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선 후기 민가 정원 쌍산재의 조영과 변화 과정
The Creation and Transformation Process of Ssangsanjae as a Private Garden in the Late Joseon Dynasty 원문보기

韓國傳統造景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v.39 no.2, 2021년, pp.1 - 14  

김서린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협동과정 조경학) ,  성종상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조경학과) ,  김희수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조경학과) ,  최유나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협동과정 조경학) ,  정진아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협동과정 조경학) ,  조성아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협동과정 조경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쌍산재는 1800년대 중반에 조성된 민가 정원이다. 북으로 지리산 줄기를 등지고 남으로는 섬진강을 내려다보는, 전형적인 한국의 배산임수 형국을 이루는 터에 입지하고 있다. 조성된 이후 6대를 거쳐 오면서도 정원에 큰 변화 없이 조선 후기 민가 정원의 면모를 잘 간직하고 있는 정원이다. 본 연구는 현장 조사와 인터뷰, 작정자의 유고집과 편액, 주련의 내용 분석을 통해 역사 정원으로서 쌍산재의 변화하는 경관에 대해 고찰하였다. 완만한 구릉지에 위치한 쌍산재는 크게 내원과 외원으로 분류되며, 내원은 진입 공간, 주거 공간, 전이 공간, 후원 영역으로 구분된다. 후원은 서당채와 그 정원, 경암당 등으로 구성되며 외원인 사도저수지 영역으로 이어 진다. 쌍산재의 특징적인 식생 경관은 13,000m2의 죽녹차밭과 잔디밭을 가로지르는 길 양쪽에 열식된 모란작약, 그리고 동백이나 사철나무의 휜 가지가 보여주는 액경, 마지막으로 탱자나무와 대나무로 이뤄진 생울타리를 꼽을 수 있다. 쌍산재는 지형과 원식생(原植生)을 고려한 공간 구성과 배치가 돋보인다. 주요 건축물은 후손들이 선대의 아호를 따 이름 지었는데, 벼슬길에 오르지 않고, 은일하며 후학을 양성하고자 했던 선대 조영자들의 철학관이 묻어난다. 오주석 선생이 세운 입석과 하얀 경계석은 쌍산재만의 독특한 정원 시설이다. 현 소유자가 가족들과 방문객의 편의를 위해 조성한 석상, 돌의자, 수영장 등 또한 특징적인 경관을 연출한다. 쌍산재는 거주자에게는 살림집이자 친우들과의 교류의 장, 수신(修身)과 은일(隱逸)의 장이었으며, 아이들에게는 배움의 장이었다면 현재는 여러 사람들이 힐링할 수 있는 민가 정원으로서 성격을 갖는다. 200여 년의 시간이 흐르는 동안 쌍산재의 내외원의 경관은 일부 변화를 겪었다. 이렇듯 변화하는 속성을 가진 역사 정원의 특성은 살아 있는 유산으로서 정원 고유의 속성으로 인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쌍산재를 조경학 관점에서 다룬 최초의 연구로서, 현존하는 조선조 민가 정원이 매우 적다는 점에서 앞으로 보다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본다. 아울러 현재 점차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정원 관광 상품으로서 역사 정원의 가치와 효용을 가늠해 볼 여지도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sangsanjae was created in the mid-1800s, It is located at Jiri Mountain to the north and the Seomjin River to the south. This garden has not changed much even though it has passed through the sixth generation since its creation, so it still retains the features of a private garden in the late Joseo...

주제어

표/그림 (11)

참고문헌 (40)

  1. Skelly, S. M., & Zajicek, J. M.(1998). The effect of an interdisciplinary garden program on the environmental attitu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HortTechnology. 8(4): 579-583. 

  2. Ratcliffe, C.(2017). How Students, Schools, and the Community Benefit from Garden-Based Education: Frameworks for Developing a Garden-Based Education Center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Wyoming. Libraries). 

  3. Mather, J. A., Nemecek, D., & Oliver, K.(1997). The effect of a walled garden on behavior of individuals with Alzheimer's. American Journal of Alzheimer's Disease. 12(6): 252-257. 

  4. Weltin, A. M., & Lavin, R. P.(2012). The effect of a community garden on HgA1c in diabetics of Marshallese descent. Journal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9(1): 12-24. 

  5. Adevi, A. A., & Martensson, F.(2013). Stress rehabilitation through garden therapy: The garden as a place in the recovery from stress. Urban forestry & urban greening. 12(2): 230-237. 

  6. 산림청(2021), 제 2차 정원 진흥 기본 계획. 

  7. Lal, R.(2020). Home gardening and urban agriculture for advancing food and nutritional security in response to the COVID-19 pandemic. Food security, 1-6. 

