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Lactobacillus rhamnosus와 Lactobacillus paracasei 복합 배양의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 활성 증진
Enhancement of Skin Whitening and Anti-wrinkle Activities of the Co-culture of Lactobacillus rhamnosus and Lactobacillus paracasei 원문보기

大韓化粧品學會誌 =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v.41 no.3, 2015년, pp.253 - 261  

김남영 (강원대학교 생물의소재공학과) ,  이현용 (서원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여성의 손으로부터 분리한 두 유산균의 co-culture에 의한 향장활성에 대한 것이다. Lactobacillus rhamnosus (L. rhamnosus)와 Lactobacillus paracasei (L. paracasei)를 함께 배양하는 것은 최초이며, co-culture를 이용한 유산균은 tyrosinase 저해율이 L. paracasei와 L. rhamnosus에 비해 20.68%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또한, co-culture 유산균은 melanin 생성 저해율에서도 63.5%의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주름개선활성에 영향을 미치는 MMP-1의 생성량이 3726.3 pg/mL로 확인되었다. 반면 단일 유산균 배양시 얻어지는 MMP-1 생성량은 각각 L. rhamnosus가 13613.5 pg/mL, L. paracasei는 13012.0 pg/mL이 확인되었다. Collagen 생성량을 확인한 결과 co-culture 유산균이 380.7 ng/mL로 323.4 ng/mL의 양이 확인된 L. paracasei와 304.1 ng/mL의 양이 확인된 L. rhamnosus보다 많은 양이 생성됨을 확인하였다. 상기의 결과는 유산균의 co-culture가 향장활성 증진을 시킬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고, 이는 향장 활성에 영향을 미치는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단일 유산균 배양을 통한 결과보다 co-culture 유산균의 항산화 활성이 더 높은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cosmeceutical activities of the co-cultures of both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the hands of women, Lactobacillus rhamnosus (L. rhamnosus) and Lactobacillus paracasei (L. paracasei) were first reported: For whitening and anti-wrinkle activities, the co-culture showed the high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또한, 유산균 Lactobacillus에서는 항산화 효과와 함께 향장 활성 효과를 보이는 lipoteichoic acid 등의 활성 물질이 있다고 알려져 있기 때문에 co-culture 방법을 통해 유산균의 균체량을 증진시켜 향장 활성을 높이는 방안을 모색하였다[15]. 따라서, 항산화 효과가 주름개선 및 피부미백효능에 대해 미치는 영향과 기존에 연구된 유산균에 대한 미백효능을 참고하여, 유산균 L. rhamnosus와 L. paracasei의 co-culture를 이용하여 유산균에 대한 향장소재로서의 가치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피부미백과 주름개선을 주요 관심사로 두는 피부미용의 문제점은? 최근 남녀노소 할 것 없이 피부미용에 많은 관심이 집중되어 있으며, 대표적으로 피부미백과 주름개선이 주요 관심사에 해당된다. 하지만, 이러한 피부미용은 자외선을 받음으로서 생성되는 활성산소에 멜라닌(melanin) 색소가 필요 이상으로 생성되어 피부에 기미나 점, 색소 침착과 피부노화 등의 피부질환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1]. 멜라닌 합성에는 효소 tyrosinase가 관여하게 되는데 이 효소에 의해 tyrosine이 L-3,4-dihydroxyphenylalanine (DOPA)로 변하고, 활성산소에 의한 산화반응 및 효소반응에 의하여 dopachrome로 바뀌고 멜라닌으로 합성하게 되며[2], 활성산소는 피부 탄력유지에 도움이 되는 collagen의 생성을 저해할 뿐만 아니라, collagen을 분해하는 효소 matrix metalloproteinase-1 (MMP-1)의 생성을 촉진하여 피부노화를 더욱 빠르게 진행시킨다[3].
Co-culture은 어떤 장점을 가지고 있다고 알려져 있는가? Co-culture는 기존에 배양 방법보다 유산균의 균체량을 증진 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14]. 또한, 유산균 Lactobacillus에서는 항산화 효과와 함께 향장 활성 효과를 보이는 lipoteichoic acid 등의 활성 물질이 있다고 알려져 있기 때문에 co-culture 방법을 통해 유산균의 균체량을 증진시켜 향장 활성을 높이는 방안을 모색하였다[15].
본 연구에서 L. rhamnosus 와 L. paracasei 두 균체를 co-culture함으로써 향장 활성의 증진 효과에 대한 결과는? paracasei 두 균체를 co-culture함으로써 향장 활성의 증진 효과에 대한 결과를 처음으로 보고하게 되었다. 단일 배양 보다 co-culture를 통한 유산균 파쇄물의 향장 활성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co-culture를 통한 유산균 파쇄물의 경우 collagen 생성량 및 MMP-1 저해에 대한 향장 활성이 각각 단일 균체의 활성들보다 현저히 증가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특히, 높은 항산화 효과로 인한 활성을 바탕으로 활성산소로 인한 melanin 생성 촉진의 억제 및 MMP-1의 합성의 저해에 활성이 있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유산균에 대한 향장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K. Wang, R. D. Lin, F. L. Hsu, Y. H. Huang, H. C. Chang, C. Y. Huang, and M. H. Lee, Cosmetic applications of selected traditional chinese herbal medicines, J. Ethnopharmacol., 106(3), 353 (2006). 

