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외국인 근로자의 심리적 행복감 영향요인
Influential Factors of Psychological Well-Being of Migrant Workers 원문보기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31 no.1, 2020년, pp.54 - 64  

정한나 (고신대학교 일반대학원 간호학과) ,  김영숙 (고신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related factors of psychological well-being of migrant workers in Korea. Methods: The subjects were 138 migrant workers residing legally in K or B Cities. Data were collected from July 1 to August 31, 2018, using self-report structured questionnaires that were t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의의는 국내 노동시장의 인력난 해소에 일조하는 외국인 근로자들의 정신적 건강 요소인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한 점이라 할 수 있다. 더불어, 현재까지 국내 · 외에서 외국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를 동시에 고려하여 심리적 행복감의 영향요인 연구가 미비한 상황에서, 본 연구가 외국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이를 규명하고자 시도된 점이라 할 수 있겠다.
  • 본 연구는 K지역과 B광역시에 소재한 기업체에 근무하는 외국인 근로자 138명을 대상으로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본 연구결과 외국인 근로자의 심리적 행복감의 가장 큰 영향요인은 사회적 지지로 나타났고, 그다음으로 지각된 건강상태, 학력, 한국 생활에 도움을 주는 지원자 순으로 확인되었다.
  • 본 연구는 외국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문화적응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심리적 행복감 정도 및 관계를 파악하고 심리적 행복감의 영향요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외국인 근로자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 본 연구의 의의는 국내 노동시장의 인력난 해소에 일조하는 외국인 근로자들의 정신적 건강 요소인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한 점이라 할 수 있다. 더불어, 현재까지 국내 · 외에서 외국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를 동시에 고려하여 심리적 행복감의 영향요인 연구가 미비한 상황에서, 본 연구가 외국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이를 규명하고자 시도된 점이라 할 수 있겠다.
  • 특히 외국인 근로자가 타국에서 적응하기 위해 반드시 극복해야 하는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상황에서 개인을 보호하는 기능인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한 선행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외국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문화적응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및 심리적 행복감 정도를 확인하고 외국인 근로자의 심리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함으로써 외국인 근로자의 정신건강 향상을 위해 심리적 행복감 증진 프로그램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외국인 근로자의 증가 이유는? 우리나라는 1990년대 산업연수생제도가 생긴 이후부터 현재까지 외국인 근로자의 수는 꾸준히 증가하여, 2018년 100만 명에 이르렀다[1]. 외국인 근로자의 증가 이유는 국내 저출산,고령화 및 단순 노무직 기피 현상으로 영세 ․ 중소기업체의 인력이 부족하게 되면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외국인 근로자의 수용은 불가피하게 되었기 때문이다[2]. 이로 인해 국내 노동시장에서는 외국인 인력에 대한 의존성이 높아지게 되었고, 외국인 근로자들은 한국 노동시장의 일정 부분을 전담하게 되어 한국 사회에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사회구성원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1,3,4].
국내 노동시장의 외국인 인력에 대한 중요도는? 외국인 근로자의 증가 이유는 국내 저출산,고령화 및 단순 노무직 기피 현상으로 영세 ․ 중소기업체의 인력이 부족하게 되면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외국인 근로자의 수용은 불가피하게 되었기 때문이다[2]. 이로 인해 국내 노동시장에서는 외국인 인력에 대한 의존성이 높아지게 되었고, 외국인 근로자들은 한국 노동시장의 일정 부분을 전담하게 되어 한국 사회에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사회구성원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1,3,4]. 외국인 근로자들의 증가는 인력난 해소와 기업의 생산성 향상과 같은 긍정적인 경제적 효과도 있는 반면 이들이 한국 사회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화적응 스트레스,부적응, 갈등과 같은 부정적인 사회 현상도 발생하게 된다[5-7].
외국인 근로자의 심리적 행복감을 낮추는 요인은? 또한, 타 문화로부터 이주한 외국인 근로자는 익숙한 환경을 떠나 상실감, 정체성 혼란, 지각된 차별감 등으로 새로운 문화에 적응하는 데 어려움을 경험하게 되는데[4,9]. 특히, 높은 수준의 차별, 언어갈등, 법적 지위의 문제는 우울 발병률을 높이고 이주 노동자의 정신건강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5,15]. 그러므로 외국인 근로자의 심리적 행복감에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Statistics Korea. Immigrant status and employment survey results by 2018[Internet]. Daejeon. Statistics Korea. 2018. cited 2018 December 19.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1/3/1/index.board?bmode=read&aSeq=372125 

  2.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Kim 33 5 63 2014 

  3.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Kim 15 8 277 2017 

  4.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Lee 39 6 899 2009 10.4040/jkan.2009.39.6.899 

  5.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Jeon 26 4 380 2015 10.12799/jkachn.2015.26.4.380 

  6.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Research Jung 34 1 2013 

  7.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Son 11 4 341 2013 

  8. Procedia Manufacturing Liu 3 2281 2015 10.1016/j.promfg.2015.07.373 

  9. Yoon YH. Study on psychological well-being of foreign workers in Korea: mainly of Chinese and Korean-Chinese workers [master's thesis]. [Daejeon]:Hannam University; 2011. 

  10.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Lee 17 2 361 2016 10.5762/KAIS.2016.17.2.361 

  11. 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 Carolan 19 7 e271 2017 10.2196/jmir.7583 

  12. Korean Journal of Sport Psychology Yang 9 2 113 1998 

  13.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Li 15 5 900 2018 10.3390/ijerph15050900 

  14.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Jung 16 5 497 2016 10.5392/JKCA.2016.16.05.497 

  15.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Alderete 27 4 457 1999 10.1002/(SICI)1520-6629(199907)27:4<457::AID-JCOP7>3.0.CO;2-D 

  16. Quality of Life Research Helgeson 12 Suppl 1 1 25 2003 10.1023/A:1023509117524 

  17. Park JW. A study to development a scale of social support[dissertation]. [Seoul]:Yonsei University; 1985. 

  18. Korean Review of Corporation Management Lee 6 2 35 2015 10.20434/krmc.2015.08.6.2.35 

  19. Asia Pacific Psychiatry Ren 11 2 e12332 2019 10.1111/appy.12332 

  20. Journal of the World Society of Taekwondo Culture Kim 9 1 79 2018 10.18789/jwstc.2018.18.79 

  21. The Korea Journal of Sports Science Choi 26 3 185 2017 10.35159/kjss.2017.06.26.3.185 

  22. Psychological Assessment: A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Cervantes 3 3 438 1991 10.1037/1040-3590.3.3.438 

  23. Ban SH. Acculturation types of internationally married migrant women based on social support [master's thesis]. [Seoul]:Kyonggi University; 2008. 

  24. Journal of Korean Physical Education Association for Girls and Women Park 24 5 57 2010 

  25. The Mental Health-Seoul Mental Health Welfare Center Kim 7 1 22 2017 

  26. Korean Comparative Government Review Kwon 15 1 275 2011 10.17089/kgr.2011.18.2.012 

  27. The Academy of Asian Cultural Studies Kwon 9 2 25 2018 

  28. Quality of Life Research Zhu 21 3 495 2012 10.1007/s11136-011-9950-3 

  29. Journal of Community Welfare Won 38 29 2011 

  30. The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Ham 9 1 111 2012 10.16983/kjsp.2012.9.1.11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