  8. Theodorou, A., Panno, A., Carrus, G., Carbone, G. A., Massullo, C., & Imperatori, C.(2021). Stay home, stay safe, stay green: The role of gardening activities on mental health during the Covid-19 home confinement. Urban Forestry & Urban Greening, 61, 127091. 

  9. Lades, L. K., Laffan, K., Daly, M., & Delaney, L.(2020). Daily emotional well being during the COVID 19 pandemic. British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25(4): 902-911. 

  10. Hodor, K., Przybylak, L., Kusmierski, J., & Wilkosz- Mamcarczyk, M.(2021). Identification and Analysis of Problems in Selected European Historic Garden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Sustainability. 13(3): 1332. 

  11. El-Said, O., & Aziz, H. (2021). Virtual Tours a Means to an End: An Analysis of Virtual Tours' Role in Tourism Recovery Post COVID-19. Journal of Travel Research, 0047287521997567. 

  12. Hristov, Dean, Naumov, Nikola, Petrova, & Petia. (2018). Interpretation in historic gardens: English Heritage perspective. Tourism Review. Association Internationale D'experts Scientifiques Du Tourisme. 73(2): 199-215. 

  13. 이코모스한국위원회(2010). 이코모스 헌장 선언문집. 

  14. 이원호(2021). 가문의 영광을 지키는 소시민들의 민가 정원. 월간 문화재사랑 2021년 5월호. 문화재청. 

  15. 황기원(2011). 경관의 해석.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16. 손용훈, 함광민(2011). 창덕궁 후원의 시문분석에 의한 의경(意境)과 경관 특성. 한국전통조경학회. 29(3): 124-133. 

  17. 장림, 소현수(2017). 주련(柱聯)을 통해 본 창덕궁 옥류천 일원의 경관 해석. 한국전통조경학회. 35(3): 1-12. 

  18. 소현수(2011). 차경(借景)을 통해 본 소쇄원 원림의 구조 - 「소쇄원시선(瀟灑園詩選)」과 「소쇄원30영」을 중심으로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9(4): 59-69. 

  19. 이현우, 김상욱, 임근홍(2014). 편액과 시문으로 본 요월정원림(邀月亭園林)의 입지 및 조영 해석.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2(3): 32-45. 

  20. 장림, 양유선, 손용훈(2019). 창덕궁 후원의 현판(懸板)과 주련(柱聯)을 중심으로 한 중국인 관람객의 경관인식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7(1): 23-32. 

  21. 김영모(2003). 시짓기와 원림 조영방법에 관한 연구 - 소쇄원사십팔영을 통해본 소쇄원의 조영방법을 중심으로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1(2): 1-17. 

  22. 정동오(1989). 민족정원 : 조경사적 측면에서의 문화재보수와 복원에 관한 소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8(1): 337-338. 

  23. 염성진(2015). 민가정원의 효율적 유지관리를 위한 공원화 방안에 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3(3): 50-57. 

  24. 윤영활, 이기의, 박봉우, 조현길(1990). 한국 전통마을의 공간구성과 민가정원 양식-왕곡마을을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8(2): 95-110. 

  25. 신상섭(1999). 한국 전통민가 (강릉 선교장) 의 공간미 연출기법에 관한 연역적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17(2): 56-68. 

  26. 노재현, 한약양, 시천용(2020). 풍수형국(風水形局)과 화석원(花石園)을 통해 본 임실 노동환가옥의 정원미학. 휴양및경관연구. 14(3): 21-30. 

  27. 노재현, 최승희, 장혜영(2020). 가평 이천보(李天輔) 고가(古家)의 정원 현황과 원형 복원을 위한 제안. 문화재. 53(4): 118-135. 

  28. https://www.cha.go.kr/ 

  29. Jin, H. Y., Jeong, M. A., Shin, H. S., & Noh, J. H (2019). A Study on the Heritage Value and Construction Characteristics of Unregistered Garden of Cultural Heritages.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17: 1-10. 

  30. 국립수목원(2017). 고택과 어우러진 삶이 담긴 정원. 

  31. https://db.itkc.or.kr 

  32. https://portal.nrich.go.kr/ 

  33. http://e-kyujanggak.snu.ac.kr 

  34. https://www.gurye.go.kr/ 

  35. https://fhi.forest.go.kr/ 

  36. 이위재 기자, 조선일보, 1998년 10월 30일 기사, 물 맛 '그만' ... 건강에도 '그만'. 

  37. https://folkency.nfm.go.kr/ 

  38. 구례군지 편찬위원회(2005). 求禮郡誌 上, 中, 下. 

  39. 정유진 기자, 남도일보, 2019년 2월 17일 기사, 전라도역사이야기-76. 아름다운 고택(古宅), 구례 쌍산재(雙山齋). 

  40. 해주오씨대동족보편찬위원회(2013). 海州吳氏大同族譜 卷之二, 호남문화사.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