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천지역 공원 채집 모기에서 심장사상충 감염도 조사
Molecular survey of Dirofilaria immitis in mosquitoes collected from parks the in the Incheon metropolitan city in Korea 원문보기

韓國家畜衛生學會誌 = Korean journal of veterinary service, v.43 no.1, 2020년, pp.1 - 6  

정철 (인천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  송재성 (인천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  김명덕 (인천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  김경호 (인천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  이정구 (인천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  이성모 (인천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Unlike previous studies that reported the infection rates of Dirofilaria immitis in companion dogs, D. immitis genes were tested directly on mosquitoes to see how many mosquitoes actually carry larvae. Mosquito samples were collected from six parks in Incheon from March to August 2018. A total of 18...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실험을 통해 인천지역에 시민들이 자주 왕래하는 큰 규모의 공원 6곳에서 채집한 모기 중 암모기에서의 심장사상충 감염 여부를 확인해보았다. 총 6곳의 공원 중 4곳에서 채집된 모기에서 D.
  • 현재까지 국내 연구결과 사육하는 개에서 심장사상충의 감염 정도에 관한 연구는 전국적으로 확인이 되였지만 모기에서 직접 심장사상충 자충의 감염 정도를 연구한 결과는 경기도와 강원도로 한정되어 있다. 본 연구는 인천지역에 위치한 반려동물들의 출입이 잦은 공원 6곳에서 채집된 암모기에서 개 심장사상충 유전자를 확인하였다. 심장사상충 항원 진단방법 중 간편하고 신속하게 사용할 수 있는 PCR 방법을 사용하여 심장사상충 항원을 확인함으로써 인천지역 공원 내에 사는 모기에서 심장사상충 감염 정도 확인을 통해 심장사상충 발생 위험도를 조사하였다.
  • 현재까지 국내 모기에서 직접 심장사상충의 감염여부를 확인한 결과는 경기도와 강원도로 극히 한정되어 있었다. 특히 본 연구는 시민들의 일상생활과 밀접한 거주 지역 주변 공원에서 채집한 모기를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한 국내 최초 보고이다. 본 실험을 토대로, 인천 지역과 같은 대도시의 공원에서 반려견과 산책을 통해서 심장사상충 감염의 위험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개 심장사상충(Dirofilaria immitis)은 무엇인가 ? 개 심장사상충(Dirofilaria immitis)은 개, 고양이, 여우 및 다른 포유류동물에 기생하며 특히 갯과에 속하는 동물이 중요한 숙주의 역할을 하며 열대, 아열대지방 중심으로 유행하는 질병이다(Lee 등, 2007). 개 심장사상충은 모기를 매개로 전파되는데 감염된 모기가 흡혈하는 과정에서 개에게 전염되며, 개의 근육 등에 발현되거나 정맥을 통해 침입하여 성장 발육하여 제3기 유충(감염유충)이 된다.
모기 채집 과정에서 이산화탄소의 역할은 ? 지금까지 모기 채집은 주로 조사지역에 유문등과 같은 채집기구를 설치하여 채집하는 방법으로 모기에 대한 선택적인 구분 없이 블랙라이트(UV-light, 356 nm) 에 유인되는 곤충에 대하여 전부 채집하여 분류하는 방법이었다. 본 실험에 사용된 디지털모기측정기 시 스템 방식은 모기 유인의 선택적인 증대를 위해 이산 화탄소(CO2)를 주 유인제로 사용하였기 때문에 암모기에 대한 선택성을 높여 채집할 수 있다. 설치와 철 거를 반복해야하는 유문등과 달리 고정식으로 설치되어 일정지역에서 장기간 모기 발생 모니터링에 유리 하며 이산화탄소를 유인제로 사용하기 때문에 유문등을 이용한 채집방법과는 달리 주간 활동성 모기 종에 대한 채집과 채집 모기수를 자동으로 계측할 수 있어 실시간 모기 모니터링에 효율적인 방식이다.
일반적인 모기 채집 방법은 ? 일반적인 모기 채집 방법은 유문등(誘蚊燈)을 이용한 방법으로 빛(블랙라이트, UV-Light, 356 nm)에 모기가 유인되는 원리지만 불빛을 이용하여 모기를 유인하기 때문에 주간 활동성 모기의 유인 효율이 낮은 단점이 있다. 최근 새로 개발된 디지털모기측정기 시스템(DMS, Digital Mosquito Monitoring System)은 일산화탄소를 유인 물질로 사용하여 질병 매개의 원인이 되는 암컷 모기 유인의 선택성을 높인 방식으로 유 문등을 이용한 방법의 한계인 주간 활동 모기 채집의 효율성도 높였으며, 채집된 모기를 자동으로 계수하고 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방식의 채집기로 감염병 매개모기 계측에 있어 새로 급부상하는 방식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문희주. 1996. 인체기생충학. 고문사: 68-69. 

