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남양주 궁집(宮집) 외부공간 기본계획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andscape Design for the Namyangju Gugjip House Complex 원문보기

韓國傳統造景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v.38 no.4, 2020년, pp.86 - 100  

민병욱 (경희대학교 환경조경디자인학과) ,  김미연 (디자인스튜디오 지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경기도 남양주에 위치한 중요민속문화재 제130호 '궁집'과 그 일대에 대한 복합문화시설화 계획을 진행한 결과물이다. 특히, 차후 공공에 개방될 궁집과 한옥 부속사들로 구성된 역사·문화단지의 외부공간을 계획하고 설계하는 새로운 접근을 소개하고 그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둔다. 기존 궁집은 건축적으로 원형이 잘 보존된 상태지만, 궁집과 건물군으로 구성된 단지로서 대상지는 체계적인 공간 체험에 대한 계획의 부재, 구체적인 공간프로그램의 미비, 관리되지 않은 녹지로 인한 공간의 음지화 등의 문제로 공공공간으로 활용하는 데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계획안은 크게 공공공간으로서 역사경관에 대한 의미 존중과 현대적 활용에 대한 균형을 추구하였다. 기초조사와 연구를 통해 도출된 계획의 전략은 크게 궁집의 장소성 강화, 대상지의 생태적 특성 존중 및 주변 환경과의 시각적 조화, 동시대에 적합한 공간프로그램의 제시이다. 이 전략을 바탕으로, 전체 공간에 대한 틀을 개념적으로 외원(外園), 간정(間庭), 주정(主庭), 후원(後園) 나누고 체계적인 경관 활용과 체험을 제안하였다. 본 계획안은 건축 문화재는 원형 그대로 보존하되, 궁집의 장소성에 기반한 전체 공간의 합리적 토지이용과 의미 있는 경관체험을 엮어내려는 조경적 접근 방식이 가장 큰 특징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the result of a design proposal to create a history and culture complex for the "Gungjip," an Important Folklore Cultural Heritage, and its surroundings located in Namyangju, Gyeonggi Province. In particular, the purpose is to introduce a new design approach to a historical and cultura...

주제어

표/그림 (23)

참고문헌 (21)

  1. 박경자(2013). 한국 전통조경의 현대적 재해석 연구, 한국조경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2013 Nov. 01: 53-54. 

  2. 문화재청(2006). 문화재보호법. http://www.law.go.kr 

  3.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4. 오현석(2010). 전통가옥 등 활용 활성화 방안 연구보고서. 문화재청 연구보고서. 

  5. 문화재청(2006). 한국의 전통가옥 - 궁집, 중요민속자료(제130호) 기록화보고서: 궁집. 

  6. 조중근(2010). 남양주 궁집의 공간계획 및 의장특성. 한국농촌건축학회 논문집. 12(2): 39-48. 

  7. 주남철(2003). 궁집, 일지사. 

  8. 김종훈(2009). 남양주 궁집의 조영특성. 석사학위논문. 충북대학교. 

  9. 연합뉴스 https://www.yna.co.kr/view/AKR20190517155700060 

  10. 류호철(2014). 문화재 활용의 개념 확장과 활용 유형 분류체계 구축. 문화재. 47(1): 4-17. 

  11. 파이낸셜뉴스 https://www.fnnews.com/news/202003280343053283 

  12. 아주경제 https://www.ajunews.com/view/20200312150937202 

  13. 정시춘(1989). 한국 전통 건축공간의 시지각적 특성에 관한 연구: 전통사찰 진입공간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5(4): 91-101. 

  14. 김정민, 이재근(2012). 담양 명옥헌 원림(鳴玉軒 苑林)의 경관색채 현황조사 및 분석. 한국화예디자인학연구, 27(0): 203-218. 

  15. 김진균(1994). A Study on Interpretation of Architectural Space through Analysis of Visual Structure.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0(12): 75-83. 

  16. 정우진, 심우경(2012). 창덕궁 태액지의 조영사적 특성. 30(2): 46-63. 

  17. 신영훈(1983). 한국의 살림집 上, 열화당. 

  18. 주남철(2000). 한국 건축사, 고려대학교출판부. 

  19. 김동욱(2001). 조선시대 건축의 이해,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 국가공간정보포털 http://www.nsdi.go.kr/ 

  21. Vector Architects http://www.vectorarchitects.com/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