  2. S. Alaluf, A. Heath, N. Carter, D. Atkins, H. Mahalingam, K. Barrett, R. Kolb, and N. Smit, Variation in melanin content and composition in type V and VI photoexposed and photoprotected human skin: the dominant role of DHI, Pigment Cell Res., 14(5), 337 (2001). 

  3. S. H. Park, K. H. Lee, C. S. Han, K. H. Kim, and Y. H. Kim, Inhibitory effects of carex humilis extract on elastase activityand matrix metalloproteinase-1 expression,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36(2), 129 (2010). 

  4. H. Lee, S. G. Yang, S. N. Park, and D. Y. Jeon, Effect of Lactobacilli on reactive oxygen scavenging and immune stimulation, Korean J. Biotechnol. Bioeng., 7(4), 290 (1992). 

  5. M. Y. Lin and F. J. Chang, Antioxidative effect of intestinal bacteria Bifidobacterium longum ATCC 15708 and Lactobacillus acidophilus ATCC 4356, Dig. Dis. Sci., 45(8), 1617 (2000). 

  6. S. H. Park, Y. A. Kim, D. K. Lee, S. J. Lee, M. J. Chung, B. Y. Kang, K. J. Kim, and N. J. Ha, Antibacterial activity and macrophage activ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J. Environ. toxicol., 22(4), 287 (2007). 

  7. C. C. Tsai, C. F. Chan, W. Y. Huang, J. S. Lin, P. Chan, H. Y. Liu, and Y. S. Lin, Applications of Lactobacillus rhamnosus spent culture supernatant in cosmetic antioxidation, whitening and moisture retention applications, Molecules, 18(11), 14161 (2013). 

  8. W. S. Choi, H. S. Kwon, H. W. Lim, R. H. No, and H. Y. Lee, Whitening effect of Lactobacillus rhamnosus associated with its antioxidative activities,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41(2), 183 (2013). 

  9. S. Tadao and K. S. Lim, Immunogenicity and survival strategy of Lactobacillus rhamnosus GG in the human Gut, Korean J. Dairy Sci. Technol., 30(1), 31 (2012). 

  10. M. C. Yang, S. W. Jeong, and J. Y. Ma, Analysis of constituents in Sipjundaebo-tangs fermented by lactic acid bacteria,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39(4), 350 (2011). 

  11. W. S. Choi, H. S. Kwon, R. H. No, G. P. Choi, and H. Y. Lee, Enhancement of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fermented Scutellaria baicalensis extracts using Lactobacillus rhamnosus,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39(4), 303 (2013). 

  12. N. Y. Kim, Y. D. Lee, S. C. Cho, Y. C. Shin, and H. Y. Lee, Enhancement of anti-inflammation effect by fermentation process in Aronia melanocarpa (Michx.) Elliott extract, Korean J. Medicinal Crop Sci., 22(6), 475 (2014). 

