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뜨고 가라앉는 현상에 대한 과정적 관점 설명방식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Teachers' Perceptions of Explanatory Method Based-on Process Viewpoint for Floating and Sinking Phenomena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40 no.6, 2020년, pp.583 - 594  

김성기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백성혜 (한국교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기존의 밀도라는 개념은 현상에 대한 원인자를 제공하는데 한계점이 있으며, 부력이라는 개념은 많은 오개념을 갖고 있고 정량적 계산을 이해하기 위해 지나치게 어려운 개념이 필요함에 문제를 제기하여 지레의 원리를 적용한 과정적 관점의 새로운 설명방식을 제안하였다. 새로운 설명방식은 중력이라는 근본원리와 과정적 관점이 드러나도록 지레라는 가시적 도구를 활용하여 제안되었다. 연구결과, 교사들은 많은 대안개념에 머물러 있었으며 밀도가 중력과 관련됨을 인식하는 교사는 절반이상 되지 않았다. 뿐만 아니라 이 현상을 물질적 관점으로 이해하면서 관점과 불일치하게 인식하였으나 수업처치 후 유의미한 개념 변화를 하였다(p<.000). 또한, 기존의 설명방식에 비해 원리와 과정적 관점을 잘 인식할 수 있다는 평가를 하였다. 이를 통해 지레의 원리를 도입한 과정적 과점의 설명방식에 대한 교육적 가치를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existing concept of density has a limitation in providing the cause of phenomena, and the concept of buoyancy poses a problem because it has many misconceptions and requires an overly difficult concept to understand quantitative calculation, so we suggest an explaining method as p...

주제어

표/그림 (1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후 연구자는 Chi et al.(1994)이 주장한 물질적 관점과 과정적 관점을 명시적으로 소개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다루는 ‘뜨고 가라앉는 현상’은 어떠한 관점으로 다루어져야 하는지 생각해보도록 하였다. 이후 과정적 관점으로 이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서 학생들을 위한 가시적 도구인 지레를 도입하였으며 앞에서 설명한 Figure 2, 3, 4와 Table 1을 이용하여 새로운 접근을 소개하였다.
  • 프로그램이 투입된 초기에 먼저 1번 문항의 답변을 발표하면서 자신의 생각과 다른 교사들의 생각을 공유하게 하였다. 그러면서 밀도라는 과학적 개념이 왜 뜨고 가라앉는 현상을 설명할 수 있는지에 대한 원리를 고민하도록 하였다. 이후 연구자는 Chi et al.
  • 하지만 지금까지의 밀도나 부력을 이용한 전통적인 설명방식은 이러한 관점을 보여주는 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관점을 명시적으로 드러낼 수 있는 과정적 관점의 새로운 설명방식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렇게 새롭게 제안된 설명방식에 대한 평가는 이를 가르치는 과학 교사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개념 변화와 기존의 설명방식과 비교한 그들의 평가로 나누어 진행되었다.
  • 또한, 부력이 중력과 관련됨을 보여주기는 하였으나, 이에 따라 부력이 아래 방향으로 작용한다는 대안개념을 심어주지 않기 위해 유체에 작용하는 아래 방향의 중력은 지레에서 상대편 물체가 느끼기에는 반대 방향인 위 방향으로 작용함을 안내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과정적 관점의 새로운 설명방식에 대해 과학 교사를 대상으로 개념 변화와 이를 지도하는 교사 입장에서 기존 설명방식과 비교한 평가를 중심으로 새로운 설명방식의 교육적 가치를 탐색하였다. 차후 연구에서는 학생을 대상으로 실제 과학적 개념에 어떠한 변화가 발생하는지를 알아보는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 본 연구는 기존의 밀도라는 개념은 현상의 원인자를 제공하는데 한계점이 있으며, 부력이라는 개념은 많은 오개념을 갖고 있고 정량적 계산을 이해하기 위해 지나치게 어려운 개념이 필요함에 문제를 제기하여 밀도와 부력의 개념을 연계한 과정적 관점의 새로운 설명방식을 제안하였다. 이 새로운 설명방식은 먼저 중력이라는 이 현상의원인 자를 보여주어야 하며, 물질 그 자체로 이 현상을 설명하기보다는 물질과 그것과 상호작용하는 유체를 함께 고려하는 과정적 관점으로 다루어져야 한다.
  • 본 연구는 뜨거나 가라앉는 현상에 초점을 두어 과정적 관점의 설명방식을 새로 제안하였다. 앞에서 말했듯이 과학의 많은 개념이 과정적 관점에 해당하나 학생들은 이를 물질적 관점으로 인식하여 견고한 오개념을 형성하는 여러 과학개념들이 있다.
  • 이를 위해 먼저 교사들의 이 현상을 어떻게 인식하는지에 대한 실태를 조사하였고, 밀도와 부력의 개념을 연계한 과정적 관점의 설명방식을 투입한 후 교사들의 개념 변화를 알아보았다. 뿐만 아니라 새로운 방식이 기존의 방식과 비교하였을 때 어떠한지를 평가하도록 하였다.
  • 연구자: 선생님들이 말한 바와 같이 이 접근이 부력이 아래 방향이라는 오개념을 준다는 점이나 유체역학을 이용한 설명 방식이 더 정확하게 설명할 수 있다는 점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세요?
  • 이 설문지는 정답을 맞힌 개수보다는 그 현상을 어느 과학 수준에서 설명하는지에 대한 단계를 진단하도록 개발되었다. 설명 수준에 대해 4단계 만점에서 사전검사는 평균 3.
  • 이후 프로그램 말미에 교사들은 작성한 자신의 평가를 발표하였으며, 발표한 내용을 토대로 연구자가 추가적인 질문을 하여 교사의 평가를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프로그램 종료 후, 발표한 내용을 토대로 수합된 응답지는 일차적으로 장단점으로 분류하였다.
  • 2013; Havu-Nuutinen, 2005; Leuchter & Saalbach, 2014; Radovanović & Sliško, 2013; Spyrtou, Zoupidis, & Kariotoglou, 2008; Yin & Tomita, 2008; Yin, 2012). 지금까지는 이러한 대표적인 대안개념들의 원인이 학생들의 인지 수준 때문이라는 잠정적 가설이 지배적이었으나, 이 연구에서는 기존의 두 가지 설명방식이 가지는 한계점에 초점을 두어 기존의 설명방식을 점검하고, 새로운 설명방식을 통해 이 개념을 가르칠 교사들부터 인식의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Kim, Kim, & Paik, 2017)를 통해 연구자들은 중력과 밀도를 연계한 설명방식이 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의 이해에 영향을 미쳤음을 밝혔다.

