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라도 지역 문화재 지정 민가정원의 현황 및 조영특성
A Study on the Construction Characteristics of Folk Houses Designated as Cultural Heritage in Jeolla-do Province 원문보기

韓國傳統造景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v.38 no.4, 2020년, pp.25 - 38  

진민령 (국립수목원 수목원정원연구센터) ,  정명석 (국립수목원 수목원정원연구센터) ,  심지연 (국립수목원 수목원정원연구센터) ,  이혜숙 (국립수목원 수목원정원연구센터) ,  이경미 (국립수목원 수목원정원연구센터) ,  진혜영 (국립수목원 수목원정원연구센터)

초록

본 연구는 민가정원의 기록화를 목적으로, 전라도 지역 문화재 지정 민가정원의 역사적 가치, 입지, 공간구성 및 건축물 배치, 정원구성요소 등을 검토하여 현재 민가정원의 모습을 고찰함으로써 향후 지속적인 유지관리·보존을 도모하고, 가치를 제고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 조선후기에서 근대에 조성된 민가정원의 조성시기와 궁궐·일본·서양의 양식에 영향을 받은 정원구성요소 등을 통해 농·상업 발달의 확산 등 시대적 흐름 속에 영향을 받아온 것을 알 수 있다. 두째, 입지한 지형에 따라 민가정원의 공간구성과 후원 처리 방식에 차이가 있다. 입지한 지형을 평지와 경사지로 구분하였을 때 평지에 입지한 민가는 담장으로 공간을 구획하고 후원 주변으로 담장을 두르고 화계 및 석단을 조성하였다. 경사지에 입지한 민가는 2~3단의 단차를 두어 공간을 구획하고, 후면의 구릉과 접한 후원에 담장을 조성하지 않고 수목 식재, 화계 및 석단 조성 등을 통해 배경림과 자연스럽게 이어지도록 하였다. 셋째, 가옥의 규모 및 정원구성요소가 일부 소실·훼손·변화되었으며, 변화과정에 대한 기록이 부족한 경우 도면으로 기록하는 것에 한계가 있다. 시대적 흐름과 수요의 변화에 따라 소실 또는 훼손된 건축물 및 정원구성요소가 많았으며, 기록이 남지 않은 일부는 소유주 및 관리자의 기억에 의존해야하는 실정이다. 넷째, 전라도 기후적 특성을 반영한 난대성 수종의 식재가 이루어졌으며, 전통수종이 아닌 외래수종이 많은 부분 도입되었다. 다섯째, 현대의 편의를 고려한 공간 기능과 식재 수종의 변화에 대비하기 위한 세분화된 수목 관리 기준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r the purpose of recording Folk House Garden,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historical value, location, space composition, Placememnt of the Building, garden composition, and management status of Folk House Garden designated as a cultural asset in Jeolla-do and to promote continuous maintenance and...

주제어

표/그림 (8)

참고문헌 (20)

  1. 염성진(2015). 민가정원의 효율적 유지관리를 위한 공원화 방안에 대한 기초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3(3): 50-57. 

  2. 문화재청(2020). 문화재수리 업무편람. 

  3. 김영모(2007). 전통 정원의 보존(保存) 및 복원(復原) 원칙 설정을 위한 시론적(試論的)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5(2): 72-85. 

  4. 박장호(2013). 조선전기 한양도성 내 민가에 관한 연구 : 서울 청진12-16지구 건물지와 家舍令의 비교연구를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국립수목원(2016). 국가표준재배식물목록(개정). 

  6. http://www.nature.go.kr 

  7. 이선(2006). 한국 전통 조경 식재 -우리와 함께 살아 온 나무와 꽃. 수류산방중심. 

  8. 임경빈(1994-2003). 조경수목산책 5포플러-53소나무. 조경수. 

  9. 정재훈(2005). 한국전통조경. 조경. 

  10.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1949). 조선식물명집 II(목본편). 조선생물학회 

  11. 한국전통조경학회(2016). 최신 동양조경문화사. 대가. 

  12. 노재현, 이정한(2020), 둔덕리 李雄宰古家의 공간 및 경관 구성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8(2): 60-76. 

  13. 전라남도(1992). 문화재도록: 국가지정문화재편. 

  14. 류성룡(2009). 나주 도래마을 한옥의 건축 형식에 관한 연구. 한국건축역사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331-340. 

  15. 유은미, 홍승재(2006). 함라마을 부농주거의 건축특성 연구.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17(6): 99-108. 

  16. 장흥군(1989). 장흥군의 문화유적. 

  17. 천득염, 전봉희(2002). 한국의 건축문화재 8 전북편. 기문당. 

  18. 허준, 장민, 이시영(2009). 민가의 전통정원 재현 및 활용에 관한 연구 -광주광역시 이장우 가옥을 대상으로-. 농업사연구. 8(3): 111-133. 

  19. https://www.usda.gov 

  20. http://www.nihhs.go.kr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