  13. J. B. Weon, B. R. Yun, J. W. Lee, M. R. Eom, H. Y. Lee, D. S. Park, H. C. Chung, J. Y. Chung, and C. J. Ma, Cognitive enhancing activity of the steamed and fermented extracts of Codonopsis lanceolata Radix, Yakhak Hoeji, 57(5), 323 (2013). 

  14. H. R Kim, H. G. Kim, B. J. Jung, G. E. You, S. J. Jang, and D. K. Chung, Lipoteichoic acid isolated from Lactobacillus plantarum inhibits melanogenesis in B16F10 mouse melanoma cells, Mol. Cells, 38(2), 163 (2015). 

  15. J. H. Kim and J. I. Kim, Processing of radish juice by mixed culture with lactic acid bacteria, Korean J. Food Preserv., 6(4), 448 (1999). 

  16. Korea, PCT/KR2013/000801 (2014). 

  17. T. Mosmann, Rapid colorimetric assay for cellular growth and survival: application to proliferation and cytotoxicity assays, J. Immunol. Methods, 65(1-2), 55 (1983). 

  18. B. M. Dietz, Y. H. Kang, G. Liu, A. L. Eggler, P. Yao, L. R. Chadwick, G. F. Pauli, N. R. Farnsworth, A. D. Mesecar, and R. B. V. Breemen, Xanthohumol isolated from Humulus lupulus inhibits menadione-induced DNA damage through induction of quinone reductase, Chem. Res. Toxicol., 18(8), 1296 (2005). 

  19. J. E. Kim, A. R. Kim, M. J. Kim, and S. N. Park, Antibacterial, antioxidative and anti aging effects of Allium cepa peel extracts, Appl. Chem. Eng., 22(2), 178 (2011). 

  20. I. S. An, J. H. Kim, H. S. Yoo, R. Zhang, S. M. Kang, T. B. Choe, T. J. Kwon, S. K. An, and G. Y. Kim, The inhibition effect of L-cysteine on melanogenesis in B16F10 mouse melanoma cells, Korean J. Aes. Soc., 5(2), 239 (2007). 

  21. N. Y. Kim, J. H. Kim, G. P. Choi, and H. Y. Lee, Comparison of anti-skin wrinkle activities of Aronia melanocarpa extracts by extraction method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22(3), 217 (2014). 

  22. J. S. Kim, W. S. Choi, J. Y. Chung, H. C. Chung, and H. Y. Lee, Enhacement of cosmeceutical activity from Codonopsis lanceolata extracts by stepwise steaming proces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21(3), 204 (2013). 

  23. J. Y. Hong, K. M. Kim, H. S. Nam, and S. R. Shin, Antioxidant activities of hot-water extracts from Aster scaber by cultivation and drying methods, Korean J. Food Preserv., 21(1), 82 (2014). 

  24. M. H. Jeong, S. S Kim, J. S Kim, H. J. Lee, G. P. Choi, and H. Y. Lee, Skin whitening and skin immune activities of different parts of Acer mono and Acer okamotoanum, J. Korean For. Soc., 99(4), 470 (2010). 

  25. T. S. Park, D. H. Kim, O. J. Kwon, and J. H. Son, A study on biological activities of fermented jujube and grape,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42(2), 106 (2014). 

  26. I. C. Sutcliffe and N. Shaw, Atypical lipoteichoic acids of gram-positive bacteria, J. Bacteriol., 173(22), 7065 (1991). 

  27. Y. Wang, H. J. Zhang, M. F. Liu, and S. H. Chen, Study on antioxidant by lipoteichoic acid of bifidobacterium, Chinese J. Gerontol., 13, 1254 (2007). 

  28. S. J. Park, Y. B. Choi, J. R. Ko, Y. E. Kim, and H. Y. Lee, Enhancement of antioxidant activities of blueberry (Vaccinium ashei) by using high-pressure extraction proces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3), 471 (2014). 

  29. C. H. Song, Y. C. Seo, C. G. Lee, D. U. Kim, J. Y. Chung, H. C. Chung, D. S. Park, C. J. Ma, and H. Y. Lee, Enhancement of antioxidant activity of Codonopsis lanceolata by stepwise steaming proces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20(4), 238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