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황의 플러그 육묘재배 적정성 평가
Appropriateness Evaluation of Plug Seedling Cultivation of Rehmannia glutinosa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33 no.2, 2020년, pp.73 - 79  

이상훈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약용작물과) ,  이윤정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약용작물과) ,  오명원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약용작물과) ,  이소희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약용작물과) ,  구성철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약용작물과) ,  허목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약용작물과) ,  이우문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약용작물과) ,  장재기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약용작물과) ,  김이현 (한국농수산대학 특용작물학과) ,  한종원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약용작물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지황의 플러그 육묘 재배가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지 평가하고, 강원도 남부지역에 플러그 육묘를 이용한 지황 재배 시 중부지역의 직파재배만큼 생산량을 늘릴 수 있는 지 알아보기 위해 수행하였다. 수량의 경우 음성 육묘재배(1,376 ㎏/10a)가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평창 육묘재배(1,256 ㎏/10a), 음성 직파재배(1,253 ㎏/10a), 평창 직파재배(923 ㎏/10a) 순으로 나타나, 강원도에서 육묘재배 시에 중부지역 직파 재배만큼 생산량을 늘릴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황은 근경 굵기가 8-12 ㎜가 중품(中品), 그 이상이 상품(上品)의 등급으로 팔리는데, 재배실험지역과 재배방법에 상관없이 모두 14 ㎜가 넘어 상품성(商品性)에도 문제가 없었다. 그러므로 생산량과 품질 조건을 고려해 볼 때, 플러그 육묘 재배를 통해 생산량을 늘릴 수 있었으며, 강원도에서 플러그 육묘를 이용한 지황 재배 시 중부지방의 직파재배와 비슷한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본 연구결과를 적용하기에는 늘어나는 생산비와 증가되는 수익을 고려한 경제성 분석이 더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appropriateness cultivation of R. glutinosa by plug seedling. Cultivation by direct seeding (DS) and plug seedling (PS) of R. glutinosa was conducted in each of the Pyeongchang and Eumseong areas. As a result, locally, for the Eumseong area, aerial parts in l...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지황을 플러그 육묘를 이용하여 재배 했을 시 생산량 증대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수행하였다. 또한, 강원도의 경우 생육기간이 짧아 중부지방에 비해 생산량이 20%가 감소한다는 연구결과가 보고된 바 있는데 (Lee et al., 2019c),지황을 강원도에서 플러그 육묘재배를 했을 경우, 중부지방의 직파 재배만큼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지 여부도 알아보기 위해 수행하였다.
  • 본 연구는 지황을 플러그 육묘를 이용하여 재배 했을 시 생산량 증대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수행하였다. 또한, 강원도의 경우 생육기간이 짧아 중부지방에 비해 생산량이 20%가 감소한다는 연구결과가 보고된 바 있는데 (Lee et al.
  • 본 연구는 지황의 플러그 육묘 재배가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지 평가하고, 강원도 남부지역에 플러그 육묘를 이용한 지황 재배 시 중부지역의 직파재배만큼 생산량을 늘릴 수 있는 지 알아보기 위해 수행하였다. 수량의 경우 음성 육묘재배(1,376㎏/10a)가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평창 육묘재배(1,256 ㎏/10a), 음성 직파재배(1,253 ㎏/10a), 평창 직파재배(923 ㎏/10a) 순으로 나타나, 강원도에서 육묘재배 시에 중부지역 직파 재배만큼 생산량을 늘릴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 설정

  • 엽수의 경우는 음성이평창보다 많아 지역 간의 차이가 있었고, 같은 지역 내에서도 육묘와 직파재배를 비교해 볼 때, 육묘재배가 직파재배보다 엽수가 많은 경향을 보였다. 음성의 지상부의 생육상황이 좋았던 이유는생육적온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지황의 생육적온은 연구된 바 없으나, 강원도 지황 재배연구에서 20℃ 전후로 유추한 바 있다(Lee et a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황의 원산지는 어디인가? ex Steud.]은 다년생 초본으로 현삼과(Scrophulariaceae)에 속하며, 중국이 원산지이다. 최근에는 분자계통학적 연구를 바탕으로 현삼과가 아닌 열당과(Orobancaceae)에 포함시키거나 지황과(Rehmanniaceae)로 따로 분리하기도 한다(Albach et al.
지황은 분류학적으로 어디에 속하는가? ex Steud.]은 다년생 초본으로 현삼과(Scrophulariaceae)에 속하며, 중국이 원산지이다. 최근에는 분자계통학적 연구를 바탕으로 현삼과가 아닌 열당과(Orobancaceae)에 포함시키거나 지황과(Rehmanniaceae)로 따로 분리하기도 한다(Albach et al.
지황의 당성분으로는 무엇이 있는가? , 1989). 또한, 당성분으로는 glucose, fructose, mannito, raffinose, manninotriose, stachyose, verbascose 등이 있다(Liu et al., 20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lbach, D.C., K. Yan, S.R. Jensen and H.Q. Li. 2009. Phylogenetic placement of Triaenophora (formerly Scrophulariaceae) with some implications for the phylogeny of Lamiales. Taxon. 58:749-756. 