가설 설정

  • 가장 먼저 밀도 차를 이용한 현상의 설명 방식은 물체가 유체에 완전히 잠겨있다는 가정함이 필요함을 언급한다. 이후, 물에 물체를 완전히 잠김에 따라서 수면이 올라가게 되며, 이렇게 늘어난 부피는 물체의 부피와 동일함을 보여준다.
  • 부력과 밀도의 관계를 가시적으로 보여준다. 밀도를 이용하는 설명은 물체가 떠 있는 경우에도 물체가 완전히 유체에 잠겼다고 가정하고, 물체의 부피와 유체의 동일한 부피를 고려하여 물체의 무게와 유체의 무게를 비교한 것이다. 그러나 이렇게 단순화하게 되면 물체의 특성인 밀도에 초점을 두게 되어서 같은 물체라도 물속에 얼마나 잠겼는지에 따라 부력이 달라진다는 것을 이해하는데 방해가 될 수 있다.
  • 즉, 떠오르는 과정을 설명하는 경우와 현상을 바로 설명하는 경우로 나눌 수 있다. 첫째로, 떠오르는 과정을 설명하는 경우는 밀도 차의 설명과 동일하게 먼저 물체가 물에 완전히 잠겨있다는 것을 가정함을 설명해 준다. 물에 물체가 잠기면서 수면이 올라가게 되며, 이렇게 늘어난 부피는 물체의 부피와 동일함을 보여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Ainsworth, S., Prain, V., & Tytler, R. (2011). Drawing to learn in science. Science, 333(6046), 1096-1097. 

  2. Baik, E. J., & Song, E. Y. (2009). A study on children's conceptions of the objects' floating-and-Sinking phenomenon.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14(3), 155-176. 

  3. Butts, D. P., Hofman, H. M., & Anderson, M. (1993). Is hands-on experience enough? A study of young children's views of sinking and floating objects. Journal of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5(1), 50. 

  4. Chi, M. T. (2005). Commonsense conceptions of emergent processes: Why some misconceptions are robust. The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s, 14(2), 161-199. 

  5. Chi, M. T., Slotta, J. D., & De Leeuw, N. (1994). From things to processes: A theory of conceptual change for learning science concepts. Learning and Instruction, 4(1), 27-43. 

  6. Chittleborough, G., & Treagust, D. F. (2007). Correct interpretation of chemical diagrams requires transforming from one level of representation to anothe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8(4), 463-482. 

  7. Dentici, O. A., Grossi, M. G., Borghi, L., De Ambrosis, A., & Massara, C. I. (1984). Understanding floating: A study of children aged between six and eight years. European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6(3), 235-243. 

  8. Galilei, G. (1968). The Little Balance. McGraw-Hill. 

  9. Hadjiachilleos, S., Valanides, N., & Angeli, C. (2013). The impact of cognitive and affective aspects of cognitive conflict on learners' conceptual change about floating and sinking. Research in Science & Technological Education, 31(2), 133-152. 

  10. Hardy, I., Jonen, A., Moller, K., & Stern, E. (2006). Effects of instructional support within constructivist learning environment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of floating and sinking.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8(2), 307. 

