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라산 구상나무 치수의 10년간 생장 변화
Growth Changes in Abies koreana Seedlings of the Hallasan Mountain Over a 10-year Period 원문보기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 한국환경과학회지, v.29 no.3, 2020년, pp.209 - 218  

송국만 (국립산림과학원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 ,  김재훈 (국립산림과학원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 ,  최형순 (국립산림과학원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monitor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Abies koreana seedlings in the Hallasan Mountain. Accordingly, the obtained results indicate that the number of A. koreana seedlings increased by 2.6 and 4.8 times in the Yeongsil and Jindallaebat areas, respectively, over the 10-yea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구상나무의 종자 산포에 의한 치수의 발생과 이들 개체의 지속적인 생장은 구상 나무숲의 유지와 발달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지만 치수의 발생과 생장에 관련된 지속적인 연구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라산 구상나무숲에서 발생하는 구상나무 치수를 대상으로 지속적인 생육 및 생장 모니터링과 구과량 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구상나무 숲의 식생구조 변화와 구상나무 치수의 발생 변화, 생장량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건전한 구상나무숲의 유지 및 장기생태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수집하는데 목적이 있다. 조사결과, 치수 개체수는 지난 10년간 영실 지역은 2.
  • 본 연구에서는 한라산의 아고산 지역 구상나무숲에서 발생하는 구상나무 치수를 대상으로 지속적인 생육 및 생장 모니터링과 구과량을 조사하여 구상나무 숲의 식생 구조 변화와 구상나무 치수의 발생 추이, 생장량 변화를 분석하여 건전한 구상나무숲의 유지 및 장기생태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수집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IPCC는 무엇을 보고하고 있는가?  IPCC(2014,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는 전세계적으로 관측된 변화로 기후가 온난해지고 있으며, 1950년대 이후 관측된 변화의 대부분은 전례 없던 현상이며, 대기와 해양의 온도 및 해수면이 상승하고 있는 반면 눈과 빙하의 양은 감소하였음을 보고하였다. 지속적인 기온상승 뿐만 아니라 지속된 가뭄과 봄철 이상 저온으로 인한 산림 피해, 집중호우와 태풍으로 인한 산사태 발생 등 국지적이고 돌발적인 환경 변화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KMA, 2018).
한라산에 분포하고 있는 구상나무숲이에서 발생하는 식생 구조의 불균형이 발생하는 이유는? 한라산에 분포하고 있는 구상나무숲의 경우 식생 구조의 불균형, 특히 초본층에서 구상나무 치수의 발생 감소와 상층(수관층)으로의 원활한 개체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아 발생하는 식생 구조의 불균형이 발생하고 있다 (Kim et al., 1991; Lim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hn, U. S. , Kim, D. S. , Yun, Y. S. , Ko, S. H. , Kim, K. S. , Cho, I. S. ,2019, The inference about the cause of death of Korean fir in Mt. Halla through the analysis of spatial dying pattern - Proposing the possibility of excess soil moisture by climate changes, Korean J. Agr. For. Meteoro., 21, 1-28. 

  2. 10.1016/j.foreco.2007.11.022 Antos, J. A. , Parish, R. , Nigh, G. D. ,2008, Growth patterns prior to mortality of mature Abies lasiocarpa in old-growth subalpine forests of southern British Columbia, For. Eco. Mana., 255, 1568-1574. 

  3. Cho, H. K. , Hong, S. G. , Kim, J. J. ,2001, Studies on growth and biomass production of Abies koreana seedlings under different relative light intensity, J. Korea For. Ener., 20, 58-68. 

  4. Chung, J. M. , Lee, S. W. , Lee, K. Y. ,1996, Vegetation structure, regeneration niche, and dynamics of the saplings in Abies koreana forest of the Mt. Chiri, J. Korean For. Soc., 85, 34-43. 

  5. IPCC,2014, Climate change 2014: Synthesis report.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s I, II and III to the fif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Core Writing Team, R.K. Pachauri and L.A. Meyer (eds.)], IPCC, Geneva, Switzerland, 151. 

  6. 10.1016/j.imic.2016.02.001 Kim, E. S. , Oh, C. H. , Park, H. C. , Lee, S. H. , Choi, J. H. , Lee, S. H. , Cho, H. B. , Lim, W. T. , Kim, H. J. , Yoon, Y. K. ,2016, Disturbed regeneration of saplings of Korean fir ( Abies koreana Wilson), an endemic tree species, in Hallasan National Park, a UNESCO Biosphere Reserve, Jeju Island, Korea, J. Mar. Isl. Cul., 5, 68-78. 

  7. Kim, G. B. , Lee, K. J. , Hyun, J. O. ,1998, Regeneration of seedlings under different vegetation types and effects of allelopathy on seedling establishment of Abies koreana in the Banyabong peak, Mt. Chiri, J. Korean For. Soc., 87, 230-238. 

  8. Kim, G. T. , Kim, J. S. , Choo, G. C. ,1991, Studies on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st Banyabong area- Abies koreana forest, Korean J. Environ. Eco., 5, 25-31. 

