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Lactobacillus plantarum APsulloc 331261 발효 용해물의 피부 미생물 조절 효과
Lactobacillus plantarum APsulloc 331261 Fermented Products as Potential Skin Microbial Modulation Cosmetic Ingredients 원문보기

大韓化粧品學會誌 =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v.46 no.1, 2020년, pp.23 - 29  

김한별 ((주)아모레퍼시픽 기술연구원) ,  명길선 ((주)아모레퍼시픽 기술연구원) ,  이현기 ((주)아모레퍼시픽 기술연구원) ,  최은정 ((주)아모레퍼시픽 기술연구원) ,  박태훈 ((주)아모레퍼시픽 기술연구원) ,  안수선 ((주)아모레퍼시픽 기술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피부에는 여러 종의 미생물들이 군집을 이루며 서식하고 있고, 서로 상호작용을 하며 균형을 유지하고 있다. 하지만, 여드름, 건선아토피 피부염과 같은 질병 상태에서는 피부 미생물의 균형이 깨져 건강한 피부와는 다른 미생물 군집 구성을 보인다. 피부 미생물 군집 구성의 조절은 이러한 피부 질환에 대한 잠재적인 치료 방법이 될 수 있다. Quorum sensing (QS)은 세포간 전달인자로, QS을 조절하면 유해균의 바이오필름 형성이나 효소 분비등을 억제할 수 있고, 이 역시 피부 미생물 군집 구성에 영향을 준다. 이번 연구에서는 아모레퍼시픽의 특허 성분인 유산균 발효 용해물(Lactobacillus plantarum APsulloc 331261, KCCM 11179P 이용)의 QS억제능력 및 피부 유익균과 피부 유해균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유산균 발효 용해물 10 ㎍/mL 처리시, QS에 의해 제어되는 Chromobacterium violaceum의 자주색 안료 생산을 대조군 대비 27.4% 감소시켰다. 또 피부 유익균인 Staphylococcus epidermidis의 생장을 대조군 대비 12% 증가 시켰고, 피부 유해균인 Pseudomonas aeruginosa의 생장을 38.5% 감소, 바이오필름 형성을 17.7% 감소시켰다. S. epidermidis를 같은 속(genus)에 포함되어 있는 대표적인 피부 유해균 Staphylococcus aureus와 함께 공배양 하였을 때 S. epidermidis의 생장은 대조군 대비 134% 증가시켰고, S. aureus의 생장은 13% 억제시켰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하였을 때 L. plantarum APsulloc 331261을 이용한 발효 용해물은 피부 미생물의 균형을 조절해 줄 수 있는 화장품 원료로 유용하게 사용 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kin is colonized by a large number of microorganisms with a stable composition of species. However, disease states of skin such as acne vulgaris, psoriasis, and atopic dermatitis have specific microbiome compositions that are different from those of healthy skin. The target modulation of the sk...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이번 연구에서는 제주 녹차에서 분리한 아모레퍼시픽의 특허 유산균인 L. plantarum APsulloc 331261을 이용해 만든 유산균 발효용 해물의 피부 미생물 조절 능력을 확인하였다. 이전 연구 결과를 보면 L.
  • 이러한 결과에 근거해 L. plantarum APsulloc 331261의 발효용해물이 세포간 신호 전달 체계인 quorum sensing (QS)을 조절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였고, 피부에 서식하고 있는 미생물 중 유익한 영향을 주는 미생물과 유해한 영향을 주는 미생물의 생장을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을 확인하였다.
  • 미생물 배지는 tryptic soy broth (TSB, BD Difco, USA)를 이용하였다. 균의 생장은 적정 배지에 해당 균주를 1 × 106 CFU/mL 농도로 접종하고 35 ℃에서 24 h 배양한 뒤 60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생장률을 비교하거나 연속 희석법을 통해 실제 생균 수를 확인하여 생장률을 비교하였다. 시험시료와 동일한 양의 인산완충 식염수를 첨가한 실험군을 기준으로 백분율로 비교하였다.
  • violaceum은 일반적인 배양 조건에서 vio operon에 의해 보라색 색소(violacein)를 형성하는데, 이 과정이 QS에 의해 조절된다. 따라서 유산균 발효 용해물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violacein 생성 정도를 흡광도를 이용해 확인하였고, 대조군과 비교하여 차이나는 흡광도 비율을 QS 저해능으로 계산하였다. 실험결과 1, 10, 100 μg/mL 처리시 각각 23%, 27.

