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뇌파데이터에 기반한 맞춤형 수면유도음향의 실시간제어
Customized Realtime Control of Sleep Induction Sound based on Brain Wave Data 원문보기

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v.23 no.2, 2020년, pp.204 - 215  

위현승 (Dept. of IT Convergence Engineering, Gachon University) ,  이병문 (Dept. of Computer Engineering, Gachon University)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eople who have sleep disorders such as insomnia take a long time to get to sleep, namely sleep latency. In order to reduce it, effective stimulations and environments to induce sleep such as ASMR or pink noise are necessary. However these have different effects and preferences for each individual. ...

주제어

표/그림 (1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서파량이 증가한다는 의미는 깊은 숙면에 취했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또한 각성된 상태라면 서파량의 증가는 뇌의 휴식 및 이완을 의미한다. 그래서 SIS 시스템이 사용자의 이완과 깊은 숙면에 도움이 되는지 측정하는 실험이다.
  • 이런 경우에 적합한 사용자는 극도로 흥분되어 있는 사람에게는 적합하지만 베타파나 서파가 우세파형인 사람에게는 수면을 유도하기 위한 목적으로는 적절치 않는다. 그러므로 뇌파를 이루는 성분을 추정하면 개인의 수면 상태를 알 수 있으며 적절한 음향(소리)제어로 수면유도가 가능한 개인 맞춤형 수면유도음향 제어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 이 데이터를 가지고 SIS 시스템에서는 사용자의 실시간 상태와 사용자에게 미치는 음향효과를 도출하고 가장 적합하고 효과적인 음향을 판단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SIS 모델을 제안하며 그 과정에서 개인 맞춤형 수면유도음향을 제어하는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고자 한다.
  • 본 논문에서 구현한 SIS 시스템이 바로 (3)에서 구동되며 이것을 이용하여 SIS 시스템 동작하도록 하여 분석된 뇌파데이터를 이용하여 수면유도 음향이 스피커(5)로 출력될 수 있도록 실시간 제어를 하도록 하였다. 또한 SIS 시스템을 적용한 이후 사용자의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뇌파 값을 측정하여 얼마만큼의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는지 실험을 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수면유도음향을 이용하여 뇌파데이터 기반 실시간 개인 맞춤형 SIS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기존의 일괄적이고 일방적인 수면케어와 달리 사용자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반영하여 사용자에 적합한 수면유도음향을 제공하였다.
  • 핑크 노이즈는 여러가지 노이즈 기법 중 하나로 특히 수면지연 시간을 줄여주는데 효과가 있다[11-13].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SIS를 이용하여 수면 유도를 지원하는 시스템을 SIS 시스템이라고 정의하고 이것을 제안하고자 한다. SIS 시스템은 뇌파(ElectroEncephaloGraphy, EEG) 데이터를 활용하여 사용자의 개인별 실시간 뇌의 활성도 상태, 적용된 음향의 재생 효과, 사용자의 의도적인 음향 선택과정을 통해 유추한 개인별 음향 선호도(Preference)를 가지고 개인 맞춤형 서비스를 지원한다.
  • 본 논문은 2장의 관련연구에서 뇌파 데이터의 우세파형을 추출하는 방법과 추출된 파형으로 사람의 수면상태를 유추하는 방법을 고찰하였고, SIS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수면유도음향의 효과와 특성에 대해 탐구하였다. 3장에서는 SIS 모델을 제안하여 사용자의 뇌파 데이터에 따라 최적화된 개인 맞춤형수면유도 음향을 제공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 이를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수면을 유도하기 위한 수면유도음향(Sleep Induction Sound, SIS)를 수면케어의 수단으로 제공하는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SIS에 적합한 음향으로써 ASMR(Autonomous Sensory Meridian Response), 핑크 노이즈가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G47의 소분류에는 무엇이 있나? 한국표준 질병분류체계(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of Diseases,KCD)에서도 수면장애(sleep disorders)를 질병코드 G47로 분류하고 있다. G47의 소분류에는 불면증관련 질병(G47.0)과 수면각성장애(G47.2)가 있다. 충분한 수면은 사람의 건강과 활력을 회복시킬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인체의 호르몬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효과적인 수면케어가 되려면 어떻게 되어야 하나? 효과적인 수면케어가 되려면 수면케어 서비스가 접근성이 좋고 심리적 부담이 없어야하며 편안함을 제공하는 사용자 친화적이어야 한다. 현재의 수면케어 서비스에서는 대체적으로 음향, 온열, 빛, 촉각의 요소를 사용하고 있다.
현대인의 수면 장애율이 증가될수록 수면케어의 필요성이 높아지는 이유는? 충분한 수면은 사람의 건강과 활력을 회복시킬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인체의 호르몬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그래서 수면을 적절히 취하지 못할 경우 일상생활에서의 피로감 무기력감을 느낄 수 있지만 심할 경우에는 만성피로, 치매, 우울증, 공황장애와 같은 심각한 질병에 노출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현대인의 수면 장애율이 증가될수록 수면케어의 필요성도 높아지고 있다[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Y. Baek, J. Yoo, S. Lee, and H. Jin, "Domestic Trends of Research and Patent for Sleep Disorder," Life Sciences, Vol. 13, No. 6, pp. 309-317, 2013. 