  9. Kim, H. S. , Lee, S. M. , Song, H. K. ,2011, Actual vegetation distribution status and ecological succession in the Deogyusan National Park, Korean J. Environ. Eco., 25, 37-46. 

  10. 10.13087/kosert.2013.16.5.049 Kim, N. S. , Lee, H. C. ,2013, A Study on changes and distributions of Korean fir in sub-alpine zone, J. Korea Soc. Environ. Res. Tec., 16, 49-57. 

  11. KMA,2018, 2018 Abnormal climate report,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198. 

  12. Koh, J. G. , Kim, D. S. , Kim, J. G. , Ko, Y. J. ,2015, Growth dynamics of Korean fir in Mt. Hallasan, Hallasan Research Report, 14, 9-25. 

  13. Kong, W. S. ,1999,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air temperature and thermal amplitude of alpine plants on Mt. Halla, Cheju Island, Korea, J. Korean Geo. Soc., 34, 385-393. 

  14. Kong, W. S. , Watts, D. ,1993, The plant geography of korea with emphasis on the alpine zones, Kluwer Academic Publishers Dodrecht, 244. 

  15. Koo, K. A. , Park, W. K. , Kong, W. S. ,2001, Dendrochronological analysis of Abies koreana W. at Mt. Halla, Korea: effects of climate change on the growths, Korean J. Eco., 24, 281-288. 

  16. Lee, J. W. ,2016, A Study on the occurrence of seedlings and saplings of Korean fir ( Abies koreana E.H. Wilson) on Mt. Hallasan National Park, M.S, Dissertation, Kookmin University, Seoul, Korea. 

  17. Lee, S. H. , Heo, I. H. , Lee, K. M. , Kim, S. Y. , Lee, Y. S. , Kwon, W. T. ,2008,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phenology and growth of crops in the case of Naju, J. Korean Geo. Soc., 43, 20-35. 

  18. Lee, Y. W. , Hong, S. C. ,1995, Ecological studies on the vegetation characteristics of the Abies koreana forest, J. Korean For. Soc., 84, 247-257. 

  19. Lim, J. H. , Woo, S. Y. , Kwon, M. J. , Chun, J. H. , Shin, J. H. ,2006, Photosynthetic capacity and water use efficiency under different temperature regimes on healthy and declining Korean fir in Mt. Halla, J. Korean For. Soc., 95, 705-710. 

  20. 10.1007/s11284-006-0308-1 Masaki, T., Osumi, K., Takahahi, K. Hoshizaki, K., Matsune, K., Suzuki, W.,2007, Effects of micro -environmental heterogeneity on the seed-to -seedling process and tree coexistence in a riparian forest. Ecological Research, 22, 724-734. 

  21. Moon, H. S. ,1989, A Comparative study of climate in Cheju and Sŏgwipo, M.S,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22. Nam, J. W. ,2014, The study for the community structures of the Korean fir ( Abies koreana ) deadwood-dwelling beetles on Mt. Halla National Park, Jeju Island, Korea, Ph. D. Dissertation, Seoul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23. Oh, S. J. , Koh, J. G. , Kim, E. S. , Oh, M. Y. , Koh, S. C. ,2001, Diurnal and seasonal variation of chlorophyll fluorescence from Korean fir plants on Mt. Halla, Korean J. Environ. Bio., 19, 43-48. 

  24. Park, C. H. , Yun, J. H. , Kim, J. S. , Kim, S. Y. , Lee, B. Y. , Tanaka, N. , Nakao, K. ,2012, Habitat prediction and impact assessment of climate change on korean plants (Ⅱ),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Incheon, Korea, 34. 

  25. Park, I. H. , Kim, G. D. ,1986, Forest structure, biomass, and net production in a natural forest ecosystem at Mt. Baekun Area, J. Korea For. Ener., 6, 1-45. 

  26. Song, K. M. ,2011, Vegetation structure and dynamics of Abies koreana forests on Mt. Halla, Ph. D. Dissertation, Jeju National University, Jeju, Korea. 

  27. 10.5322/JES.2010.19.4.415 Song, K. M. , Kim, C. S. , Koh, J. G. , Kang, C. H. , Kim, M. H. ,2010, Vegetation structure and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Abies koreana forest in Mt. Halla, J. Environ. Sci. Int., 19, 415-425. 

  28. Song, K. M. , Kim, J. , Kang, Y. J. , Choi, H. S. , Jung, S. C. , Lee, S. H. , Lee, J. H. , Koh, J. G. , Kim, J. G. , Lee, K. H. , Hong, Y. P. , Lim, J. H. , Kim, C. S. ,2016, Korea fir of Hallasan Mountain, why are they dying?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ervice, Seoul, Korea. 

  29. Yun, J. H. , Kim, J. H. , Oh, K. H. , Lee, B. Y. ,2010, Vertical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in Jungsanri, Mt. Jiri by temperature gradient, Korean J. Environ. Eco., 24, 680-70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