대상 데이터

  • 이번 연구에 사용된 균주 중 Pseudomonas aeruginosa (P. aeruginosa, ATCC 9027), S. aureus (ATCC 6538), Staphylococcus epidermidis (S. epidermidis, ATCC 12228)는 ATCC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USA)로부터 구매하였고, Chromobacterium violaceum (C. violaceum, KCTC 2897)은 KCTC (korean collection for type culture, Korea)에서 구매하였다.

데이터처리

  • 모든 데이터의 평균 비교는 R studio (version 3.6.2)를 통해 student’s t-test로 비교 분석 하였다. 통계적 유의성은 등분산, 독립표본으로 계산하였고, 신뢰구간은 95%로 설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피부의 역할은 무엇인가? 피부는 인체에서 가장 큰 기관이며 외부 환경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하는 장벽으로, 인체의 첫 번째 방어선 역할을 한다. 피부에는 다양한 박테리아, 곰팡이 및 바이러스가 서식하고 있으며, 이들이 구성하고 있는 군집 역시 다양한 피부 질환으로부터 숙주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1,2].
유산균 발효 용해물이란 무엇인가? 유산균 발효 용해물은 유산균 발효물을 가열, 압력, 효소 반응 등을 이용하여 용해한 것으로, 최근 화장품 원료로 자주 사용되고 있다. 이들은 프로바이오틱스와 달리, 살아있지 않지만 그 모체인 프로바이오틱스와 유사한 효능을 나타내기도 한다.
박테리아, 곰팡이 및 바이러스와 같은 미생물들은 어떤 영향을 받으며 피부에서 균형을 이루며 군집을 이루고 서식하고 있는가? 피부에는 다양한 박테리아, 곰팡이 및 바이러스가 서식하고 있으며, 이들이 구성하고 있는 군집 역시 다양한 피부 질환으로부터 숙주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1,2]. 이러한 미생물들은 피지, pH 등의 내부적 요인과, 기온, 습도 등의 외부적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피부에서 균형을 이루며 군집을 이루고 서식하고 있다. 이러한 피부 미생물 군집의 균형이 깨지게 되면 피부 질환의 원인이 될 수 있다[3-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E. Barnard, B. Shi, D. Kang, N. Craft, and H. Li, The balance of metagenomic elements shapes the skin microbiome in acne and health, Sci Rep, 6, 39491 (2016). 

  2. H. J. Kim, H. Kim, J. J. Kim, N. R. Myeong, T. Kim, T. Park, E. Kim, J. Choi, J. Lee, S. An, and W. J. Sul, Fragile skin microbiomes in megacities are assembled by a predominantly niche-based process, Sci. Adv., 4(3), e1701581 (2018). 

  3. Z. Gao, C. H. Tseng, B. E. Strober, Z. Pei, and M. J. Blaser, Substantial alterations of the cutaneous bacterial biota in psoriatic lesions, PLoS One, 3(7), e2719 (2008). 

  4. A. V. Alekseyenko, G. I. Perez-Perez, A. D. Souza, B. Strober, Z. Gao, M. Bihan, K. Li, B. A. Methe, and M. J. Blaser, Community differentiation of the cutaneous microbiota in psoriasis, Microbiome, 1(1), 31 (2013). 

  5. H. H. Kong, J. Oh, C. Deming, S. Conlan, E. A. Grice, M. A. Beatson, E. Nomicos, E. C. Polley, H. D. Komarow, NISC Comparative Sequence Program, P. R. Murray, M. L. Turner, and J. A. Segre, Temporal shifts in the skin microbiome associated with disease flares and treatment in children with atopic dermatitis, Genome Res., 22(5), 850 (2012). 

  6. N. Muizzuddin, W. Maher, M. Sullivan, S. Schnittger, and T. Mammone, Physiological effect of a probiotic on skin, J. Cosmet. Sci., 63(6), 385(2012). 

