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열가압 리튬 디실리케이트 전장도재와 지르코니아 하부구조의 전단결합강도 평가
Adhesion between heat-pressed lithium disilicate veneer and zirconia framework: Shear bond strength evaluation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1 no.3, 2020년, pp.335 - 341  

김재홍 (부산가톨릭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치기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shear bond strength을 이용하여 pressed lithium disilicate 전장도재와 zirconia core의 접착을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Zirconia blank(Zirtooth, HASS, Gangneung, Korea)에 각 pressed ceramic(IPS e.max Zirpress, Vita PM9, GC Initial IQ, HASS Rosetta UP)이 적용된 시편을 제작하였다(N=40). 전단결합강도를 비교 평가하기 위해 The Schmitz-Schulmeyer test method을 이용하였고 산출된 파괴하중의 값을 분석했다. 산출된 네 가지 전단결합강도 값들 간의 평균 비교는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통해 이루어졌고, Tukey의 사후검정을 실시하여 서로 간의 평균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검증하였다. 또 파절면의 3D 분석을 통하여 파괴 표면을 관찰하여, 그 파괴 양상도 분류하였다. 실험군별 전단결합강도는 IPS e.max Zirpress 16.69±3.11MPa, VITA PM9 14.21±3.63MPa, GC Initial IQ 11.17±2.92MPa, HASS Rosetta SM 27.90±5.71MPa이었으며, Lithium disilicate ceramic veneer(HASS Rosetta SM)의 결합 강도는 다른 제품들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05). 또, 파괴면의 유형 분류 결과, 모든 시편에서 cohesive 파괴는 관찰되지 않았고 주로 adhesive와 cohesive가 같이 조합된 파괴 유형이 관찰되었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해서 pressed lithium disilicate 전장도재가 기존의 pressed to zirconia system보다 나은 접착력을 보여주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shear bond strength between the zirconia core and pressed lithium disilicate veneering ceramics. The Schmitz-Schulmeyer test method was used to investigate the core-veneer shear bond strength of industrially manufactured zirconia core ceramic (Zirtooth, HASS, Gangneung, Korea...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선행된 연구에서 기존 다른 재료들과 zirconia와의 접착은 연구되어 왔으나[26], lithium disilicate 전장도재와 zirconia 하부구조물의 접착에 관한 연구는 이루어진 바가 없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가압된 lithiumdisilicate 전장도재와 다른 가압 ceramic 전장도재가보여주는 접착을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니어 포세린 자체의 파절이 가능한 이유는? 그리고 이런 비니어 포세린 자체의 파절이 가능한 이유로는 열팽창계수(CTE)의 mismatch에 의한 과도한 인장응력[14], 포세린이 들어가는 미세 구조지역의 기공발생에 의한 기계적인 결함[15], 하부구조물의 부족한 지지 또는 표면 결함[16, 17], 과도하게 주어지는 힘 또는 피로[18], 불충분한 결합강도[19], 그리고 전장도재의 낮은 파괴 저항성[20] 등이 있다. 이러한 결과들로 미루어보아, 파절 저항성과 물성을 개선시킨 전장 재료를 사용해야만 포세린 파절의 파손율을 낮추는 것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zirconia-ceramic system이 무엇인가 그러나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약간의 빛 투과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기존의 ceramic 보다 우수한 굴곡 강도와 파괴인성을 가지는 zirconia를 이용한 zirconia-ceramic system이 소개되었다[5]. 그리고 최근에는 이러한 system의 발전으로 기존의 pressingtechnique을 이용하여 zirconia 하부구조물 위에 glass-ceramic을 적층 시키는 구조의 세라믹이 널리 퍼져있다[6].
glass-ceramic을 적층 시키는 구조의 세라믹의 특징은? 그리고 최근에는 이러한 system의 발전으로 기존의 pressingtechnique을 이용하여 zirconia 하부구조물 위에 glass-ceramic을 적층 시키는 구조의 세라믹이 널리 퍼져있다[6]. 이것은 zirconia 소재를 기반으로 왁스 소환법을 통해 해부학적인 wax-up 하여 매몰, 소환한 후 세라믹 인고트(ingot)를 가압하는 방법으로써 소결 전에 zirconia 하부구조물로 지지 되어있는 납형을 구강 내에서 미리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올려지는 ceramic의 기계적인 특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7], 기존의 hand-layer technique 과정 중에 발생되는 다수의 소성에 의해 수축이 최소화 된다. 이는 지대치와 도재 부위의 변연이 좋은 적합도의 결과로 이어지게 되고[8, 9], 수복물의 빠르고 쉬운 생산을 가능하게 한다[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