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Fusarium avenaceum에 의한 복숭아 신규 과실 썩음병 발생 보고
First Report of Peach Fruit Rot Caused by Fusarium avenaceum in Korea 원문보기

Research in plant disease = 식물병연구, v.26 no.1, 2020년, pp.48 - 52  

허아영 (국립안동대학교 생명과학대학 식물의학과) ,  구영모 (국립안동대학교 생명과학대학 식물의학과) ,  최영준 (국립군산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김상희 (경상대학교 생명과학부) ,  정규영 (국립안동대학교 생명과학대학 원예.생약융합학부) ,  최형우 (국립안동대학교 생명과학대학 식물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19년 7월 안동지역 노지 재배지에서 복숭아에 과실 썩음병 피해가 발생하였다. 피해 과실에서는 병이 진전됨에 따라, 썩음증상과 함께, 흰색과 자주색을 띄는 균사포자가 관찰되었다. 병원균을 순수 분리한 뒤, 건전한 복숭아 과일에 접종하였을 때 동일한 과실 썩음 증상을 유도하였다. 분리된 병원균의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translation elongation factor 1-alpha (TEF) 그리고 β-tubulin (β-TUB) sequence 분석을 통해 Fusarium avenaceum으로 동정되었다. 따라서, 이 증상을 Fusarium avenaceum에 의한 "복숭아 과실 썩음병"으로 명명하고자 한다. 분리된 균주는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미생물 은행[Korean Agricultural Culture Collection(KACC)]에 기탁되었다(KACC accession number 48936).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July 2019, typical rot symptom was observed on peach fruits harvested from the fields at Andong, Korea. As the disease progressed, white and purple colored mycelial mat developed on the surface of the infected fruits. A causal pathogen was isolated from the infected fruit and cultured on potato d...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분리된 병원균의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translation elongation factor 1-alpha (TEF) 그리고 β-tubulin (β-TUB) sequence 분석을통해 Fusarium avenaceum으로 동정되었다. 따라서, 이 증상을Fusarium avenaceum에 의한 “복숭아 과실 썩음병”으로 명명하고자 한다. 분리된 균주는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미생물은행[Korean Agricultural Culture Collection(KACC)]에 기탁되었다(KACC accession number 48936).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복숭아는 분류학적으로 어디에 속하는가? 복숭아(Prunus persica L.)는 장미과(Rosaceae) 벚나무속(Prunus)에 속하며, 사과, 감, 배와 함께 우리나라의 주요 경제과수로(Bak 등, 2017) 잼이나 젤리 등 다양한 용도로 쓰인다.현재 2019년 기준 한국에서 복숭아 재배면적은 20,636 ha이고, 그 중 경북지역에서는 9,578 ha (46.
2019년 기준 국내 복숭아 재배 면적은 어느 정도인가? )는 장미과(Rosaceae) 벚나무속(Prunus)에 속하며, 사과, 감, 배와 함께 우리나라의 주요 경제과수로(Bak 등, 2017) 잼이나 젤리 등 다양한 용도로 쓰인다.현재 2019년 기준 한국에서 복숭아 재배면적은 20,636 ha이고, 그 중 경북지역에서는 9,578 ha (46.4%)에서 재배되고 있다(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9).
국내 복숭아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된 병은 무엇이 있는가? 4%)에서 재배되고 있다(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9). 현재 국내 복숭아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된 병은 잿빛무늬병(Rhizopusstolonifera), 잿빛곰팡이(Botrytis cinerea), 줄기썩음병(Botrosphaeria dothidea), 그을음병(Capnophaeum fuliginodes), 탄저병(Glomerella cingulata), 잎오갈병(Taphrina deformans) 등으로 보고되었다(Arrebola 등, 2010; The Korean Society of PlantPathology, 2009). 또한 복숭아에 7종의 바이러스와 바이로이드(Apple chlorotic leaf spot virus [ACLSV], Apple stem groovingvirus [ASGV], Cucumber mosaic virus [CMV], Hop stunt viroid[HSVd], Little cherry virus 1 [LChV-1], Peach latent mosaic viroid[PLMVd], Prunus necrotic ringspot virus [PNRSV])가 발생한다고국내에 보고되었다(Bak 등, 201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Aktaruzzaman, M., Afroz, T., Lee, Y.-G. and Kim, B.-S. 2018. Morpho-logical and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Fusarium tricinctum causing postharvest fruit rot of pumpkin in Korea. J. Gen. Plant Pathol. 84: 407-413. 