  11. Havu-Nuutinen, S. (2005). Examining young children's conceptual change process in floating and sinking from a social constructivist perspectiv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7(3), 259-279. 

  12. Howe, C. J. (2016). Conceptual structure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The case of everyday physics. London: Routledge. 

  13. Kim, S. K., Kim, S. W., & Paik. S. H. (2017). The effect of explanation in conjunction with gravity and density on students' alternative conceptions for floating and sinking phenomena. Journal of the Korea Chemistry Society, 61(3), 112-121. 

  14. Kim, S. K., Park, C. Y., Choi, H., & Paik, S. H. (2017). An analysis of chemistry textbooks' and teachers' conceptions on Bronsted-Lowry acid-base. Journal of the Korea Chemistry Society, 61(2), 65-76. 

  15. Kim, S. K., Park, C. Y., Choi, H., & Paik. S. H. (2018). Evaluation of stated models for the floating and sinking phenomena in the chemical domain. Journal of the Korea Chemistry Society, 62(3), 226-234. 

  16. Kim, S., Choi, H., & Paik, S. H. (2019). Using a systems thinking approach and a scratch computer program to improve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Bronsted-Lowry acid-base model.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96(12), 2926-2936. 

  17. Kim, S., & Paik, S. H. (in press). Archimedes' balance approach applied to buoyant force. The Physics Teacher. 

  18. Kim, Y. Y., & Kim, J. N. (2012). Analysis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conceptions about buoyancy.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6(2), 369-380. 

  19. Kozma, R., & Russell, J. (2005). Students becoming chemists: Developing representational competence. In J. K. Gilbert (Ed.), Visualizations in Science Education (pp. 121-146). Dordrecht, The Netherlands: Springer. 

  20. Kwon, D. H., & Kown, S. G. (2000).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nceptions of buoyance related with cognitive levels.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19(1), 131-143. 

  21. Lee, H. C., & Lee, S. J. (2000). An investiga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nceptions on buoyanc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19(1), 145-156. 

  22. Lee, S. H., & Paik, S. H. (2013). Suggestion for science Educ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Archimedes' creative problem solving proces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3(1), 30-45. 

  23. Leuchter, M., Saalbach, H., & Hardy, I. (2014). Designing science learning in the first years of schooling. An intervention study with sequenced learning material on the topic of 'floating and sinking'.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6(10), 1751-1771. 

  24. Lynch, M. (2006). The production of scientific images: vision and re-vision in the history, philosophy, and sociology of science. In L Pauwels (Ed.), Visual cultures of science: rethinking representational practices in knowledge building and science communication (pp. 26-40). Lebanon, NH: Darthmouth College Press. 

  25. National Research Council. (2007). Taking science to school: Learning and teaching science in grades K-8. National Academies Press. 

  26. Paik, S. H. (2015).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among Arrhenius, Bronsted-lowry, and Lewis theories.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92(9), 1484-1489. 

  27. Paik, S., Song, G., Kim, S., & Ha, M. (2017). Developing a four-level learning progression and assessment for the concept of buoyancy. Eurasia Journal of Mathematics Science and Technology Education, 13, 4965-4986. 

  28. Piaget (2005). The child's conception of physical causality. Oxon: Routledge. 

  29. Piaget, J., & Inhelder, B. (1974). The child's construction of physical quantities. London, England: Routledge and Kegan Paul. 

  30. Radovanovic, J., & Slisko, J. (2013). Applying a predict-observe-explain sequence in teaching of buoyant force. Physics Education, 48(1), 28. 

  31. Rhee, J. S., & Lee, B. W. (2010). Analysi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tudents' conceptions about buoyant force. New Physics: Sae Mulli, 60(2), 93-99. 

  32. Skoumios, M. (2009). The Effect of sociocognitive conflict on students' dialogic argumentation about floating and sinking.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and Science Education, 4(4), 381-399. 

  33. Spyrtou, A., Zoupidis, A., & Kariotoglou, P. (2008). The design and development of an ICT-enhanced module concerning density as a property of materials applied in floating-sinking phenomena. Ιn: CP Constantinou & N. Papadouris. In Girep International Conference, Physics Curriculum Design, Development and Validation, Selected Papers (pp. 391-407). 

  34. Unal, S.,;Costu, B.; Problematic issue for students: Does it sink or float. In Asia-Pasific Forum on Science Learning and Teaching, 2005, 6, 1. 

  35. Yin, Y. (2012). Applying scientific principles to resolve student misconceptions. Science scope, 35(8), 48. 

  36. Yin, Y., Tomita, M. K., & Shavelson, R. J. (2008). Diagnosing and dealing with student misconceptions: Floating and sinking. Science scope, 31(8), 34. 

  37. Yoon, H. G. (2018).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visual representation competence taxonom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8(2), 161-17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