  2. B.M. Lee and H.J. Hwang, "Virtual Sleep Sensor with PSQI for Sleep Therapy Service,"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Vol. 18, No. 12, pp. 1538-1546, 2015. 

  3. Y. Touitou, A. Reinberg, and D. Touitou, "Shift Work and Cancer Risk: Potential Mechanistic Roles of Circadian Disruption, Light at Night, and Sleep Deprivation," Sleep Medicine Reviews, Vol. 173, No. 4, pp. 94-106, 2017. 

  4. R.J. Raymann, D.F. Swaab, and E.J.W.V. Someren, "Skin Deep: Enhanced Sleep Depth by Cutaneous Temperature Manipulation," Brain, Vol. 131, No. 2, pp. 500-513, 2008. 

  5. F. Paul, M. Schadlich, and D. Erlacher, "Lucid Dream Induction by Visual and Tactile Stimulation: An Exploratory Sleep Laboratory Study," International J ournal of Dream Research, Vol. 7, No. 1, pp. 61-66, 2014. 

  6. B. Chung and H. Park, "Effects of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for Adults with Insomnia in Korea: A Meta-analysis," Korea Academy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8, No. 1, pp. 95-106, 2017. 

  7. J. Lee, EEG and Subjective Analysis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ASMR Sound, Master's Thesis of Hanyang-University, 2019. 

  8. J. Lee and J. Kim, "Analysis of The Relaxing Effect of ASMR Sound Contents,"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Vol. 56, No. 3, pp. 139-145, 2019. 

  9. B. Fredborg, J. Clark, and S.D. Smith, "An Examination of Personality Traits Associated with Autonomous Sensory Meridian Response (ASMR)," Frontiers in Psychology, Vol. 8, No. 247, pp. 1-9, 2017. 

  10. D.H. Moon, "The Effect on Human Body by the Stimuli of Musics and Acoustic Vibrations,"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Power System Engineering, Vol. 12, No. 5, pp. 59-64, 2008. 

  11. T. Kawada and S. Suzuki, "Sleep Induction Effects of Steady 60 dB (A) Pink Noise," Industrial Health, Vol. 31, No. 1, pp. 35-38, 1993. 

  12. U. Will and E. Berg, "Brain Wave Synchronization and Entrainment to Periodic Acoustic Stimuli," Neuroscience Letters, Vol. 424, No. 1, pp. 55-60, 2007. 

  13. B. Kim and M. Whang, "The Effect of White Noise and Pink Noise on the Brain Activity," The J 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7, No. 5, pp. 491-498, 2017. 

  14. M. Kim and J. Seo, "A Control Method of ASMR Contents through Attention and Meditation Detection Based on Internet of Things," Digital Contents Society, Vol. 19, No. 9, pp. 1819-1824, 2018. 

  15. T. Inouye, K. Shinosaki, H. Sakamoto, S. Toi, S. Ukai, A. Iyama, et al., "Quantification of EEG Irregularity by Use of the Entropy of the Power Spectrum," Electroencephalography and Clinical Neurophysiology, Vol. 79, No. 3, pp. 204-210, 1991. 

  16. W.R.W. Omar, R. Jailani, M.N. Taib, R.M. Isa, and Z. Sharif, "Assessment of Acute Ischemic Stroke Brainwave Using Relative Power Ratio," Proceeding of IEEE 9th International Colloquium on Signal Processing and its Applications, pp. 310-313, 2013. 

  17. O. Benoit, A. Daurat, and J. Prado, "Slow (0.7-2 Hz) and Fast (2-4 Hz) Delta Components are Differently Correlated to Theta, Alpha and Beta Frequency Bands during NREM Sleep," Clinical Neurophysiology, Vol. 111, No. 12, pp. 2103-2106, 2000. 

  18. D. Petit, J.F. Gagnon, M.L. Fantini, L. Ferini-Strambi, and J. Montplaisir, "Sleep and Quantitative EEG in Neurodegenerative Disorders,"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Vol. 56, No. 5, pp. 487-496, 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