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휴지 단위와 호흡 단위의 실현 양상 연구
Study on the realization of pause groups and breath groups 원문보기

말소리와 음성과학 =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v.12 no.1, 2020년, pp.19 - 31  

유도영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  신지영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성인 화자의 휴지 단위와 호흡 단위의 실현 양상을 관찰하여, 이것이 인지적 차이나 사회 언어적 변수 간 차이를 어떻게 반영하고 있는지 고찰하는 것이다. 이러한 차이를 고찰하기 위해 과제, 세대, 성별에 따른 발화 길이와 호흡 단위의 실현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청·장년층 남녀 화자 48명의 문단 낭독 발화와 자유 발화를 분석하였다. 과제와 성별 변수는 휴지 단위와 호흡 단위 실현에 모두 영향을 주었다. 발화 길이는 낭독 발화에서, 여성의 발화에서 더 길었고, 호흡 단위의 길이는 자유 발화와 남성의 발화에서 더 길게 나타났다. 한편 세대 변수는 발화 길이 실현에는 영향을 주지 못했지만, 음절 수와 어절 수 실현에는 영향을 주었다. 발화 과제에 따른 차이는 인지적 부담량을 반영한다. 발화 계획이 빈번하게 이뤄져야 하는 자유 발화는 상대적으로 더 짧은 발화 길이를 보인다. 호흡 단위의 길이가 낭독 발화에서 더 짧았던 이유는 낭독 발화의 문장 길이에 영향을 받은 것이다. 성별에 따른 차이는 남성과 여성의 발화 내 휴지 패턴 차이에서 기인하였다. 호흡 단위의 경우 남성이 여성보다 더 긴 길이를 보였는데, 이는 남성과 여성의 폐활량 차이에서 비롯한 것으로 보인다. 세대는 음절 수와 어절 수 실현에만 영향을 주었는데, 이는 세대 간 발화속도 차이에서 기인한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the realization of pause and breath groups from adult speakers and to examine how gender, generation, and tasks can affect this realization.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forty-eight male or female speakers. Their generation was divided into two groups: young,...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발화를 산출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무엇이 필요한가? 긴 길이의 발화를 지속할 때, 화자는 중간 중간 묵음, 즉 휴지를 삽입함으로써 음성을 적당한 양씩 끊어서 산출하게 된다. 발화를 산출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기류 조달이 필요한데, 이를 위해 숨을 들이쉬는 동안에는 음성을 산출할 수 없다. 따라서 발화 내에는 필연적으로 휴지 구간이 생기게 된다.
인간의 음성언어에서 발화 내의 휴지 구간이 나타나는 이유는 무엇인가? 인간의 음성언어는 음성이 산출되는 조음 구간과, 음성이 산출되지 않는 묵음 구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긴 길이의 발화를 지속할 때, 화자는 중간 중간 묵음, 즉 휴지를 삽입함으로써 음성을 적당한 양씩 끊어서 산출하게 된다. 발화를 산출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기류 조달이 필요한데, 이를 위해 숨을 들이쉬는 동안에는 음성을 산출할 수 없다. 따라서 발화 내에는 필연적으로 휴지 구간이 생기게 된다. 이 외에도 발화 내의 휴지 구간은 발화 계획, 발화 전략, 발화 수정 등의 목적을 위해서도 나타난다. 따라서 인간의 음성 언어는 조음 구간과 휴지 구간이 번갈아 나타나는 연쇄적인 패턴으로 구성됨을 알 수 있다.
인간의 음성언어는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 인간의 음성언어는 음성이 산출되는 조음 구간과, 음성이 산출되지 않는 묵음 구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긴 길이의 발화를 지속할 때, 화자는 중간 중간 묵음, 즉 휴지를 삽입함으로써 음성을 적당한 양씩 끊어서 산출하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Bailly, G., & Gouvernayre, C. (2012, September). Pauses and respiratory markers of the structure of book reading. Proceedings of the 13th Annual Conference of the International Speech Communication Association 2012 (pp. 2218-2221). Portland, OR. 

  2. Cappella, J. N. (1985). The management of conversations. In M. L. Knapp & G. R. Miller (Eds.), The handbook of interpersonal communication (pp. 393-438). Beverly Hills, CA: Sage. 

  3. Chon, H.C., & Lee, S. B. (2019). Characteristics of speech rates and utterance lengths in fluent and disfluent utterance of aduls who stutter. Audiology and Speech Research, 15(3), 214-222. 

  4. Clopper, C., & Smiljanic, R. (2015). Regional variation in temporal organization in American English. Journal of Phonetics, 49, 1-15. 

  5. Ferreira F. (1991). Effects of length and syntactic complexity on initiation times for prepared utterances. Journal of Memory and Language, 30(2), 210-233. 

