폼에 저장된다.
기존 건축물의 내진 성능 평가 및 내진 보강이 현장 계측 방법에 의존한 이유는?   국내 기존 건축물의 경우 자료 손실 및 관리 미숙 등의 이유로 내진 성능 평가를 위한 정보를 확인하고 추출할 수 있는 기본 도면이 없는 경우가 대다수이다. 때문에 기존 건축물의 내진 성능 평가 및 내진 보강은 현장 계측 방법에 의존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KICT). (2017). Development of Convergence Technology on Construction Information & Spatial Information based on BIM/GIS Interoperability (Report No. TRKO 201700000963). Republic of Korea 

  2. IAI. (2020, February 17). "IFC Specifications Database", Retrieved from https://technical.buildingsmart.org/standards/ifc/ifc-schema-specifications/ 

  3. HottScan GmbH. (2020, February 17). HottScan HS-1 specifications, Retrieved from http://www.hott-scan.com 

  4. Japan Building Disaster Prevention Association. "Standard for Seismic Evaluation of Existing Reinforced Concrete Buildings", 2001. 

  5.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Korea. "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 for Existing Buildings", 2011. 

  6. MathWorks. Matlab, The MathWorks, Inc., Natick, MA, USA, 2018 

  7. Mazzoni, S., McKenna, F., Scott, M. H., & Fenves, G. L., "OpenSees Command Language Manual", Pacific Earthquake Engineering Research (PEER) Center 264, 2006 

  8. Feder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FEMA). "Multi-Hazard Loss Estimation Methodology, Hazus-MH 2.1 Technical Manual-Earthquake Model", USA,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