  2. Angiosperm Phylogeny Group (APG) IV. 2016.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V. Bot. J. Linn. Soc. 181:1-20. 

  3. Jang, D.E., S.H. Lee, I.G. Hwang, J. Song and K.A. Hwang. 2016. Method validation for the analysis of loganin content in Cornus Officinals depends on cultivation regions. Food Eng. Prog. 20(2):152-157 (in Korean). 

  4. Jiang, B., J. Du, J.H. Liu, Y.M. Bao and L.J. An. 2008. Catalpol attenuates the neurotoxicity induced by ${\beta}-amyloid_{1-42}$ in cortical neuron-glia cultures. Brain Research 1188:139-147. 

  5. Jiang, B., R.F. Shen, J. Bi, X.S. Tian, T. Hinchliffe and Y. Xia. 2015. Catalpol: a potential therapeutic for neurodegenerative diseases. Curr. Med. Chem. 22(11):1278-1291. 

  6. Kim, N.J., E.A. Jung, H.J. Kim, S.B. Sim and J.W. Kim. 2000. Quality evaluation of various dried roots of Rehmannia glutinosa. Kor. J. Parmacogn. 31(2):130-141 (in Korean). 

  7. Kim, N.S., D.J. Choi, E.J. Choi, J.H. Lee, S. Park, Y.S. Lee, J.W. Lee, D.Y. Lee, G.S. Kim and S.E. Lee. 2018. Screening and evaluation of the anti-allergic effect of Korean medicinal plant extract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26(1):42-54 (in Korean). 

  8. Lee, S.H., J.S. Yoon, J.K. Kim, C.G. Park, J.K. Chang and Y.B. Kim. 2017. Analysis of iridoid glycoside and GABA content in the roots of the Rehmannia glutinosa cultivar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25(3):146-151 (in Korean). 

  9. Lee, S.H., S.U. Kang, S.H. Lee, S.C. Koo, M. Hur, M.L. Jin, W.M. Lee, M.S. Park, Y.B. Kim and J.W. Han. 2019a. Appropriateness evaluation of plug seedling cultivation for replanting of Rehmannia glutinosa (Gaertn.) Libosch. ex Steud. Korean J. Medicinal Crop Sci. 27(3):202-207 (in Korean). 

  10. Lee, S.H., S.C. Koo, M. Hur, W.M. Lee, M.S. Park and J.W. Han. 2019b. Investigation of emergence conditions and plug seedling periods in Rehmannia glutinosa (Gaertn.) Libosch. ex Steud.. Korean J. Medicinal Crop Sci. 27(4):271-277 (in Korean). 

  11. Lee, S.H., S.C. Koo, M. Hur, W.M. Lee, J.K. Chang and J.W. Han. 2019c. Appropriateness evaluation of cultivation of Rehmannia glutinosa (Gaertn.) Libosch. ex Steud. in the region of Southern Gangwon Province, South Korea. Korean J. Plant Res. 32(5):471-477 (in Korean). 

  12.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MAFRA). 2019. 2018 an actual output of crop for a special purpos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Sejong, Korea. pp. 98-99. 

  13. Morota, T., H. Sasaki, H. Nishimura, K. Sugama, M. Chin and H. Mitsuhashi. 1989. Two iridoid glycosides from Rehmania glutinosa. Phytochemistry 28(8):2149-2153. 

  14. Park, B.Y., S.M. Chang and J. Choi. 1989. Relationships between the inorganic constituents and the catalpol and sugar contents in the rhizoma of Rehmania glutinosa. J. Korean Agric. Chem. Soc. 32(3):249-254 (in Korean). 

  15. Refulio-Rodriguez, N.F. and R.G. Olmstead. 2014. Phylogeny of Lamiidae. Am. J. Bot. 101(2):287-299. 

  16. Reina, E., N. Al-Shibani, E. Allam, K.S. Gregson, M. Kowolik and L.J. Windsor. 2013. The effects of plantago major on the activation of the neutrophil respiratory burst. J. Tradit. Complement. Med. 3(4):268-272. 

  17. Ryu, S.N. 2008. Environmental variation of available component in mugwort (Artemisia princeps Pamp.). J. Korean Soc. Int. Agric. 20(1):40-46 (in Korean). 

  18. Shieh, J.P., K.C. Cheng, H.H. Chung, Y.F. Kerh, C.H. Yeh and J.T. Cheng. 2011. Plasma glucose lowering mechanisms of catalpol, an active principle from roots of Rehmannia glutinosa, in streptozotocin - induced diabetic rats. J. Agric. Food Chem. 59(8):3747-3753. 

  19. Won, J., H. Shin, Y. Oh, H. Han, Y. Kwon and D. Kim. 2018. Tree growth and fruit characteristics of 'Nero black chokeberry according to different cultivation regions and altitudes. Korean J. Plant Res. 31(2):136-148 (in Korean). 

  20. Xia, Z., Y.Z. Wang and J.F. Smith. 2009. Familial placement and relations of Rehmannia and Triaenophora (Scrophulariaceae s.l.) inferred from five gene regions. Am. J. Bot. 96(2):519-53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