  6. Foulkes, P., & Docherty, G. (2006). The social life of phonetics and phonology. Journal of Phonetics, 34(4), 409-438. 

  7. Henderson, A., Goldman-Eisler, F., & Skarbek, A. (1965). Temporal patterns of cognitive activity and breath control in speech. Language and Speech, 8(4), 236-242. 

  8. Henderson, A., Goldman-Eisler, F., & Skarbek, A. (1966). Sequential temporal patterns in spontaneous speech. Language and Speech, 9(4), 207-216. 

  9. Hixon, T. J., Goldman, M. D., & Mead, J. (1973). Kinematics of the chest wall during speech production: Volume displacement of the rib cage, abdomen, and lung.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16(1), 78-115. 

  10. Jung, Y. H., & Yoon, M. S. (2013). Mean length of utterance for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of 2 to 4 years. The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13(3), 55-73. 

  11. Kendall, T. S. (2009). Speech rate, pause and linguistic variation: An examination through the sociolinguistic archive and analysis project (Doctoral dissertation). Duke University, Durham, NC. 

  12. Kendall, T. S. (2013). Speech rate, pause and sociolinguistic variation: Studies in corpus sociophonetics. London, UK: Palgrave Macmillan. 

  13. Kim, J. (2017). The influence of utterance length on speech rate in spontaneous speech.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9(1), 9-17. 

  14. Lee, I. A., Lee, H. E., & Hwang, Y. Jin. (2012). The study of breath competence depending on utterance condition by healthy speakers: A preliminary study.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4(2), 115-120. 

  15. Lee, N., Shin, J., Yoo, D., & Kim, K.W. (2017). Speech rate in Korean across region, gender and generation.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9(1), 27-39. 

  16. Lee, S. J., & Hwang, M. N. (2001). The trade-off effects between MLU and fluency in normal preschool-age children. Speech Sciences, 8(4), 157-168. 

  17. Libermann, P. (1967). Intonation, perception, and language. Cambridge, MA: MIT Press. 

  18. LoMauro, A., & Aliverti, A. (2018). Sex differences in respiratory function. Breathe, 14(2), 131-140. 

  19. Mitchell, H. L., Hoit, J. D., & Watson, P. J. (1996). Cognitive linguistic demands and speech breathing.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39(1), 93-104. 

  20. Rochet-Capellan, A., & Fuchs, S. (2013, August). The interplay of linguistic structure and breathing in german spontaneous speech. Proceedings of the 14th Annual Conference of the International Speech Communication Association (p. 1228). Lyon, France. 

  21. Schoenberg, J. B., Beck, G. J., & Bouhuys, A. (1978). Growth and decay of pulmonary function in healthy blacks and whites. Respiration Physiology, 33(3), 367-393. 

  22. Shin, J. (2013). How to maximize efficiency of communication: A prosodic analysis. Journal of the Society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69, 113-133. 

  23. Shin, J. (2018). Breath and memory in speech based on quantitative analysis of breath groups and pause units in Korean. Korean Linguistics, 79, 91-116. 

  24. Shin, J., & Kim, K.W. (2017). Developing a Korean standard speech DB (II).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9(2), 9-22. 

  25. Sperry, E. E., & Klich, R. J. (1992). Speech breathing in senescent and younger women during oral reading.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35(6), 1246-1255. 

  26. Strand, E. A., Johnson, K., & D'Imperio, M. (1999). Auditory-visual integration of talker gender in vowel perception. Journal of Phonetics, 27(4), 359-384. 

  27. Wang, Y. T., Green, J. R., Nip, I. S. B., Kent, R. D., & Kent, J. F. (2010). Breath group analysis for reading and spontaneous speech in healthy adults. Folia Phoniatrica et Logopaedica, 62(6), 297-302. 

  28. Watson, D., & Gibson, E. (2004). The relationship between intonational phrasing and syntactic structure in language production. Language and Cognitive Processes, 19(6), 713-755. 

  29. Wennerstrom, A., & Siegel, A. F. (2003). Keeping the floor in multiparty conversations: Intonation, syntax, and pause. Discourse Processes, 36(2), 77-107. 

  30. Winkworth, A. L., Davis, P. J., Ellis, E., & Adams, R. D. (1994). Variability and consistency in speech breathing during reading: Lung volumes, speech intensity, and linguistic factors.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37(3), 535-56. 

  31. Winkworth, A. L., Davis, P. J., Ellis, E., & Adams, R. D. (1995). Breathing patterns during spontaneous speech.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38(1), 124-144. 

  32. Yoo, D., & Shin, J. (2019). A realization of pauses in utterance across speech style, gender, and generation.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11(2), 33-4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