  2. Arrebola, E., Sivakumar, D., Bacigalupo, R. and Korsten, L. 2010. Combined application of antagonist Bacillus amyloliquefaciens and essential oils for the control of peach postharvest diseases. Crop Prot. 29: 369-377. 

  3. Bak, S., Seo, E., Kim, S. Y., Park, W. H. and Lee, S.-H. 2017. First report of Apricot pseudo-chlorotic leaf spot virus infecting peach trees in South Korea. Res. Plant Dis. 23: 75-81. (In Korean) 

  4. Choi, J.-H., Nah, J.-Y., Jin, H.-S., Lim, S.-B., Paek, J.-S., Lee, M.-J. et al. 2019. Identification and chemotype profiling of Fusarium species in Korean oat. Res. Plant Dis. 25: 157-163. (In Korean) 

  5. Choi, I.-Y., Kim, J., Ju, H.-J., Park. J.-H. and Shin H.-D. 2015. First report of Fusarium wilt caused by Fusarium oxysporum on Kohlrabi in Korea. Res. Plant Dis. 21: 27-31. (In Korean) 

  6. Kim, J.-H., Kim, J., Choi, I.-Y., Cheong, S.-S., Uhm, M.-J. and Lee, W. H. 2015. First report of Anthracnose on bitter gourd caused by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in Korea. Res. Plant Dis. 21: 32-35. (In Korean) 

  7. Kim, Y. S., Yun, Y. J. and Jeon. Y. 2018. First report of black rot caused by Diplodia seriata on apple. Res. Plant Dis. 24: 321-327. (In Korean) 

  8.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9. Area of cultivated field fruit trees. URL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ET0014 [30 February 2019]. 

  9. Kumar, S., Stecher, G., Li, M., Knyaz, C. and Tamura, K. 2018. MEGA X: molecular evolutionary genetics analysis across computing platforms. Mol. Biol. Evol. 35: 1547-1549. 

  10. Lee, D., Hassan, O., Kim, C. and Chang, T. 2018. First report of peach (Prunus persica) anthracnose caused by Colletotrichum fioriniae in Korea. Plant Dis. 102: 2650. 

  11. Lee, H. W., Nguyen, T. T. T. and Lee, H. B. 2016. First report of postharvest fruit rot of Aronia melanocarpa caused by Fusarium tricinctum in Korea. Korean J. Mycol. 44: 68-71. 

  12. O'Donnell, K., Kistler, H. C., Cigelnik, E. and Ploetz, R. C. 1998. Multiple evolutionary origins of the fungus causing Panama disease of banana: concordant evidence from nuclear and mitochondrial gene genealogies. Proc. Natl. Acad. Sci. U. S. A. 95: 2044-2049. 

  13. O'Donnell, K. and Cigelnik, E. 1997. Two divergent intragenomic rDNA ITS2 types within a monophyletic lineage of the fungus Fusarium are nonorthologous. Mol. Phylogenet. Evol. 7: 103-116. 

  14. The Korean Society of Plant Pathology. 2009. List of Plant Disease in Korea. 5th ed. The Korean Society of Plant Pathology, Suwon, Korea. 859 pp. (In Korean) 

  15. White, T. J., Bruns, T. D., Lee, S. B. and Taylor, J. W. 1990. Amplification and direct sequencing of fungal ribosomal RNA genes for phylogenetics. In: PCR Protocols: A Guide to Methods and Applications, eds. by M. A. Innis, D. H. Gelfand, J. J. Sninsky and T. J. White, pp. 315-322. Academic Press, New York, NY, USA.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