  2. 박응복, 이희성. 1962. 진주지방 축견의 견사상충 조사. 진주농대연구보고 1: 34-58. 

  3. 유재승, 신이현, 주영란. 2015. 감염병 매개모기 원격 계측기 개발. 주간 건강과 질병. 8(38): 902-905. 

  4. 이병인, 조영웅. 1996. 개심장사상충증(canine heartworm disease). 대한수의사회지 32(8): 495-502. 

  5. 이재구. 1987. 최신수의기생충학. 대한교과서주식회사: 234-239. 

  6. 이종훈, 심상원, 김희 등. 2003. 충남지역 집단 번식농장 사육견의 심장사상충 감염률 조사. 한가위지 26(1): 19-26. 

  7. 장승익, 송운재, 하숙희 등. 2004. 대전지역 사육견의 심장사상충 감염실태 조사. 한가위지 27(2): 133-137. 

  8. Adkins RB Jr, Dao AH. 1984. Pulmonary dirofilariasis: a diagnostic challenge. South Med J 77(3): 327-374. 

  9. Cancrini G. Pietrobulli M, Frangipane di Redalbono AF, Tampieri MP, della Torre A. 1995. Development of Dirofilaria and Setaria nematodes in Ades albopictus. Parasitologia 37: 141-145. 

  10. Cifferi F. 1982. Human pulmonary dirofilariasis in the United States: A critical review. Am J Trop Med Hyg 31(2): 302-308. 

  11. Jubb KVF, Kennedy PC, Palmer N. 1993. Pathology of domestic animal. 4ed 3: 68-71. 

  12. Kim MK, Kim CK, Yeom BW, Park SH, Choi SY, Choi JS. 2002. The first human case of hepatic dirofilariasis. J Korean Med Sci 17: 686-690. 

  13. Kim TK, Jo MH, Park MN, Jo EJ, Nam TS, Son SK, Heo JH. 2009. Prevalence of heartworm infection among dogs on breeding farms in southern Gyeongnam area. Korean J Vet Serv 32(4): 369-375. 

  14. Koh BRD, Na HM, Jang MS, Kim JY, Park SD. 2007. Investigation of canine dirofilariasis and brucellosis in free roaming dogs from public animal shelters in Gwangju area. Korean J Vet Serv 30(1): 155-164. 

  15. Lee JW. Eum SS, Park IG, Bea JJ, Joung DS. 2005. Prevalence of heartworms, scabies and demodicosis of pet dogs in Jeonju area. Korean J Vet Serv 28(1): 39-47. 

  16. Lee KJ, Park GM, Yong TS. 2000. The first Korean case of human pulmonary dirofilariasis. Yonsei Med J 41: 285-288. 

  17. Lee SE, Kim HC, Chong ST, Klein TA, Lee WJ. 2007. Molecular survey of Dirofilaria immitis and Dirofilaria repens by direct PCR for wild caught mosquitoes in the Republic of Korea. Vet Parasitol 148: 149-155. 

  18. Lee SM, Hwang HS, Kim HJ. 1999. Studies of infection rate and histopathological findings of canine heartworms in Inchon city. Korean J Vet Serv 22(1): 25-35. 

  19. Liu J, Song KH, Lee SE, Lee JY, Lee JI, Hayasaki M, You MJ, Kim DH. 2005. Seorological and molecular survey of Dirofilaria immitis infection in stray cats in Gyeonggi Province, South Korea. Vet Parasitol. 130: 125-129. 

  20. Monchy D. Levenes H, Guegan H. et al. 1993. Pulmonary dirofilariasis(French). Med Trop 53(3): 366-371. 

  21. Mutaz H, Ozdemir A, Schaefer RC. 2004. Case of the month. A case report of human pulmonary dirofilariasis in Arkansas. J Ark Med Soc 100(7): 240-242. 

  22. Pampiglione S, Rivasi F. 2000. Human dirofilariasis due to Dirofilaria (Nochtiella) repens: an update of world literature from 1995 to 2000. Parasitologia 42: 231-254. 

  23. Park CE. 2010. Epidemiological survey on prevalence of Dirofilaria immitis infection in dogs of Ulsan area. Korean J Vet Serv 33(2): 157-165. 

  24. Prescott CW. 1986. Diseases of dogs. The University of Sydney Post-Graduate Foundation in Veterinary Science 7: 52-54. 

  25. Song KH, Lee SE, Hayasaki M, Shiramizu K, Kim DH, Cho KW. 2003. Seroprevalence of canine dirofilariosis in South Korea. Vet Parasitol 114: 231-236. 

  26. Watt KJ, Courteny CH, Reddy GR. 1999. Development of a PCR and probe-based test for the sensitive and specific detection of the dog heartworm Dirofilaria immitis, in its mosquito intermediate host. Mol Cell Probes 13: 425-430. 

  27. Yoshimura H, Yokogawa M. 1970. Dirofilaria causing infarct in human lung. Am J Trop Med Hyg 19(1): 63-6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