  7. S. Blanchet­Rethore, V. Bourdes, A. Mercenier, C. H. Haddar, P. O. Verhoeven, and P. Andres, Effect of a lotion containing the heat-treated probiotic strain Lactobacillus johnsonii NCC 533 on Staphylococcus aureus colonization in atopic dermatitis, Clin Cosmet Investig Dermatol, 10, 249(2017). 

  8. K. Arellano, J. Vazquez, H. Park, J. Lim, Y. Ji, H. J. Kang, D. Cho, H. W. Jeong, and W. H. Holzapfel, Safety Evaluation and Whole-Genome Annotation of Lactobacillus plantarum Strains from Different Sources with Special Focus on Isolates from Green Tea, Probiotics Antimicrob Proteins., doi: 10.1007/s12602-019-09620-y (2019). 

  9. K. B. Ahn, J. E. Baik, C. H. Yun, and S. H. Han, Lipoteichoic acid inhibits Staphylococcus aureus biofilm formation, Front Microbiol, 9, 327 (2018). 

  10. C. B. Ibberson, C. L. Jones, S. Singh, M. C. Wise, M. E. Hart, D. V. Zurawski, and A. R. Horswill, Staphylococcus aureus hyaluronidase is a CodYregulated virulence factor, Infect. Immunol., 82(10), 4253 (2014). 

  11. E. W. Rosenberg, P. W. Noah, and R. B. Skinner, Microorganisms and psoriasis, J Natl Med Assoc, 86(4), 305 (1994). 

  12. M. Ruffin and E. Brochiero, Repair process impairment by Pseudomonas aeruginosa in epithelial tissue: Major features and potential therapeutic avenes, Front Cell Infec Microbiol, 9, 182 (2019). 

  13. M. Brandwein, D. Steinberg, and S. Meshner, Microbial biofilm and the human skin microbiome, NPJ. Biofilms. Microbiomes., 2, 3 (2016). 

  14. E. G. Di Domenico, I. Cavallo, V. Bordignon, G. Prignano, I. Sperduti, A. Gurtner, E. Trento, L. Toma, F. Pimpinelli, B. Capitanio, and F. Ensoli, Inflammatory cytokines and biofilm production sustain Staphylococcus aureus outgrowth and persistence: a pivotal interplay in the pathogenesis of Atopic Dermatitis, Sci Rep, 8(1), 9573 (2018). 

  15. T. Iwase, Y. Uehara, H. Shinji, A. Tajima, H. Seo, K. Takada, T. Agata, and Y. Mizunoe, Staphylococcus epidermidis Esp inhibits Staphylococcus aureus biofilm formation and nasal colonization, Nature., 465(7296), 346 (2010). 

  16. R. L. Gallo, S. epidermidis influence on host immunity: more than skin deep, Cell Host Microbe, 17(2), 143 (2015). 

  17. M. B. Miller and B. L. Bassler, Quorum Sensing in Bacteria, Annu. Rev. Microbiol., 55, 165 (2001). 

  18. V. Kothari, S. Sharma, and D. Padia, Recent research advances on Chromobacterium violaceum, Asian Pac J Trop Med, 10(8), 744 (2017). 

  19. C. Solano, M. Echeverz, and I. Lasa, Biofilm dispersion and quorum sensing, Curr. Opin. Microbiol., 18, 96 (2014). 

  20. A. Mahdhi, N. Leban, I. Chakroun, S. Bayar, K. Mahdouani, H. Majdoub, and B. Kouidhi, Use of extracellular polysaccharides, secreted by Lactobacillus plantarum and Bacillus spp., as reducing indole production agents to control biofilm formation and efflux pumps inhibitor in Escherichia coli, Microb. Pathog., 125, 448 (2012). 

  21. H. H. Hauge, D. Mantzilas, G. N. Moll, W. N. Konings, A. J. Driessen, V. G. Eijsink, and J. Nissen-Meyer, Plantaricin A is an amphiphilic alpha-helical bacteriocinlike pheromone which exerts antimicrobial and pheromone activities through different mechanisms, Biochemistry., 37(46), 16026 (199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